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식과 여래장 사상의 융합 -眞諦(499-569)의 여래장 해석과 티벳불교의 他空說을 중심으로- = Integration of Buddha-nature theory into Yogācāra Ideas -Paramārtha and Tibetan Other-Empti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884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유식사상과 여래장사상의 융합이 불교사상사에서 처음으로 분명히 드러난 眞諦(Paramārtha, 499-569)를 통해 그 융합의 양태가 무엇을 기반으로 해서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보�...

      이 논문의 목적은 유식사상과 여래장사상의 융합이 불교사상사에서 처음으로 분명히 드러난 眞諦(Paramārtha, 499-569)를 통해 그 융합의 양태가 무엇을 기반으로 해서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보고, 이런 진제의 이해가 후대의 티벳 불교에서 소위 他空(gzhan stong)설이 보여주는 융합의 양태와 어떤 점을 공유하고 있고 어떤 점에서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진제의 여래장 해석이나 삼성설 해석에서 가장 큰 연결고리는 진실성의 두 측면 중에서 불변이 진실성/진여를 자성청정심과 연결시키고 이를 매개로 해서 아말라식과 여래장 개념을 포괄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진제에게 있어 여래장 개념의 포섭은 유식학파의 개념을 사용하여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소극적인 것이다. 이는 진제가 활동했을 당시 인도불교의 사상사적 맥락에서 볼 때 충분히 납득이 가지만, 그럼에도 진제는 『불성론』 등의 저작에서 『보성론』을 활용했다고 지적되듯이 유식사상의 맥락에서 여래장 사상의 함축성을 포용하려고 시도했다.
      그리고 티벳불교의 타공설을 논의할 때, 나는 여래장사상과 삼성설에 초점을 맞추어 여러 타공론자들의 관점을 비교해서 제시했다. 그럼으로써 타공설이 하나의 흐름이 아니며 유식과 여래장 문헌에 대한 다양한 해석관점에서 나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최초의 ‘타공론자’로서 진제의 특징적 사고는 삼성설에서 불변이 진실성을 분별성과 의타성의 비존재로 해석한 것에 있다. 이는 다른 유식논서에서의 진실성의 정의와 비교해 다른 점으로서, 우리는 이 해석이 후대 될포파의 타공설과 동일하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진제는 여전히 유식사상가로서 될포파처럼 이를 유위법을 완전히 초월한 무위법으로 간주하지는 않았지만, 그럼에도 이런 진제의 해석이나 될포파의 해석은 진제 이후 동아시아와 티벳불교에서 진행된 여래장 사상의 소위 ‘기체론적’ 전개와 관련하여 유사한 사상적 패턴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될 가치가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Paramārtha (499-569) attemp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Buddhist thought to integrate the Yogācāra thought and the Buddha-nature theory, and based on that, to understand the varios mode of th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Paramārtha (499-569) attemp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Buddhist thought to integrate the Yogācāra thought and the Buddha-nature theory, and based on that, to understand the varios mode of the so-called Other-emptiness theories (gzhan stong). In doing so, I tries to show the varieties of the mode of fusion and what points it differs from the later Tibetan Buddhism.
      The major melting point in Paramārtha’s thought consists in the interpretation of two aspects of the accomplished nature (pariniṣpanna-svabhāva): unmistaken and unchanging aspect. In particular, Paramārtha interprets the latter one as the natural purity of mind, by way of which the concept of *amala-vijñaana and Buddha-nature can be connected with each other. It is, however, to be noteworthy for the proper understanding of Paramārtha that the integration of the Buddha-nature idea into his Yogācāra-based systematization shows the restriction in some degree. This seems to be quite convincing, if we consider the background of Indian Buddhism, when Paramārtha was still active. Nevertheless, some of his texts demonstrate his interests in the Buddha-nature idea, which can be shown through the translation of Treatise on *Buddha-gotra (佛性論).
      And when discussing the Other-emptiness theory in Tibetan Buddhism, I compared the viewpoints of some important scholars, who belong to the circle of Other-emptiness with each other with regard to the concept of Buddha-nature and Three Nature (svabhāva). In doing so, I follow the idea of recent scholars that there are various forms of Other-emptiness, and their differences can be traced back to the different understanding of the issues in these theories.
      In my former article, I suggested that Paramārtha may be “the first Other-emptiness thinker” in the history of Buddhist thought. The reason for this evaluation is, among others, that he insists on the non-existence of parikalpita-svabhāva and paratantra-svabhāva in the accomplished nature (pariniṣpanna-svabhāva). This is his unique viewpoint in that he clearly expresses this idea in his translations and compositions, though vaguely implied in the Yogācāra texts.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his interpretation of the three nature in this point is very similar to that of Dolpopa, the founder of Other-Emptiness theory in Tibetan Buddhism. Whereas Dolpopa argues that the state of Other-emptiness which is tantamount to the unchanging aspect of the accomplished Nature can not be described in terms of the conditioned factors, but it completely transcends all the characteristics attributed to the conditioned factors, Paramārtha still remains faithfully in the main idea of Yogācāra school. In this regard, his interpretation together with Dolpopa's deserves our attention in that it shows similar interpretative patterns of the Buddha-nature ideas in East Asian and Tibetan Buddhis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성두, "티베트 불교에서의 여래장 해석__ 自空說과 他空說의 차이를 중심으로" 인도철학회 (18) : 103-129, 2005

