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4-25 시즌프리미어리그 중계채널 동적 스코어보드의 다층적 문화 요소와 동적 표현 방식 연구 -득점 순간 표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Multi-Layered Cultural Elements and Dynamic Expression Methods of the 24-25 Season Premier League Broadcast Channel's Dynamic Scoreboard -focusing on the expression of scoring mo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852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24-25 시즌 프리미어리그 중계채널의 동적 스코어보드에 나타나는 득점 순간의 문화적 요소와 동적 표현 방식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프리미어리그가 20개 클럽에 맞춘 전용 골 모션그래픽을 도입한 것은 스포츠 시각 문화의 변화를 보여주며, 기존 연구가 주로 정적인 시각 요소에 집중되어 있어 모션그래픽에 대한 학술적 탐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요소 분류법과 비교 분석법을 활용하여 프리미어리그 20개 클럽의 골 모션그래픽을 문화적 출처에 따라 분류하고, 도시 규모에 따른 시각적 표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골 모션그래픽의 문화적 요소는 클럽 문화 14개 클럽, 도시 문화 7개 클럽, 팬 문화 5개 클럽의 세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엠블럼 확장 그래픽이 10개 클럽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동물 모티프가 7개 클럽에서 주요 시각적 주제로 나타났다. 둘째, 런던이 아닌 도시 클럽들은 도시 문화 요소를 적극 활용한 반면, 런던 소재 클럽들은 클럽 고유의 문화적 요소를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동적 표현 방식에서는 다음 다섯 가지 구체적 전략이 득점 순간의 시각적 언어를 구성하여 승리감과 공격성을 전달하고 있다. ①방향성은 '아래에서 위로'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일관된 흐름을 통해 긍정적 연상을 불러일으킨다. ②엠블럼 동적 처리는 동물 요소가 정적인 상태에서 동적인 공격 자세로 전환되는 특징을 보인다. ③색채 표현은 구단의 대표색을 기반으로 하며, 더비 경기에서는 뚜렷한 문화적 대립 분위기를 형성한다. ④소리의 시각화는 구단의 응원가와 팬들의 함성을 동적 시각 요소로 변환한다. ⑤4초라는 제한된 시간 안에 'GOAL' 문자와 구단의 특색 있는 문화 요소를 자연스럽게 결합하여 최대한의 시각적 식별 효과를 실현한다. 본 연구는 스포츠 시각 문화 연구 영역을 정적 요소에서 모션그래픽으로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다양한 리그 비교 연구, 팬 반응 연구, 시간적 변화 연구 등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24-25 시즌 프리미어리그 중계채널의 동적 스코어보드에 나타나는 득점 순간의 문화적 요소와 동적 표현 방식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프리미어리그가 20개 클럽에 맞춘 ...

      본 연구는 2024-25 시즌 프리미어리그 중계채널의 동적 스코어보드에 나타나는 득점 순간의 문화적 요소와 동적 표현 방식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프리미어리그가 20개 클럽에 맞춘 전용 골 모션그래픽을 도입한 것은 스포츠 시각 문화의 변화를 보여주며, 기존 연구가 주로 정적인 시각 요소에 집중되어 있어 모션그래픽에 대한 학술적 탐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요소 분류법과 비교 분석법을 활용하여 프리미어리그 20개 클럽의 골 모션그래픽을 문화적 출처에 따라 분류하고, 도시 규모에 따른 시각적 표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골 모션그래픽의 문화적 요소는 클럽 문화 14개 클럽, 도시 문화 7개 클럽, 팬 문화 5개 클럽의 세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엠블럼 확장 그래픽이 10개 클럽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동물 모티프가 7개 클럽에서 주요 시각적 주제로 나타났다. 둘째, 런던이 아닌 도시 클럽들은 도시 문화 요소를 적극 활용한 반면, 런던 소재 클럽들은 클럽 고유의 문화적 요소를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동적 표현 방식에서는 다음 다섯 가지 구체적 전략이 득점 순간의 시각적 언어를 구성하여 승리감과 공격성을 전달하고 있다. ①방향성은 '아래에서 위로'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일관된 흐름을 통해 긍정적 연상을 불러일으킨다. ②엠블럼 동적 처리는 동물 요소가 정적인 상태에서 동적인 공격 자세로 전환되는 특징을 보인다. ③색채 표현은 구단의 대표색을 기반으로 하며, 더비 경기에서는 뚜렷한 문화적 대립 분위기를 형성한다. ④소리의 시각화는 구단의 응원가와 팬들의 함성을 동적 시각 요소로 변환한다. ⑤4초라는 제한된 시간 안에 'GOAL' 문자와 구단의 특색 있는 문화 요소를 자연스럽게 결합하여 최대한의 시각적 식별 효과를 실현한다. 본 연구는 스포츠 시각 문화 연구 영역을 정적 요소에서 모션그래픽으로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다양한 리그 비교 연구, 팬 반응 연구, 시간적 변화 연구 등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cultural elements and dynamic expression methods in goal moments of Premier League scoreboards during 2024-25 season. Premier League's introduction of customized goal motion graphics for 20 clubs demonstrates sports visual culture transformation. Since existing research primarily focused on static visual elements, academic exploration of motion graphics as new visual culture is necessary.This study employed element classific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methods to categorize the goal motion graphics of 20 Premier League clubs according to their cultural sources and analyzed differences in visual expression based on city scale.