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지하, "생명학", 화남, p. 99, 2003
2 한석우, "입체조형", 미진사, p. 34, 2001
3 이성희, "無의 미학", 새미, p. 25, 60, 2003
4 민경호, "장소의 혼", 태림문화사, p. 19, 1996
5 고성룡, 정진원, 반 드 벤, "건축 공간론", 기문당, pp. 16~18, 1998
6 이상오, "경계와 여백", p. 14, 2011
7 김춘미, 이우환, "여백의 예술", 현대문학, pp. 16~17, 2013
8 송수남, "한국화의 길", 미진사, p. 139, 1995
9 시미즈 히로시, 임승원, "=생명과 장소", 전파과학사, pp. 16~29, 1994
10 현춘수, "과학용어사전", 뉴턴고리아편집부, 2010
1 김지하, "생명학", 화남, p. 99, 2003
2 한석우, "입체조형", 미진사, p. 34, 2001
3 이성희, "無의 미학", 새미, p. 25, 60, 2003
4 민경호, "장소의 혼", 태림문화사, p. 19, 1996
5 고성룡, 정진원, 반 드 벤, "건축 공간론", 기문당, pp. 16~18, 1998
6 이상오, "경계와 여백", p. 14, 2011
7 김춘미, 이우환, "여백의 예술", 현대문학, pp. 16~17, 2013
8 송수남, "한국화의 길", 미진사, p. 139, 1995
9 시미즈 히로시, 임승원, "=생명과 장소", 전파과학사, pp. 16~29, 1994
10 현춘수, "과학용어사전", 뉴턴고리아편집부, 2010
11 김병종, "중국회화연구", 서울대학교출판사, p. 95, 1997
12 송번수, "현대섬유미술", 디자인하우스 ,p. 143, 1997
13 정영숙, "원재선 개인전", 서문, 갤러리 세인, 2020
14 이우환, "이우환 개인전", 전시도록, 가마쿠라 근대 미술관, 1993
15 마르쿠스 슈뢰르,, 정인모, 배정희, "공간, 장소, 경계", 에코리브르 p. 30, 2010
16 하워드 리사티, 허보윤, "공예란 무엇인가", 미진사, p. 96, 2013
17 조명래, "공간으로 사회읽기", 한울아카데미, p.40, 2016
18 김형효, "데리다의 해체철학", 믿음사, pp. 155~158, pp. 233~234, 1999
19 김형효, "노자에서 데리다까지", 예문서원, p. 278, 2001
20 박찬국, "현대미술의 기초개념", p. 186, 1995
21 이준, "한국미술-여백의 발견", 전시도록, 삼성미술관, p. 6, 2007
22 박대순, "현대 디자인 용어사전", 디자인 오피스, p. 124, 1996
23 이광선, "현대 장신구의 예술성", 한국디자인문화학회, Vol.6, No.2, p. 422, 2000
24 김성원, "노자와 장자의 철학사상", 명문당, 노자 11장, p. 37, 2002
25 강태희, "동시대 한국미술의 지형", 학고재, p. 146, 2009
26 윤민희, "새로운 조형예술의 이해", 예경, p. 73, 2008
27 오든재, "입체조형과 새로운 공간", 미진사, p. 68, 1991
28 윤난지, "형태 반복의 방법과 의미", pp. 106~107, 1992
29 이진경,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그린비, p. 131, 2010
30 최미화, "코일링(Coiling) 섬유조형 작품",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 8, 2000
31 김경수, "노자 생명사상의 현대적 담론", 문사철, pp. 121~122, 2010
32 K. C. Cole, 김봉희, "우주의 구멍-The Hole in the Universe", 해냄, p. 14, 2004
33 전용일, "서구 현대 장신구의 형상성 연구-1", 造形論叢, Vol.21, p. 195, 2002
34 이원숙, "서도호의 설치작업과 생성의 미학",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3, pp. 261, 2018
35 이윤령, "스튜디오 장신구 운동에 관한 연구", 한국조형디자인학회, Vol.18 No.4, P. 197, 2015
36 홍천화, "지하저수조 내부 라이닝 재질 검토", 대림산업연구소, p. 67, 2000
37 C.A 반 퍼슨, , 손봉호, 강영안, "몸, 영혼, 정신: 철학적 인간학 입문", 서광사, p. 145, 1985
38 권영걸, "공간디자인 하기 공간디자이너 되기", 서울: 날마다, p. 92, 2011
39 김명주, "질 들뢰즈의 반복개념에 관한 한 연구", 대동철학회지, Vol.100, pp. 77~78, 2006
40 김계옥, "웨어러블 아트로서 신체확장 표현연구", 홍익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p. 5, 2016
41 노먼, 도널드, "인지공학심리연구회. 생각있는 디자인", 학지사. p. 80, 1998
42 임옥수, "조형디자이너를 위한 금속조형 해석론", 이담, p. 12, 2010
43 정현, "가느다란 선, 공간의 발견 프레드 샌드백", SPACE 매거진, 511호, pp. 112~113, 2010
44 김상호, "도자조형에서의 비가시성 공간구조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8, 2015
45 박연숙, "현대미술에 적용된 동양화의 공간개념 연구", 美術史學報, Vol.52, p. 220, 2019
46 장세룡, "헤테로토피아:(탈)근대 공간 이해를 위한 시론", 대구사학, Vol.95, p. 6, 2009
47 권희연, "繪畵의 章法運用을 통한 意境的 空間 表現硏究", 홍익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6, 2011
48 남화경, "복합재료(Mixed-media)의 활용과 현대장신구의 전개", 한국디자인지식학회, p. 4, 2013
49 박숙영, "부드러운 마티에르의 형태화에 의한 조각의 변모,", 조형 교육, Vol.44, pp. 158~159, 2012
50 김동철, "조형예술에 나타나는 시간성과 공간성에 관한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Vol.39, p. 14, 2004
51 최재식, "신체개념을 통한 메를로 퐁티 현상학과 후설 현상학 연구", 2009, 철학과 현상학연구, Vol.40, pp. 18~19, 2009
52 이주현, 동시대, 나무위키, 홍경희, "금속의 탄성을 이용한 유기적 연결구조의 장신구 조형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Vol.18 No.3, p. 7, 2015
53 김화자, "모리스 메를로-퐁티의 표현론에 나타난 형태와 상징의 관계", 철학과 현상학연구, 제40집, P. 125, 2009
54 김태우, 이찬,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을 통해서 본 한국전통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Vol.15 No.6, p. 12, 2006
55 신길수, "상상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론적 근거: 흄과 칸트의 상상론을 중심으로", 한국미학회, Vol.23, No.0, p. 79, 1997
56 박유미, 최경란, "공간 경험을 통한 공간과 오브제의 상호작용 : 인간의 인지적 체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Vol.9, No2, p. 402, 2008
57 김정지, "주름 접기(Folding)의 특성을 이용한 착용예술(Wearable Art)로서의 장신구 조형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11, 2013
58 이강진, "전통한옥의 사이와 연결의 공간적 텍스트에 대한 연구- 마당, 그리고 창(窓), 문(⾨)을 중심으로", 한국영상학회논문집, Vol.13, No.4, p. 99,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