      2 구효정, "티베트 불교 타공설(他空說)의 인도 문헌 전거-『이만오천송 반야경』 「미륵청문품」과 『윰숨 뇌좀』을 중심으로" 한국불교연구원 (49) : 45-74, 2018

      3 정호영, "초기유식 삼성설의 두 형태와 불가분리성" 한국불교연구원 (34) : 9-49, 2011

      4 김성철, "천친보살조 진제역 불성론" 씨아이알 2013

      5 안성두, "진제의 {十八空論}에 나타난 공성의 분류의 특징" 한국불교연구원 (51) : 77-107, 2019

      6 안성두, "유식문헌에서의 三性說의 유형과 그 해석" 인도철학회 (19) : 61-90, 2005

      7 마테즈, "불성·여래장 사상의 형성, 수용과변용" 씨아이알 2017

      8 안성두, "불성·여래장 사상의 형성, 수용과 변용" 씨아이알 2017

      9 안성두, "보성론 I.154-155의 공성 해석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들" 인도철학회 (46) : 127-159, 2016

      10 안성두, "보성론" 소명출판사 2011

      1 안성두, "티베트 불교에서의 여래장 해석__ 自空說과 他空說의 차이를 중심으로" 인도철학회 (18) : 103-129, 2005

      2 구효정, "티베트 불교 타공설(他空說)의 인도 문헌 전거-『이만오천송 반야경』 「미륵청문품」과 『윰숨 뇌좀』을 중심으로" 한국불교연구원 (49) : 45-74, 2018

      3 정호영, "초기유식 삼성설의 두 형태와 불가분리성" 한국불교연구원 (34) : 9-49, 2011

      4 김성철, "천친보살조 진제역 불성론" 씨아이알 2013

      5 안성두, "진제의 {十八空論}에 나타난 공성의 분류의 특징" 한국불교연구원 (51) : 77-107, 2019

      6 안성두, "유식문헌에서의 三性說의 유형과 그 해석" 인도철학회 (19) : 61-90, 2005

      7 마테즈, "불성·여래장 사상의 형성, 수용과변용" 씨아이알 2017

      8 안성두, "불성·여래장 사상의 형성, 수용과 변용" 씨아이알 2017

      9 안성두, "보성론 I.154-155의 공성 해석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들" 인도철학회 (46) : 127-159, 2016

      10 안성두, "보성론" 소명출판사 2011

      11 모리야마 신야 護山眞也, "라트나까라샨띠(Ratnākaraśānti)의형상허위론과 이일다성론(離一多性論)" 1 : 2018

      12 박창환, "구사론주(kośakāra) 세친(Vasubandhu)과 『능가경』(Laṅkāvatārasūtra)" 인도철학회 (32) : 251-293, 2011

      13 Takasaki, Jikido 高崎直道, "高崎直道著作集7. 如來藏思想·佛性論II" 2010

      14 眞諦, "顯識論T31, No.1618"

      15 世親, "辯中邊論T31, No.1600"

      16 世親, "轉識論T31, No.1587"

      17 Takasaki, Jikido 高崎直道, "講座大乘佛敎8 唯識思想" 1982

      18 "解深密經T15, No.676"