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ultural elements of goal motion graphic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club culture (14 clubs), city culture (7 clubs), and fan culture (5 clubs). Emblem extension graphics were most frequently utilized by 10 clubs, while animal motifs appeared as the primary visual theme in 7 clubs. Second, clubs located outside London actively utilized city cultural elements, whereas London-based clubs tended to emphasize their unique cultural elements. This reveals the difference in visual strategies between multi-club cities and single-club cities. Third, in terms of dynamic expression methods, the following five specific strategies constitute the visual language of goal moments, conveying a sense of victory and aggression: ①Directionality evokes positive associations through consistent flows of 'bottom-to-top' and 'left-to-right'; ②Dynamic emblem processing features the transformation of animal elements from static states to dynamic attacking postures; ③Color expression is based on clubs' representative colors, creating distinct cultural confrontational atmospheres in derby matches; ④Sound visualization converts club anthems and fan chants into dynamic visual elements; ⑤Within the limited time of 4 seconds, 'GOAL' text is naturally combined with clubs' distinctive cultural elements to achieve maximum visual identification effects.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s the research field of sports visual culture from static elements to motion graphics, and can be developed into comparative studies with various leagues, fan reaction studies, and temporal change studies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s cultural elements and dynamic expression methods in goal moments of Premier League scoreboards during 2024-25 season. Premier League's introduction of customized goal motion graphics for 20 clubs demonstrates sports visual culture ...

      This study analyzes cultural elements and dynamic expression methods in goal moments of Premier League scoreboards during 2024-25 season. Premier League's introduction of customized goal motion graphics for 20 clubs demonstrates sports visual culture transformation. Since existing research primarily focused on static visual elements, academic exploration of motion graphics as new visual culture is necessary.This study employed element classific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methods to categorize the goal motion graphics of 20 Premier League clubs according to their cultural sources and analyzed differences in visual expression based on city scale.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ultural elements of goal motion graphic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club culture (14 clubs), city culture (7 clubs), and fan culture (5 clubs). Emblem extension graphics were most frequently utilized by 10 clubs, while animal motifs appeared as the primary visual theme in 7 clubs. Second, clubs located outside London actively utilized city cultural elements, whereas London-based clubs tended to emphasize their unique cultural elements. This reveals the difference in visual strategies between multi-club cities and single-club cities. Third, in terms of dynamic expression methods, the following five specific strategies constitute the visual language of goal moments, conveying a sense of victory and aggression: ①Directionality evokes positive associations through consistent flows of 'bottom-to-top' and 'left-to-right'; ②Dynamic emblem processing features the transformation of animal elements from static states to dynamic attacking postures; ③Color expression is based on clubs' representative colors, creating distinct cultural confrontational atmospheres in derby matches; ④Sound visualization converts club anthems and fan chants into dynamic visual elements; ⑤Within the limited time of 4 seconds, 'GOAL' text is naturally combined with clubs' distinctive cultural elements to achieve maximum visual identification effects.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s the research field of sports visual culture from static elements to motion graphics, and can be developed into comparative studies with various leagues, fan reaction studies, and temporal change studies in the futur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