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컬렉티브하우스 공간특성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Spatial Characteristics in Collectivehouse for the Activation of the Community - Focused on Common Spac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796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ses characteristics of space to facilitate community centering on cases of collective houses in Japan and uses the results as basic data to activate collective houses as an alternative form of housing in our country. To identify the ch...

      This study analyses characteristics of space to facilitate community centering on cases of collective houses in Japan and uses the results as basic data to activate collective houses as an alternative form of housing in our countr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for active communities with collective living space, this study conducted a theoretical examination on collective houses and housing, derived territoriality, accessibility, comfort and safety as factors of community activation and analysed various cases,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erritoriality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formation of community, and a confined and physical space. It indicates the proper size of a space and diverse spacial areas which meet the needs of residents with the proper size and amount of space (space which can accommodate diverse generations including women, the aged and the young, flexible space which changes according to the purposes and program, space which supports leisure and hobby activities, and space which can accommodate outsiders). Second, accessibility indicates an environment which supports residents" easy use of space. As the more accessible it is, the higher the frequency of its use, spatial factors (piloti, backyards, benches and tables) should be provided, community space should be arranged in a central or decentralized way and community living space should be made for each floor. As for exits, accessibility should be considered in every way; entrances connected with community spaces, open entrances and entrances accessible from outside or individual living spaces. Third, comfort satisfies the physical and mental needs of residents through separation of floors and flows between the community and individual spaces for privacy and formation of eco-friendly spaces including vegetable gardens, gardens and plant arrangements. Fourth, safety should be considered for a higher quality environment with psychological stability and comfort, for which the following are recommended: installation of hand-rails, removal of thresholds, spacial design for the socially weak, duplex and open type structures for community space, open stages and halls, as well as indoor and outdoor openness through the use of window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고찰
      • 3. 사례분석
      • 4. 결론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고찰
      • 3. 사례분석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민정, "코하우징(Cohousing) 개념을 적용한 도시근교 주거단지의 계획방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2 임윤희, "코하우징(COHOUSING)의 공동육아환경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3

      3 고야베 이쿠코, "컬렉티브하우스" 클 2013

      4 커뮤니티디자인센터, "커뮤니티 디자인을 하다" 나무도시 2009

      5 박상미, "집합주택 커뮤니티 공간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6 김학균, "집합주거 단지 내의 커뮤니티 형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12 (12): 2001

      7 오준호, "주거지의 사회적 지속성을 위한 커뮤니티 활성화 계획 요소 : 광주광역시 택지개발지구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8 나카무라 시노부, "일본 Collective housing 사례분석을 통한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9 김재희, "우리나라 시니어 코하우징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10 이보배, "아파트 단지 내 커뮤니티 운영 요소와 유형별 활성화 방안" 건국대 2015

      1 +한민정, "코하우징(Cohousing) 개념을 적용한 도시근교 주거단지의 계획방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2 임윤희, "코하우징(COHOUSING)의 공동육아환경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3

      3 고야베 이쿠코, "컬렉티브하우스" 클 2013

      4 커뮤니티디자인센터, "커뮤니티 디자인을 하다" 나무도시 2009

      5 박상미, "집합주택 커뮤니티 공간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6 김학균, "집합주거 단지 내의 커뮤니티 형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12 (12): 2001

      7 오준호, "주거지의 사회적 지속성을 위한 커뮤니티 활성화 계획 요소 : 광주광역시 택지개발지구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8 나카무라 시노부, "일본 Collective housing 사례분석을 통한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9 김재희, "우리나라 시니어 코하우징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10 이보배, "아파트 단지 내 커뮤니티 운영 요소와 유형별 활성화 방안" 건국대 2015

      11 주거학연구회, "세계의 코하우징: 더불어 사는 이웃" 교문사 2000

      12 박정은, "사회통합형 공동주택 개발을 위한 공유공간의 디자인요소 연구" 대한건축학회 26 (26): 11-21, 2010

      13 강승연, "그린커뮤니티 인증지표에 관한 연구 : LEED-ND, BREEAM-communities, CASBEE-UD, GBCC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14 서주환, "공동주택 커뮤니티공간 배치유형별 이용행태 분석 을 통한 커뮤니티활성화 방안 연구 : 대한주택공사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08

      15 이송현, "공동주택 커뮤니티 공간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8 (8): 79-87, 2008

      16 송진석, "공동주택 커뮤니티 계획이 주거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09

      17 노대건, "공동주거단지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주민공동시설 계획방안에 관한 연구 : 실내 커뮤니티 프로그램 및 해당 공간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18 정소원, "거주자 만족도 향상을 위한 아파트 단지 커뮤니티 공간 계획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19 임연수, "‘사회적 소통’을 위한 아파트단지 공용공간의 계획목표 및 전략 도출" 한국주거학회 22 (22): 1-14, 2011

      20 "https://www.hituji.jp/"

      21 "http://www.minnahouse.com/styled-5/styled-12/index.html"

      22 "http://www.gunma-jkk.or.jp/motosoja/index.htm"

      23 "http://www.co-plus.co.jp/culum/collective/index.html"

      24 "http://www.chc.or.jp/"

      25 "http://stylio.jp/with/daikanyama/rent/"

      26 "http://forum.10plus1.jp/renovation/archives/087shoin/"

      27 "http://blogs.yahoo.co.jp/najimi55"

      28 "http://118.82.121.2/staff/2009/04/post-12.html"

      29 남원석, "1인가구시대 맞춤형 주거해법 사회임대형 공동체주택 활성화" 서울연구원 2014

      30 서울시 주택정책실, "18년까지 임대주택 8만호 공급 세부계획 발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2 0.758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