      19 안성두, "眞諦의『三無性論』에 나타난 삼성설 해석의 특색 _인도유식문헌과 관련하여 (I)_" 인도철학회 (41) : 327-364, 2014

      20 안성두, "眞諦의 삼성설 해석과 阿摩羅識" 한국불교연구원 (42) : 101-150, 2015

      21 장규언, "眞諦의 三性ㆍ三無性論에 대한 圓測의 이해와 비판 - 淸辨과 護法의 대비 속에서 眞諦 읽기 -" 불교문화연구원 (55) : 181-217, 2010

      22 Funayama, Toru, "眞諦三藏硏究論集" 京都大學人文科學硏究所 2012

      23 Otake, Susumu 大竹晋, "眞諦三藏硏究論集" 2012

      24 Yoshimura, Makoto 吉村誠, "眞諦の阿摩羅識説と摂論学派の九識說" 56 (56): 2007

      25 Iwata, Taijo 岩田諦靜, "眞諦の唯識說の硏究" 2004

      26 世親, "攝大乘論釋T31, No.1597"

      27 世親, "攝大乘論釋T31, No.1595"

      28 Nagao, Gajin 長尾雅人, "攝大乘論和譯と註釋 上" 1982

      29 "攝大乘論上[長尾雅人]"

      30 玄奘, "攝大乘論T31, No.1594"

      31 眞諦, "攝大乘論T31, No.1593"

      32 "大正新修大藏經"

      33 龍樹, "十八空論T31, No.1616"

      34 Ikeda, Michihiro 池田道浩, "依他起性は實在するか" 27 : 1996

      35 天親, "中邊分別論T31, No.1599"

      36 Nagao, Gajin 長尾雅人, "中觀と唯識" 1978

      37 眞諦역, "三無性論T31, No.1617"

      38 Ikeda, Michihiro 池田道浩, "三性說の構造的變化[I]" 29 : 1996

      39 안성두, "『해심밀경』에 나타난 3성설의 해석과 후대 인도-티벳 전통에 끼친 영향" 인도철학회 (44) : 75-126, 2015

      40 김재권, "『중변분별론』에 있어서 삼성설의 구조적 특징" 인도철학회 (25) : 101-119, 2008

      41 Takahashi, Koichi 高橋晃一, "『菩薩地』「眞實義品から「攝決擇分中菩薩地」への思想展開" 2005

      42 Schmithausen, Lambert, "Ālayavijñāna: On the Origin and Early Development of a Central Concept of a Yogācāra Philosophy, Part I+II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1987

      43 Bhattacharya, "Yogācārabhūmi of Ācārya Asaṅga"

      44 Schmithausen, Lambert, "Wisdom, Compassion, and the Search for Understanding: the Buddhist studies legacy of Gadjin M. Nagao"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0

      45 Kapstein, Matthew, "We Are All Gzhan stong pas" 7 : 2000

      46 Komarovski, Yaroslav, "Visions of Unity: The Golden Paṇḍita Shakya Chokden’s New Interpretation of Yogācāra and Madhyamaka" SUNY Press 2011

      47 Hakamaya, Noriaki 袴谷憲昭, "Viniścayasaṃgrahaṇīにおけるア-ラヤ識の規定" 79 : 1979

      48 Mathes, Klaus-Dieter, "Tāranātha’s ‘Twenty-one Differences with regard to the Profound Meaning’ -Comparing the Views of the Two gZhan stong Masters Dolpopa and Śākya mchog ldan" 27 : 2004

      49 Hartmut Buescher, "Triṃśikā-bhāșya"

      50 "TrBh"

      51 "Theg pa chen po bsdus pa'i 'grel pa (Mahāyāna-Saṃgraha-Bhāṣya). sDe dge판 서장대장경, 東北目錄No. 4050"

      52 Wangchuk, Dorji, "The rñiṅg-ma Interpretation of the Tathāgatagarbha Theory" XLVIII : 2004

      53 Sponberg, Alan, "The Trisvabhāva Doctrine in India &China" 22 : 1983

      54 Schmithausen, Lambert, "The Genesis of Yogācāra-Vijñānavāda - Responses and Reflections" 2014

      55 Wangchuk, Dorji, "The Foundation for Yoga Practitioners: The Buddhist Yogācārabhūmi Treatise and Its Adaptation in India, East Asia, and Tibet" 2013

