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김성경 작곡의 경기소리 2중창을 위한 新歌樂 <고산구곡가> 선율 연구 : 경기소리 2중창 선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lodies of Gosangugokga, Kim Seong-Gyeong's ‘Sin ga-ak’ Piece for a Duet of Gyeonggi sori : With a focus on the duet melodies of Gyeonggi sor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9031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89.607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95p.; 26cm.

      • 일반주기명

        추계예술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 Study on the Melodies of Gosangugokga, Kim Seong-Gyeong's ‘Sin ga-ak’ Piece for a Duet of Gyeonggi sori : With a focus on the duet melodies of Gyeonggi sori
        지도교수:김성경
        참고문헌: p.

      • UCI식별코드

        I804:11055-200000197897

      • 소장기관
        • 추계예술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osangugokga’, ‘Sin ga-ak’ for a Duet of Gyeonggi Sori’ is a vocal
      concerto based on lyrics from ten poems of Gosangugokga by
      Yulgok Lee Yi. Creating melodies based on the poems of
      Gosangugokga , this vocal concerto consists of total 285 bars and
      ten paragraphs. It interprets the lyrics in Chinese characters and
      reflects them on its form, not causing damage to the Pyeong Sijo
      form of three Jangs and six Gus. This study divided its ten
      paragraphs including the preface and nine poems into five major
      paragraphs for research convenience and investigated the forms of
      the paragraph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first paragraph consists of Movement 1[introduction
      (orchestral introduction - switch section) - A(introduction preludea
      – b-x)- switch connection section]. The second paragraph
      consists of Movement 2[B(b-b1 ) - (modulation connection section -
      a2- 2x) -switch connection section] and Movement3 [C(c-x)-
      (d-d1)+(3x)]. The third paragraph consists of Movement4 [B1(switch
      connection section - preliminary connection section) - (b3-b4-x4)],
      Movement5 [introduction (preliminary section - connection
      section-preliminary introduction - E(e-e1-e2)], and Movement6 [F(f
      - connection section – f1) - F1(f2-f3)]. The fourth paragraph
      consists of Movement 7[G(preliminary connection section-g)-
      (G1(g1-g2)]. The final paragraph consists of Movement 8[H
      introduction(switch connection section - prelude introduction) -
      h(h-connection section) - h1(h1 – h2 - connection section)],
      Movement9[(introduction) - I(i–i1-connection section)], and
      Movement 10[connection section – j1(j-j1) - j2(j2-connection
      section-j3) - j4(cadence)]. Of them, Movements 1, 2, 3, and 4 have
      a cadence paragraph of common melodies in the general
      development style of presenting a thematic melody, developing it,
      and finishing it in a cadence, thus inducing a natural connection
      between paragraphs.
      Secondly, "Gosangugokga, Sin´ ga-ak for a Duet of Gyeonggi Sori"
      divides the poems in the three-part form of beginning, middle, and
      end Jangs into six Gus, thus arranging its melodies. A thematic
      melody was developed as one was arranged in the first paragraph
      of each Jang with its development organizing a piece along with the
      alteration of developed melodies. Melodies would develop as follows:
      ㉠ a theme would be expanded through unequal beats; ㉡ a melody
      would be expanded through the give and take of melodies in each
      vocal part; ㉢ alteration and development would happen through
      bar expansion and reduction; ㉣ vocal parts would have their places
      changed during the repetition of the same melodies; and ㉤ a
      thematic melody would be altered and developed through the partial
      modulation of melodies in the same rhythms such as perfect 4th
      and perfect 5th. These five ways would be used to develop a theme
      and change melodies for the progress of melodies.
      Finally, Movements 1~3 progress in unequal beats of 6/4 +5/4 +5/4
      +5/4 with beats changing in the unit of four bars. The tempo is set
      at ♩=96, and the scale is based on the E♭ Boncheong Pyeongjo in
      e♭1, f1, g1, b♭1, and c2 notes. Movement 2 uses both the scale of E
      ♭ Boncheong Pyeongjo and that of A♭ Boncheong in a♭, b♭, c1, e♭1,
      and f1 notes. This paragraph moves in the Pyeongjo scale of A♭
      Boncheong and returns to its original scale of E♭ Pyeongjo via a
      modulation connection section. Movement 3 is based on the scale of
      E♭ Boncheong Pyeongjo in e♭1, f1, g1, b♭1, and c2 notes. Movement
      4 is in the Gutgeori beats of 6/8 time. It progresses in the scale of
      A♭ Boncheong Pyeongjo before a modulation to E♭ Boncheong
      Pyeongjo. Movement 5 is in the f Boncheong Gyemyeonjo of 9/8
      time in f1, a♭1, b♭1, c2, and e♭2 notes. Movement 6 is based on the
      f Boncheong Gyemyeonjo of 9/8 time in f1, a♭1, b♭1, c2, and e♭2
      notes. Movement 7 is based on the f Boncheong Gyemyeonjo of 6/4
      time in f1, a♭1, b♭1, c2, and e♭2 notes. Movement 8 progresses in
      melodies in the f Boncheong Gyemyeonjo of 6/8 time. Movement 9
      is in the Jajinmori beats of 12/8 time and based on the E♭
      Boncheong Pyeongjo in e♭1, f1, g1, b♭1, and c2 notes. The final
      movement has no particular beats and is based on the E♭
      Boncheong Pyeongjo in e♭1, f1, g1, b♭1, and c2 notes.
      Creative Gukak pieces, especially vocal ones, are definitely needed
      and hold important significance in the creative transmission of
      Korean music. In Gukak, singers place huge importance on the
      systematic arrangement of interactions between the elements of
      Western music in staff notations and those of traditional Korean
      music in their broad interpretations of piece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ways that forms and melodies were organized in a
      creative piece on the topic of vocalization in traditional vocal
      music, the present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helpful for
      players with their interpretations of a piece and for individuals
      wishing to study composition.
      번역하기

