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21년 재산세제 판례회고 = Review of Supreme Court Decisions Delivered in 2021 on the Property Tax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21년 한 해 동안 선고된 상속세 및 증여세법 , 지방세법 판결 중 5건을 선정하여검토하였다.
      우선 증여세와 관련하여 대법원 2021. 9. 9. 선고 2019두35695 전원합의체 판결은 2014 년 개정된 상증세법 시행령 제31조 제6항이 모법인 2014년 개정된 상증세법 제41조 제1 항의 규정 취지에 반할 뿐만 아니라 그 위임범위를 벗어난 것으로서 무효라고 봄이 타당하다고 판시하였다. 대법원은 위 전원합의체 판결을 포함하여 세 차례의 전원합의체 판결을 통해 2014년 개정 전후 상증세법 시행령 제31조 제6항이 모법의 위임범위를 벗어난 것으로서 무효라고 판단하였다. 대법원 2021. 9. 30. 선고 2017두66244 판결은 구 상증세법 제38조의 합병에 따른 이익의 증여 규정과 관련하여 합병법인이 합병 전 보유하던피합병법인의 주식인 포합주식 및 피합병법인이 보유하고 있던 자기주식에 대하여 합병신주를 배정하여 합병법인이 자기주식을 보유하게 되는 경우를 위 포합주식 및 자기주식에 대하여 합병신주를 배정하지 않거나 합병신주를 배정받아 합병과 동시에 이를 소각한 경우와 동일하게 취급할 수 없고, 위 포합주식과 자기주식에 대하여 합병신주가 적게 배정됨에 따라 합병법인이 주주들이 얻은 이익을 자기증여로 볼 수 없다고 판시하였다. 또한, 대법원 2021. 9. 30. 선고 2017두37376 판결은 구 상증세법 제42조 제4항 제1호에서 재산가치증가사유의 하나로 규정하고 있는 ‘합병’을 구 상증세법 제41조의5에서 규정하고 있는 ‘합병에 의한 상장’으로 제한하여 해석하여야 한다고 판시하였는데, 위 판결은 구 상증세법 제42조 제4항 제1호 중 ‘주식․출자지분의 상장 및 합병’의 의미를 밝힌최초의 판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나, 위 조항의 재산가치증가사유가 제한적 열거규정인지 여부 등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있다.
      취득세와 관련하여 대법원 2021. 5. 7. 선고 2020두49324 판결은 지방세기본법상 특수관계인의 판단 기준 중 하나인 경영지배관계와 관련하여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주체가 본인이어야 한다는 취지의 원심판결을 긍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이 입법취지에 부합하는 해석인지는 의문이 남는다. 또한, 대법원 2021. 5. 27. 선고 2017두56032 판결은 부동산에 대하여 임시사용승인이 있은 후 관련 소송에서 소유권 취득 여부가 다투어진 경우 사실상의 취득시기는 관련 소송의 판결확정일로 변경되지 않고 사실상의취득시기는 임시사용승인일로 보아야 한다고 판시함으로써 사실상의 취득 시점에 대한기존 판례의 입장을 다시 한번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2021년 한 해 동안 선고된 상속세 및 증여세법 , 지방세법 판결 중 5건을 선정하여검토하였다. 우선 증여세와 관련하여 대법원 2021. 9. 9. 선고 2019두35695 전원합의체 판결은 2014 년 개정된 상증...

      2021년 한 해 동안 선고된 상속세 및 증여세법 , 지방세법 판결 중 5건을 선정하여검토하였다.
      우선 증여세와 관련하여 대법원 2021. 9. 9. 선고 2019두35695 전원합의체 판결은 2014 년 개정된 상증세법 시행령 제31조 제6항이 모법인 2014년 개정된 상증세법 제41조 제1 항의 규정 취지에 반할 뿐만 아니라 그 위임범위를 벗어난 것으로서 무효라고 봄이 타당하다고 판시하였다. 대법원은 위 전원합의체 판결을 포함하여 세 차례의 전원합의체 판결을 통해 2014년 개정 전후 상증세법 시행령 제31조 제6항이 모법의 위임범위를 벗어난 것으로서 무효라고 판단하였다. 대법원 2021. 9. 30. 선고 2017두66244 판결은 구 상증세법 제38조의 합병에 따른 이익의 증여 규정과 관련하여 합병법인이 합병 전 보유하던피합병법인의 주식인 포합주식 및 피합병법인이 보유하고 있던 자기주식에 대하여 합병신주를 배정하여 합병법인이 자기주식을 보유하게 되는 경우를 위 포합주식 및 자기주식에 대하여 합병신주를 배정하지 않거나 합병신주를 배정받아 합병과 동시에 이를 소각한 경우와 동일하게 취급할 수 없고, 위 포합주식과 자기주식에 대하여 합병신주가 적게 배정됨에 따라 합병법인이 주주들이 얻은 이익을 자기증여로 볼 수 없다고 판시하였다. 또한, 대법원 2021. 9. 30. 선고 2017두37376 판결은 구 상증세법 제42조 제4항 제1호에서 재산가치증가사유의 하나로 규정하고 있는 ‘합병’을 구 상증세법 제41조의5에서 규정하고 있는 ‘합병에 의한 상장’으로 제한하여 해석하여야 한다고 판시하였는데, 위 판결은 구 상증세법 제42조 제4항 제1호 중 ‘주식․출자지분의 상장 및 합병’의 의미를 밝힌최초의 판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나, 위 조항의 재산가치증가사유가 제한적 열거규정인지 여부 등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있다.
      취득세와 관련하여 대법원 2021. 5. 7. 선고 2020두49324 판결은 지방세기본법상 특수관계인의 판단 기준 중 하나인 경영지배관계와 관련하여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주체가 본인이어야 한다는 취지의 원심판결을 긍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이 입법취지에 부합하는 해석인지는 의문이 남는다. 또한, 대법원 2021. 5. 27. 선고 2017두56032 판결은 부동산에 대하여 임시사용승인이 있은 후 관련 소송에서 소유권 취득 여부가 다투어진 경우 사실상의 취득시기는 관련 소송의 판결확정일로 변경되지 않고 사실상의취득시기는 임시사용승인일로 보아야 한다고 판시함으로써 사실상의 취득 시점에 대한기존 판례의 입장을 다시 한번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승규, "특수관계인의 개념요소로서의 경영지배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세학회 8 (8): 123-153, 2021

