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팀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종단적 연구 : 팀 효능감 개발을 중심으로 = A Longitudinal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eam Performance among College Students: The Development of Team Efficacy Perspecti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0169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팀 효능감 개발 이론을 적용하여 종단적인 팀 수행 모형을 검증했던 Tasa, Taggar & Seijts(2007)의 연구를 기반으로, 팀원간 상호작용 빈도, 협력, 팀 목표, 팀웍에 대한 자기효능감 등의 심리적 변인들과 팀 효능감 개발 및 팀 수행 간의 관계를 종단적인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H 대학교에서 팀 수업(3개 과목)을 수강하는 115명을 대상으로 팀 활동 초반, 중반, 후반의 세 시점에 거쳐 설문을 실시하였고, 팀 활동이 완료된 시점에서 팀들을 대상으로 팀원들의 동료평가 및 팀 평가점수 등의 준거변인들을 수집하였다.
      팀 효능감 개발이론을 적용하여 종단적인 팀 수행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공변량 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 RMSEA .037, NNFI .898, CFI .909, IFI .912 등의 우수한 적합도 지수가 도출되었고, 심리적 변인들과 팀 수행 및 팀 효능감 개발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경로계수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팀 목표와 협력변인은 상호작용 변인에 의해 유의하게 예측되었고, 팀 목표는 팀 활동 중반에 측정된 팀 효능감을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이들 변인에 영향을 받아 개발된 팀 효능감은 팀 수행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팀웍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팀 효능감을 매개하여 팀웍 행동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팀 효능감 개발 이론을 적용하여 종단적인 팀 수행 모형을 검증했던 Tasa, Taggar & Seijts(2007)의 연구를 기반으로, 팀원간 상호작용 빈도, 협력, 팀 목표, 팀웍에 대한 자기효능감 등의 ...

      본 연구는 팀 효능감 개발 이론을 적용하여 종단적인 팀 수행 모형을 검증했던 Tasa, Taggar & Seijts(2007)의 연구를 기반으로, 팀원간 상호작용 빈도, 협력, 팀 목표, 팀웍에 대한 자기효능감 등의 심리적 변인들과 팀 효능감 개발 및 팀 수행 간의 관계를 종단적인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H 대학교에서 팀 수업(3개 과목)을 수강하는 115명을 대상으로 팀 활동 초반, 중반, 후반의 세 시점에 거쳐 설문을 실시하였고, 팀 활동이 완료된 시점에서 팀들을 대상으로 팀원들의 동료평가 및 팀 평가점수 등의 준거변인들을 수집하였다.
      팀 효능감 개발이론을 적용하여 종단적인 팀 수행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공변량 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 RMSEA .037, NNFI .898, CFI .909, IFI .912 등의 우수한 적합도 지수가 도출되었고, 심리적 변인들과 팀 수행 및 팀 효능감 개발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경로계수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팀 목표와 협력변인은 상호작용 변인에 의해 유의하게 예측되었고, 팀 목표는 팀 활동 중반에 측정된 팀 효능감을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이들 변인에 영향을 받아 개발된 팀 효능감은 팀 수행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팀웍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팀 효능감을 매개하여 팀웍 행동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nd test a longitudinal model of team performance with a perspective of a team-efficacy development. The basic research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eight factors(i.e., team-efficacy, self-efficacy for teamwork, interaction, cooperation, team goal, teamwork behaviour, perception on team performance and learning from team activities. 115 students taking the course composed of team work and group task at H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Result demonstrated that the overall fitness indices of the longitudinal team performance model were RMSEA .037, NNFI .898, CFI .909, IFI .912, respectively, indicating good fitness of the model. Specifically the interaction fact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eam goal and cooperation. Team goal and coopera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both team-efficacy(time 1) and team-efficacy(time 2). And subsequent team-efficacy(time 3) influenced by these variables predicted team performance(i.e., perception of team performance as well as learning from team activities). However, self-efficacy for teamwork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eam-efficacy. This variabl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eamwork behaviour(rated by peers) through mediating team-efficacy(time 3). Finally, the future direction and limitation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nd test a longitudinal model of team performance with a perspective of a team-efficacy development. The basic research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eight factors(i.e., team-efficacy, self-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nd test a longitudinal model of team performance with a perspective of a team-efficacy development. The basic research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eight factors(i.e., team-efficacy, self-efficacy for teamwork, interaction, cooperation, team goal, teamwork behaviour, perception on team performance and learning from team activities. 115 students taking the course composed of team work and group task at H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Result demonstrated that the overall fitness indices of the longitudinal team performance model were RMSEA .037, NNFI .898, CFI .909, IFI .912, respectively, indicating good fitness of the model. Specifically the interaction fact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eam goal and cooperation. Team goal and coopera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both team-efficacy(time 1) and team-efficacy(time 2). And subsequent team-efficacy(time 3) influenced by these variables predicted team performance(i.e., perception of team performance as well as learning from team activities). However, self-efficacy for teamwork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eam-efficacy. This variabl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eamwork behaviour(rated by peers) through mediating team-efficacy(time 3). Finally, the future direction and limitation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Ⅱ. 이론적 배경 6
      • 1. 팀 수행(Team performance) 6
      • Ⅰ. 서론 1
      • Ⅱ. 이론적 배경 6
      • 1. 팀 수행(Team performance) 6
      • 가. 팀의 정의 6
      • 나. 팀의 구성요소(Team composition) 7
      • 다. 팀 수행의 정의 9
      • 라. 팀 수행 예측변인에 대한 선행연구 11
      • 마. 팀 수행의 측정 14
      • 2. 팀 효능감(Team efficacy) 16
      • 가. 팀 효능감의 정의 16
      • 나. 팀 효능감과 팀 수행에 관련된 선행연구 18
      • a. 예측변인으로서의 팀 효능감 18
      • b. 팀 효능감 개발에 대한 관점 19
      • Ⅲ. 연구목적 및 모형 22
      • 1. 연구목적 22
      • 2. 연구모형 23
      • Ⅳ. 연구방법 23
      • 1. 연구대상 23
      • 2. 측정도구 24
      • 가. 예측변인 24
      • a. 팀 효능감(Team-efficacy) 24
      • b. 팀 목표 25
      • c. 협력 25
      • d. 응집력 25
      • e. 신뢰 26
      • f. 팀 상호작용 빈도 26
      • g. 팀웍에 대한 자기효능감 27
      • 나. 준거변인 27
      • a. 팀 수행에 대한 인식 27
      • b. 팀 학습효과 28
      • c. 팀웍 행동(teamwork behaviour) 28
      • 3. 분석방법 29
      • Ⅴ. 결 과 30
      • 1.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 30
      • 2. 구성개념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31
      • 3. 팀 수행 모형검증 33
      • Ⅵ. 논 의 35
      • 참고문헌 41
      • 영문초록 48
      • 부 록 5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