      ‘Gosangugokga’, ‘Sin ga-ak’ for a Duet of Gyeonggi Sori’ is a vocal concerto based on lyrics from ten poems of Gosangugokga by Yulgok Lee Yi. Creating melodies based on the poems of Gosangugokga , this vocal concerto consists of total 285 ba...

      ‘Gosangugokga’, ‘Sin ga-ak’ for a Duet of Gyeonggi Sori’ is a vocal
      concerto based on lyrics from ten poems of Gosangugokga by
      Yulgok Lee Yi. Creating melodies based on the poems of
      Gosangugokga , this vocal concerto consists of total 285 bars and
      ten paragraphs. It interprets the lyrics in Chinese characters and
      reflects them on its form, not causing damage to the Pyeong Sijo
      form of three Jangs and six Gus. This study divided its ten
      paragraphs including the preface and nine poems into five major
      paragraphs for research convenience and investigated the forms of
      the paragraph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first paragraph consists of Movement 1[introduction
      (orchestral introduction - switch section) - A(introduction preludea
      – b-x)- switch connection section]. The second paragraph
      consists of Movement 2[B(b-b1 ) - (modulation connection section -
      a2- 2x) -switch connection section] and Movement3 [C(c-x)-
      (d-d1)+(3x)]. The third paragraph consists of Movement4 [B1(switch
      connection section - preliminary connection section) - (b3-b4-x4)],
      Movement5 [introduction (preliminary section - connection
      section-preliminary introduction - E(e-e1-e2)], and Movement6 [F(f
      - connection section – f1) - F1(f2-f3)]. The fourth paragraph
      consists of Movement 7[G(preliminary connection section-g)-
      (G1(g1-g2)]. The final paragraph consists of Movement 8[H
      introduction(switch connection section - prelude introduction) -
      h(h-connection section) - h1(h1 – h2 - connection section)],
      Movement9[(introduction) - I(i–i1-connection section)], and
      Movement 10[connection section – j1(j-j1) - j2(j2-connection
      section-j3) - j4(cadence)]. Of them, Movements 1, 2, 3, and 4 have
      a cadence paragraph of common melodies in the general
      development style of presenting a thematic melody, developing it,
      and finishing it in a cadence, thus inducing a natural connection
      between paragraphs.
      Secondly, "Gosangugokga, Sin´ ga-ak for a Duet of Gyeonggi Sori"
      divides the poems in the three-part form of beginning, middle, and
      end Jangs into six Gus, thus arranging its melodies. A thematic
      melody was developed as one was arranged in the first paragraph
      of each Jang with its development organizing a piece along with the
      alteration of developed melodies. Melodies would develop as follows:
      ㉠ a theme would be expanded through unequal beats; ㉡ a melody
      would be expanded through the give and take of melodies in each
      vocal part; ㉢ alteration and development would happen through
      bar expansion and reduction; ㉣ vocal parts would have their places
      changed during the repetition of the same melodies; and ㉤ a
      thematic melody would be altered and developed through the partial
      modulation of melodies in the same rhythms such as perfect 4th
      and perfect 5th. These five ways would be used to develop a theme
      and change melodies for the progress of melodies.
      Finally, Movements 1~3 progress in unequal beats of 6/4 +5/4 +5/4
      +5/4 with beats changing in the unit of four bars. The tempo is set
      at ♩=96, and the scale is based on the E♭ Boncheong Pyeongjo in
      e♭1, f1, g1, b♭1, and c2 notes. Movement 2 uses both the scale of E
      ♭ Boncheong Pyeongjo and that of A♭ Boncheong in a♭, b♭, c1, e♭1,
      and f1 notes. This paragraph moves in the Pyeongjo scale of A♭
      Boncheong and returns to its original scale of E♭ Pyeongjo via a
      modulation connection section. Movement 3 is based on the scale of
      E♭ Boncheong Pyeongjo in e♭1, f1, g1, b♭1, and c2 notes. Movement
      4 is in the Gutgeori beats of 6/8 time. It progresses in the scale of
      A♭ Boncheong Pyeongjo before a modulation to E♭ Boncheong
      Pyeongjo. Movement 5 is in the f Boncheong Gyemyeonjo of 9/8
      time in f1, a♭1, b♭1, c2, and e♭2 notes. Movement 6 is based on the
      f Boncheong Gyemyeonjo of 9/8 time in f1, a♭1, b♭1, c2, and e♭2
      notes. Movement 7 is based on the f Boncheong Gyemyeonjo of 6/4
      time in f1, a♭1, b♭1, c2, and e♭2 notes. Movement 8 progresses in
      melodies in the f Boncheong Gyemyeonjo of 6/8 time. Movement 9
      is in the Jajinmori beats of 12/8 time and based on the E♭
      Boncheong Pyeongjo in e♭1, f1, g1, b♭1, and c2 notes. The final
      movement has no particular beats and is based on the E♭
      Boncheong Pyeongjo in e♭1, f1, g1, b♭1, and c2 notes.
      Creative Gukak pieces, especially vocal ones, are definitely needed
      and hold important significance in the creative transmission of
      Korean music. In Gukak, singers place huge importance on the
      systematic arrangement of interactions between the elements of
      Western music in staff notations and those of traditional Korean
      music in their broad interpretations of piece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ways that forms and melodies were organized in a
      creative piece on the topic of vocalization in traditional vocal
      music, the present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helpful for
      players with their interpretations of a piece and for individuals