      2 이준엽, "지방세기본법에 따른 특수관계인 판단 시 쌍방관계설 적용 여부" 법원도서관 (128) : 2021

      3 이상훈, "자사주, ʻ마법(魔法)ʼ과 ʻ해법(解法)ʼ - 합병의 일방이 보유한 자기주식 또는 상대방 주식의 처리 -" 한국상사법학회 39 (39): 265-308, 2020

      4 김지현, "부동산에 대하여 대금의 지급 등과 같은 소유권 취득의 실질적 요건을 갖춘 이후 관련 소송에서 소유권 취득 여부가 다투어진 경우 그 사실상 취득시기가 관련 소송에서의 판결 확정일로 변경되는지 여부" 법원도서관 (128) : 2021

      5 신만중, "법인 합병 시 합병대가를 둘러싼 제 문제 - 흡수합병 시의 자기주식 등의 취득과 소멸법인 주주에 대한 과세 등을 중심으로 -" 비교법학연구소 49 : 655-698, 2016

      6 전경근 ; 윤현석, "명의신탁을 통해 취득한 부동산에 대한 취득세의 부과 - 대상판결 : 대법원 2018. 3. 22. 선고 2014두43110 전원합의체 판결 -" 법학연구소 12 (12): 70-97, 2019

      7 주승연, "구 상증세법 제42조 제4항 ‘개발사업’의 의미 –서울고등법원 2018. 12. 12. 선고 2017누86721판결-" 법학연구소 (89) : 237-258, 2020

      8 김재승,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 5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법학원 163 : 343-370, 2017

      9 김영순,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2조의3 (재산 취득 후 재산가치 증가에 따른 이익의 증여) 해석에 관한 소고 ―부동산 개발회사를 이용한 편법증여에 대한 증여세 과세의법적 문제 및 입법적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10 (10): 5-53, 2021

      1 오승규, "특수관계인의 개념요소로서의 경영지배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세학회 8 (8): 123-153, 2021

      2 이준엽, "지방세기본법에 따른 특수관계인 판단 시 쌍방관계설 적용 여부" 법원도서관 (128) : 2021

      3 이상훈, "자사주, ʻ마법(魔法)ʼ과 ʻ해법(解法)ʼ - 합병의 일방이 보유한 자기주식 또는 상대방 주식의 처리 -" 한국상사법학회 39 (39): 265-308, 2020

      4 김지현, "부동산에 대하여 대금의 지급 등과 같은 소유권 취득의 실질적 요건을 갖춘 이후 관련 소송에서 소유권 취득 여부가 다투어진 경우 그 사실상 취득시기가 관련 소송에서의 판결 확정일로 변경되는지 여부" 법원도서관 (128) : 2021

      5 신만중, "법인 합병 시 합병대가를 둘러싼 제 문제 - 흡수합병 시의 자기주식 등의 취득과 소멸법인 주주에 대한 과세 등을 중심으로 -" 비교법학연구소 49 : 655-698, 2016

      6 전경근 ; 윤현석, "명의신탁을 통해 취득한 부동산에 대한 취득세의 부과 - 대상판결 : 대법원 2018. 3. 22. 선고 2014두43110 전원합의체 판결 -" 법학연구소 12 (12): 70-97, 2019

      7 주승연, "구 상증세법 제42조 제4항 ‘개발사업’의 의미 –서울고등법원 2018. 12. 12. 선고 2017누86721판결-" 법학연구소 (89) : 237-258, 2020

      8 김재승,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 5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법학원 163 : 343-370, 2017

      9 김영순,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2조의3 (재산 취득 후 재산가치 증가에 따른 이익의 증여) 해석에 관한 소고 ―부동산 개발회사를 이용한 편법증여에 대한 증여세 과세의법적 문제 및 입법적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10 (10): 5-53,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세법연구회 -> 한국세법학회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5 1.048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