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7세기 전반 趙克善의 賣買기록과 用錢경험-조극선의 『인재일록』과 『야곡일록』 분석- = The impact of coin currency on the purchasing and selling experiences of Cho GukSeon in early seventeenth-century Chos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396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essay is to explore personal financial practices in the middle of the Choson dynasty, as not much is known about the economics of this era. The main text that is discussed is the diary of Cho GukSeon (1595~1658), a distinguished Confuc...

      The aim of this essay is to explore personal financial practices in the middle of the Choson dynasty, as not much is known about the economics of this era. The main text that is discussed is the diary of Cho GukSeon (1595~1658), a distinguished Confucian scholar and officer, which was written between 1609 and 1635. The diary covers his daily life and contains details about his economic experiences.
      Cho GukSeon chose his words carefully when recording his activities in his diary. In particular, when it came to personal economics, he distinguished between gift exchanges and financial transactions. For instance, he used different verbs for exchanging gifts with different groups of people; the words could be adapted to apply to superiors, equals, or inferiors. Also, Cho GukSeon differentiated buying and selling from trading. Details of economic activity found in the diary, whether personal or market-related, explain how economic life had changed in comparison to that of the sixteenth century (especially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personal financial dealings and exchanges were common even prior to the sixteenth century in Choson.
      The Choson government’s monetary policy affected Cho GukSeon’s economic activities. He received his officer’s salary in the form of coins made from copper or tin and purchased food in shops in accordance with governmental monetary policy. The coins did not reach the position of common currency, however, so Cho GukSeon eventually had to sell his clothes and crops to obtain his daily necessities. This indicates that governmental policy merely impacted personal economic activity, which led to policy failure until the end of the seventeenth century.
      Cho GukSeon experienced varying economic circumstances such as the diversification of currency types and changes in the customs of gift giving, and he recorded these phenomena in his diary with carefully chosen wor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글은 조선후기, 특히 17세기 전반의 개인 경제생활 실태에 대한 분석이 목적이다. 대상 자료는 조극선(1595~1658)이 17세기 전반기(1609~1635) 동안 기록한 일기(『인재일록』과 『야곡일록』)이...

      이글은 조선후기, 특히 17세기 전반의 개인 경제생활 실태에 대한 분석이 목적이다. 대상 자료는 조극선(1595~1658)이 17세기 전반기(1609~1635) 동안 기록한 일기(『인재일록』과 『야곡일록』)이다. 연구는 일기에 남겨진 매매 기록의 특징과 이 시기 단행된 국가의 전문유통 정책이 개인 생활에 끼친 영향에 대한 추적 방향으로 진행했다.
      조극선은 일기 기술에 있어, 특히 경제생활과 관련해서는 선물의 수수와 매매 및 거래에 대한 단어 선택에 신중했다. ‘매매’의 경우는 ‘賣’와 ‘買’로 표기하면서 여타 경제행위와 구분했다. 이에 따라 그의 일기 중 ‘매매’와 관련한 기술을 추출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조극선은 교환, 선물과 차별화된 행위로서 ‘매매’를 규정하였으며, 매매를 통해 ‘利害’와 관련한 ‘人慾’을 표출했다. 행전책은 국가와 개인의 이익에 대한 추구를 전제로 인조조에 제도변화 차원에서 실시되었다. 1633년(인조 11) ‘조선통보’의 유통을 계기로 조극선은 한양에서 녹봉의 일부를 전문으로 받아 이를 매매에 이용했다. 그러나 이러한 用錢 사례는 국가의 행전정책에 대한 수동적 대응에 불과했으며, 기존의 곡물과 포목을 이용한 매매가 여전히 일반적이었다. 이로 인해 화폐제도의 변화 정책이 수용되어 성공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이 논문은 개인 경제생활의 양상에 대한 연구 중 공백기로 남아 있던 17세기 전반의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行錢의 성패가 개인과 사회의 새로운 제도에 대한 합의 여부에 있음을 확인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학중앙연구원 藏書閣,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학술대회, 조극선과 그의 시대"

      2 "한국학중앙연구원 藏書閣 M.F. No35-11308(예산 한양조씨 고문서)"

      3 임성수, "조선후기 祿俸制 연구" 국학연구원 (169) : 101-138, 2015

      4 정수환, "조선후기 화폐유통과 경제생활" 경인문화사 2013

      5 李成妊, "조선 중기 양반관료의 ‘稱念’에 대하여" 조선시대사학회 (29) : 47-74, 2004

      6 정수환, "인조조 과거를 통한 行錢 문답과 行錢策 - 인조 11년(1633) 策問과 對策 분석" 동양고전학회 (64) : 165-193, 2016

      7 "인조실록"

      8 이헌창, "이재난고로 보는 조선 지식인의 생활사"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9 이영훈, "수량경제사로 다시 본 조선후기"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10 박현순, "문집을 통해 본조선시대의 일기와 일기쓰기" 조선시대사학회 (79) : 73-119, 2016

      1 한국학중앙연구원 藏書閣,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학술대회, 조극선과 그의 시대"

      2 "한국학중앙연구원 藏書閣 M.F. No35-11308(예산 한양조씨 고문서)"

      3 임성수, "조선후기 祿俸制 연구" 국학연구원 (169) : 101-138, 2015

      4 정수환, "조선후기 화폐유통과 경제생활" 경인문화사 2013

      5 李成妊, "조선 중기 양반관료의 ‘稱念’에 대하여" 조선시대사학회 (29) : 47-74, 2004

      6 정수환, "인조조 과거를 통한 行錢 문답과 行錢策 - 인조 11년(1633) 策問과 對策 분석" 동양고전학회 (64) : 165-193, 2016

      7 "인조실록"

      8 이헌창, "이재난고로 보는 조선 지식인의 생활사"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9 이영훈, "수량경제사로 다시 본 조선후기"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10 박현순, "문집을 통해 본조선시대의 일기와 일기쓰기" 조선시대사학회 (79) : 73-119, 2016

      11 Elinor Ostrom, "공유의 비극을 넘어" 랜덤하우스코리아 [대한민국] 2010

      12 "경국대전"

      13 崔貞煥, "高麗․朝鮮時代 祿俸制 硏究" 慶北大學校出版部 1991

      14 김학수, "韓國學資料叢書49-冶谷日錄 影印本1" 한국학중앙연구원 藏書閣 2012

      15 趙翼, "浦渚先生集"

      16 "忍齋日錄·冶谷日錄" 한국학중앙연구원 藏書閣 2012

      17 趙克善, "冶谷先生集"

      18 이성임, "『溪巖日錄:1603∼1641』에 대한 자료적 검토" 고려사학회 (57) : 197-226, 2014

      19 Douglass. C. North, "The New Institutional Economics and Third World Development" Routledge 1995

      20 정수환, "17세기 화폐유통과 전답매매양상의 변화 -賣買明文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23) : 151-185, 2010

      21 金世奉, "17세기 湖西山林勢力 연구 : 山人勢力을 중심으로"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5

      22 최주희, "16세기 양반관료의 선물관행과 경제적 성격" 한국역사연구회 (71) : 245-289,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8 2.253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