      wishing to study composi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경기소리 2중주를 위한 신가악 <고산구곡가>’는 율곡 이이가 쓴 동명의
      시 10수를 가사로 하여 성악협주곡으로 작곡한 곡이다. ‘고산구곡가’의 시에
      선율을 붙인 성악협주곡 <고산구곡가>의 형식은 총285마디 10개의 단락으로
      구성되었다. 이 곡은 평시조 3장 6구의 형식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한자어 가
      사를 풀이하여 곡의 형식에도 반영하였다. 서언부터 9곡까지 10개의 단락은
      연구의 편의를 위해 다섯 개의 대 단락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단락의 형식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첫 번째 단락은 1장 [도입부(관현악도입-전환구) - A(도입전주-a –
      b-x)- 전환연결구], 두 번째 단락은 2장 [B (b-b1)- (전조연결구-a2-2x) -
      전환연결구], 3장[C(c-x) - (d-d1)+ (3x)]이다. 세 번째 단락은 4장[B1(전환연
      결구 - 예비연결구)-(b3-b4-x4)], 5장[도입구 (예비구 - 연결구 –예비도입)
      -E(e-e1-e2)], 6장[F(f-연결구-f1)-F1(f2-f3)]이다. 네 번째 단락은 7장[G(예
      비연결구-g) - (G1(g1-g2)]이다. 다섯 번째 단락, 8장[H 도입(전환연결구-전
      주도입) -h(h-연결구)-h1(h1-h2-연결구), 9장[I (도입부) - I(i –i1-연결구)],
      10장[연결구 –j1(j-j1)-j2(j2-연결구-j3) - j4(종지구)]이다. 이중 1장, 2장, 3
      장, 4장은 주제선율제시, 주제선율의 발전, 종지단락의 일반적 전개방식에서
      공통된 선율의 종지 단락을 배치하여 각 단락 간 자연스런 연결을 유도하였
      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고산구곡가>는 초장, 중장, 종장 3장 형식의 시를 6구로 나누어 선
      율을 배치하였다. 주제선율의 발전 방법은 각장의 첫 단락에 주제선율을 배
      치한 후 주제의 발전과 발전 선율의 변형으로 곡을 구성하였다. 선율의 전개
      방식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혼합박을 사용하여 주제를 확장하는
      방법 ㉡각 성부의 선율을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선율로 을 확장하는 방법 ㉢
      마디의 확장, 축소로 변형발전 ㉣동일한 선율을 반복할 때 성부의 위치를 바
      꿔 배치 ㉤완전4도 혹은 완전5도 등 같은 리듬의 선율을 부분 전조하여 주제
      선율의 변형으로 발전시키는 방법 위와 같이 다섯 가지 방법을 통하여 주제
      를 발전시키고 선율의 변형을 이루며 선율이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1장부터 3장까지는 6/4 +5/4 +5/4 +5/4의 혼합 박으로 진행되며 4
      마디 단위로 변박하며 진행한다. 빠르기는 ♩=96으로 제시되어있으며 음계의
      구성은 e♭1, f1, g1, b♭1, c2음의 E♭본청 평조이다. 2장은 E♭본청 평조 음계
      와 A♭본청의 음계가 함께 쓰이고 있으며 음의 구성은 a♭, b♭, c1, e♭1, f1음
      이다. 이 단락은 A♭본청의 평조음계로 진행하다 전조연결구를 통하여 다시
      본래의 E♭평조 음계로 진행한다. 3장은 e♭1, f1, g1, b♭1, c2음의 E♭본청 평
      조이다. 4장은 6/8박자로 굿거리장단이다. A♭본청으로 하는 평조음계로 진
      행하다 E♭본청 평조로 전조된다. 5장은 9/8박자로 f본청 계면조이다. 음의
      구성은 f1, a♭1, b♭1, c2. e♭2 이다. 6장은 9/8박자로 f본청 계면조인 f1, a♭
      1, b♭1, c2. e♭2 음의 구성이다. 7장은 6/4박자로 f본청 계면조인 f1, a♭1, b
      ♭1, c2. e♭2 음의 구성이다. 8장은 6/8박자로 f본청 계면조의 선율로 진행된
      다. 9장은 12/8박자로 자진모리장단으로 제시되었고 e♭1, f1, g1, b♭1, c2음
      의 E♭본청 평조이다. 10장은 장단으로 따로 제시되어 있지 않고 e♭1, f1, g1,
      b♭1, c2음의 E♭본청 평조이다.
      국악창작곡은 특히 성악곡은 우리음악의 창조적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반드
      시 필요하고 매우 중요한 일이라 생각한다. 또한 오선보 위의 서양 음악적
      요소와 전통 음악적 요소의 상호작용을 체계적 정리하는 일 또한 창자들의
      폭 넓은 작품해석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여긴다. 전통성악 발성을 주제로한
      창작곡이 어떠한 방법으로 형식과 선율을 구성하였는지 연구 분석하여 연주
      자의 곡 해석은 물론 작곡을 공부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로서 본고의 목적을 둔다.
      번역하기