      56 Hungtington C. W., "The Emptines of Emptiness: An Introduction to Early Indian Mādhyamika"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9

      57 클라우즈 디터 마테즈, "The Eighth Karmapa Mi bskyod rdo rje (1507-1554) on the Relation between Buddha Nature and its Adventitious Stains" 불교문화연구소 (22) : 63-104, 2017

      58 Radich, Michael, "The Doctrine of *Amalavijñāna in Paramārtha [499-569] and Later Authors to Approximately 800 C.E" 41 : 2008

      59 Waldron, Williams S., "The Buddhist Unconscious: The Ālaya-vijñāna in the Context of Indian Buddhist Thought" 2003

      60 Hookham, S. K., "The Buddha within" SUNY 1991

      61 Stearns, C., "The Buddha from Dolpo" 2002

      62 Komarovski, Yaroslav, "Shakya Chokden’s Interpretation of the Ratnagotravibhāga: “Contemplative” or “Dialectical”" 38 (38): 2010

      63 E. Lamotte, "Saṃdhinirmocana-sūtra"

      64 Dreyfus, Georges, "Recognizing Reality" SUNY 1997

      65 Kano, Kazuo, "Ratnākaraśānti’s Understanding of Buddha-nature" (2) : 2015

      66 E. H. Johnston, "Ratnagotravibhāga"

      67 Radich, Michael, "Pure Mind in India: Indian Background to Paramārtha’s *Amalavijñāna" 39 : 2016

      68 Brunnhölzl, Karl, "Prajñāpāramitā, Indian "gZhan stong pas", And the Beginning of Tibetan gzhan stong" 2011

      69 Paul, Diana Y., "Philosophy of Mind in sixth-century China: Paramartha's "Evolution of Consciousness""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4

      70 Dol bo ba, "Mountaion Doctrine: Tibet’s Fundamental Treatise on Other Emptiness and Buddha Matrix" Snow Lion Pub 2008

      71 Conze, Edward, "Melanges d’Indienisme a la memoire de Louis Renou" 1968

      72 S. Lévi, "Mahāyāna-sūtrālaṃkāra"

      73 Higgins, David, "Mahāmudrā in India and Tibet" Brill 2020

      74 S. Yamaguchi, "Madhyāntavibhāga-Ṭīkā"

      75 G. Nagao, "Madhyānta-vibhāga-Bhāṣya"

      76 Kramer, Jowita, "Kategorien der Wirklichkeit im frühen Yogācāra" 2005

      77 Luo, Hong, "Is Ratnākaraśānti a gZhan stong pa?" 46 : 577-619, 2018

      78 Higgins, David, "How is Consciousness (rnam shes)Related to Wisdom (ye shes)? The Eighth Karma pa on Buddhist Differentiation and Unity Models of Reality" 48 (48): 2015

      79 Deleanu, Florin, "How Gnosis Met Logos: The Story of a Hermeneutical Verse in Indian Buddhism" 23 : 2019

      80 Franco, Eli, "Harānandalaharī Volume in Honour of professor Minoru Hara on his Seventieth Birthday" Verlag für Orientalistische Fachpublikationen 2000

      81 Sakuma, S. Hidenori 佐久間秀範, "Die Āśrayaparivṛtti-Theorie in der Yogācārabhūmi" 1990

      82 Kajiyama, Yuichi, "Controversy between the Sākāraand Nirākāra-vādins of the Yogācāra School – Some Materials" 14 (14): 2005

      83 Higgins, David, "Buddha in the Storehouse: Mi bskyod rdo rje on the Relation between Tathāgatagarbha and Ālyavijñāna" 42 : 2019

      84 Nalinaksha Dutt, "Bodhisattvabhūmi" Patna 1978

      85 Frauwallner, Erich, "Beiträge zur indischen Philologie und Altertumskunde" 637-648, 1982

      86 Feyerabend, Paul, "Against Method" 1975

      87 P. Pradhan, "Abhidharmakośabhāṣya"

      88 안성두, "<삼무성론>에 나타난 진제의 삼성설 해석의 특징 (II) _유식문헌의 인용과 그 해석상의 차이를 중심으로_" 인도철학회 (42) : 261-299,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5-03-19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Institute for uddhist Studies -> Korean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5 1.569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