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QR 코드 인식 실내 이동로봇 제어-주행 제어 모델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031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ole of QR code robots in smart logistics is great. Cognitive robots, such as logistics robots, were mostly used to adjust routes and search for peripheral sensors, cameras, and recognition signs attached to walls. However, recently, the ease of making QR codes and the convenience of producing and attaching a lot of information within QR codes have been raised, and many of these reasons have made QR codes recognizable as visions and others. In addition, there have been cases in developed countries and Korea that control several of these robots at the same time and operate logistics factories smartly. This representative case is the KIVA robot in Amazon. KIVA robots are only operated inside Amazon, but information about them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orld, so a variety of similar robots are developed and operated in several places around the world. They are appl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education, medical, silver, military, parking, construction, marine, and agriculture, creating a variety of application robots. In this work, we are developing a robot that can recognize its current position, move and control in the directed direction through two-dimensional QR codes with the same horizontal and vertical sides, and the error is to create a QR code robot with accuracy to reach within 3mm. This paper focuses on the moving control model during the development of QR code-aware indoor mobility robots.
      번역하기

      The role of QR code robots in smart logistics is great. Cognitive robots, such as logistics robots, were mostly used to adjust routes and search for peripheral sensors, cameras, and recognition signs attached to walls. However, recently, the ease of m...

      The role of QR code robots in smart logistics is great. Cognitive robots, such as logistics robots, were mostly used to adjust routes and search for peripheral sensors, cameras, and recognition signs attached to walls. However, recently, the ease of making QR codes and the convenience of producing and attaching a lot of information within QR codes have been raised, and many of these reasons have made QR codes recognizable as visions and others. In addition, there have been cases in developed countries and Korea that control several of these robots at the same time and operate logistics factories smartly. This representative case is the KIVA robot in Amazon. KIVA robots are only operated inside Amazon, but information about them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orld, so a variety of similar robots are developed and operated in several places around the world. They are appl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education, medical, silver, military, parking, construction, marine, and agriculture, creating a variety of application robots. In this work, we are developing a robot that can recognize its current position, move and control in the directed direction through two-dimensional QR codes with the same horizontal and vertical sides, and the error is to create a QR code robot with accuracy to reach within 3mm. This paper focuses on the moving control model during the development of QR code-aware indoor mobility robo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의 필요성
      • 3. QR 코드 인식 실내 이동로봇
      • 3.1 QR코드 인식 실내 이동로봇의 국내 기술 수준 및 동향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의 필요성
      • 3. QR 코드 인식 실내 이동로봇
      • 3.1 QR코드 인식 실내 이동로봇의 국내 기술 수준 및 동향
      • 3.2 QR코드 인식하여 위치 인식 실내 이동로봇의 요구사항
      • 4. QR코드 인식 실내 이동로봇의 주행 제어 모델 제안
      • 5.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근왕, "스마트폰 환경에서 QR Code를 활용한 콘텐츠 생성시스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2999-3004, 2013

      2 하종은, "사영 변환하의 합성 이미지를 이용한Mask R-CNN 기반 QR 코드 검출"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5 (25): 770-774, 2019

      3 임용순, "디지털 영상 부호화에서 워터마킹과 QR 코드"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12 (12): 99-104, 2012

      4 이연경, "네 방향 스캔 방법을 이용한 QR코드 파인더 인식" 한국정보통신학회 16 (16): 1187-1192, 2012

      5 김찬, "QR코드와 환경감시센서를 활용한 스마트 디바이스기반 증강현실형 환경모니터링 기술 연구"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12 (12): 261-265, 2012

      6 정문성, "QR-code를 이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 13 (13): 43-51, 2011

      7 서세현, "QR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이중 전송 OTP 시스템" 한국통신학회 38 (38): 377-384, 2013

      8 송영근, "QR 코드 기반 항공기 정비 부품 관리 방안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 13 (13): 183-188, 2011

      9 T. H. Kim, "An Ontology based Context Aware System to Control the Robot Manipulator in Delivery Logistics Industry" 221-226, 2012

      1 이근왕, "스마트폰 환경에서 QR Code를 활용한 콘텐츠 생성시스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2999-3004, 2013

      2 하종은, "사영 변환하의 합성 이미지를 이용한Mask R-CNN 기반 QR 코드 검출"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5 (25): 770-774, 2019

      3 임용순, "디지털 영상 부호화에서 워터마킹과 QR 코드"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12 (12): 99-104, 2012

      4 이연경, "네 방향 스캔 방법을 이용한 QR코드 파인더 인식" 한국정보통신학회 16 (16): 1187-1192, 2012

      5 김찬, "QR코드와 환경감시센서를 활용한 스마트 디바이스기반 증강현실형 환경모니터링 기술 연구"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12 (12): 261-265, 2012

      6 정문성, "QR-code를 이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 13 (13): 43-51, 2011

      7 서세현, "QR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이중 전송 OTP 시스템" 한국통신학회 38 (38): 377-384, 2013

      8 송영근, "QR 코드 기반 항공기 정비 부품 관리 방안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 13 (13): 183-188, 2011

      9 T. H. Kim, "An Ontology based Context Aware System to Control the Robot Manipulator in Delivery Logistics Industry" 221-226,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4-01 학회명변경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Technology ->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Technology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38 0.279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