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필사본 음식조리서의 의미 주석 연구 = Semantic Annotations of Culinary Terms for Korean Culinary Manuscripts of Joseon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571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a follow up study of the previously reported research project Compiling and Developing a Corpus of 17-19th Century Korean Culinary Manuscripts and a Customized Browser. The previous project, which was based on the morpheme based annotation, was not sufficient for extracting culinary terms since many terms are in the form of so-called ‘extended lexical units(ELU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the semantic unit of specific terms should be treated on phrase level. By extracting ELUs and morpheme units of culinary terms, firstly, richer information on the expressions could be obtained. Secondly, more accurate annotation of culinary terms has been achieved according as the context of each terms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Lastly, the products attained from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compile domain-specific dictionaries and contribute to extend lemma status to multi-word items.
      번역하기

      This study presents a follow up study of the previously reported research project Compiling and Developing a Corpus of 17-19th Century Korean Culinary Manuscripts and a Customized Browser. The previous project, which was based on the morpheme based an...

      This study presents a follow up study of the previously reported research project Compiling and Developing a Corpus of 17-19th Century Korean Culinary Manuscripts and a Customized Browser. The previous project, which was based on the morpheme based annotation, was not sufficient for extracting culinary terms since many terms are in the form of so-called ‘extended lexical units(ELU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the semantic unit of specific terms should be treated on phrase level. By extracting ELUs and morpheme units of culinary terms, firstly, richer information on the expressions could be obtained. Secondly, more accurate annotation of culinary terms has been achieved according as the context of each terms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Lastly, the products attained from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compile domain-specific dictionaries and contribute to extend lemma status to multi-word item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길임, "확장된 어휘 단위에 대한 연구 동향과 한국어의 기술" 한국사전학회 7 (7): 75-100, 2011

      2 안의정, "한글 필사본 음식조리서의 텍스트언어학적 연구" 한국문학언어학회 (54) : 5-38, 2011

      3 안의정, "한글 필사본 음식조리서 말뭉치 구축을 위한 마크업 방안 연구" 한국언어정보학회 12 (12): 95-114, 2008

      4 강범모, "한국학 문헌의 전산화를 위한 TEI 부호화 방안의 응용과 확장" 학술진흥재단 1998

      5 윤애선, "한국어 어휘의미망 「KorLex 1.5」의 구축" 한국정보과학회 36 (36): 92-108, 2009

      6 남길임, "조선시대 필사본 음식조리서의 음식 용어 의미 주석을 위한 연구 -「음식디미방」을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회 26 : 47-72, 2008

      7 이홍식, "음료 명사의 사전 기술에 대하여" 한국어의미학회 27 : 199-224, 2008

      8 백두현, "옛 편지에 나타난 식생활과 음식문화" 남명학연구원 16 : 56-67, 2009

      9 Sinclair, J. McH, "Trust the Text; Language, Corpus and Discourse" Routledge 2004

      10 Stubbs, M., "The Search for Units of Meaning; Sinclair on Empirical Semantics" 30 (30): 115-137, 2009

      1 남길임, "확장된 어휘 단위에 대한 연구 동향과 한국어의 기술" 한국사전학회 7 (7): 75-100, 2011

      2 안의정, "한글 필사본 음식조리서의 텍스트언어학적 연구" 한국문학언어학회 (54) : 5-38, 2011

      3 안의정, "한글 필사본 음식조리서 말뭉치 구축을 위한 마크업 방안 연구" 한국언어정보학회 12 (12): 95-114, 2008

      4 강범모, "한국학 문헌의 전산화를 위한 TEI 부호화 방안의 응용과 확장" 학술진흥재단 1998

      5 윤애선, "한국어 어휘의미망 「KorLex 1.5」의 구축" 한국정보과학회 36 (36): 92-108, 2009

      6 남길임, "조선시대 필사본 음식조리서의 음식 용어 의미 주석을 위한 연구 -「음식디미방」을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회 26 : 47-72, 2008

      7 이홍식, "음료 명사의 사전 기술에 대하여" 한국어의미학회 27 : 199-224, 2008

      8 백두현, "옛 편지에 나타난 식생활과 음식문화" 남명학연구원 16 : 56-67, 2009

      9 Sinclair, J. McH, "Trust the Text; Language, Corpus and Discourse" Routledge 2004

      10 Stubbs, M., "The Search for Units of Meaning; Sinclair on Empirical Semantics" 30 (30): 115-137, 2009

      11 Biber, D., "The Longman Grammar of Spoken and Written English" Longman 1999

      12 Brinker, K., "Linguistic text analysis. 3rd Edition" Berlin 1992

      13 Nam, K.I., "Extracting and Annotating Extended Lexical Units of Culinary Terms for Korean Culinary Manuscripts of Joseon Period" 2012

      14 Paek, D.H., "Compiling and Developing a Corpus of 17-19th Century Korean Culinary Manuscripts and a Customized Corpus Browser" 741-746, 2008

      15 Biber, D., "A Corpus-driven Approach to Comparative hraseology: Lexical Bundles in English, Spanish, and Korean" 17 : 75-94, 2010

      16 이은령, "19세기 문헌 국역본의 개체명 인식 및 관계 추출을 위한 기초 연구"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14 (14): 141-162,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6 1.50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