      ‘경기소리 2중주를 위한 신가악 <고산구곡가>’는 율곡 이이가 쓴 동명의 시 10수를 가사로 하여 성악협주곡으로 작곡한 곡이다. ‘고산구곡가’의 시에 선율을 붙인 성악협주곡 <고...

      ‘경기소리 2중주를 위한 신가악 <고산구곡가>’는 율곡 이이가 쓴 동명의
      시 10수를 가사로 하여 성악협주곡으로 작곡한 곡이다. ‘고산구곡가’의 시에
      선율을 붙인 성악협주곡 <고산구곡가>의 형식은 총285마디 10개의 단락으로
      구성되었다. 이 곡은 평시조 3장 6구의 형식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한자어 가
      사를 풀이하여 곡의 형식에도 반영하였다. 서언부터 9곡까지 10개의 단락은
      연구의 편의를 위해 다섯 개의 대 단락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단락의 형식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첫 번째 단락은 1장 [도입부(관현악도입-전환구) - A(도입전주-a –
      b-x)- 전환연결구], 두 번째 단락은 2장 [B (b-b1)- (전조연결구-a2-2x) -
      전환연결구], 3장[C(c-x) - (d-d1)+ (3x)]이다. 세 번째 단락은 4장[B1(전환연
      결구 - 예비연결구)-(b3-b4-x4)], 5장[도입구 (예비구 - 연결구 –예비도입)
      -E(e-e1-e2)], 6장[F(f-연결구-f1)-F1(f2-f3)]이다. 네 번째 단락은 7장[G(예
      비연결구-g) - (G1(g1-g2)]이다. 다섯 번째 단락, 8장[H 도입(전환연결구-전
      주도입) -h(h-연결구)-h1(h1-h2-연결구), 9장[I (도입부) - I(i –i1-연결구)],
      10장[연결구 –j1(j-j1)-j2(j2-연결구-j3) - j4(종지구)]이다. 이중 1장, 2장, 3
      장, 4장은 주제선율제시, 주제선율의 발전, 종지단락의 일반적 전개방식에서
      공통된 선율의 종지 단락을 배치하여 각 단락 간 자연스런 연결을 유도하였
      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고산구곡가>는 초장, 중장, 종장 3장 형식의 시를 6구로 나누어 선
      율을 배치하였다. 주제선율의 발전 방법은 각장의 첫 단락에 주제선율을 배
      치한 후 주제의 발전과 발전 선율의 변형으로 곡을 구성하였다. 선율의 전개
      방식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혼합박을 사용하여 주제를 확장하는
      방법 ㉡각 성부의 선율을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선율로 을 확장하는 방법 ㉢
      마디의 확장, 축소로 변형발전 ㉣동일한 선율을 반복할 때 성부의 위치를 바
      꿔 배치 ㉤완전4도 혹은 완전5도 등 같은 리듬의 선율을 부분 전조하여 주제
      선율의 변형으로 발전시키는 방법 위와 같이 다섯 가지 방법을 통하여 주제
      를 발전시키고 선율의 변형을 이루며 선율이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1장부터 3장까지는 6/4 +5/4 +5/4 +5/4의 혼합 박으로 진행되며 4
      마디 단위로 변박하며 진행한다. 빠르기는 ♩=96으로 제시되어있으며 음계의
      구성은 e♭1, f1, g1, b♭1, c2음의 E♭본청 평조이다. 2장은 E♭본청 평조 음계
      와 A♭본청의 음계가 함께 쓰이고 있으며 음의 구성은 a♭, b♭, c1, e♭1, f1음
      이다. 이 단락은 A♭본청의 평조음계로 진행하다 전조연결구를 통하여 다시
      본래의 E♭평조 음계로 진행한다. 3장은 e♭1, f1, g1, b♭1, c2음의 E♭본청 평
      조이다. 4장은 6/8박자로 굿거리장단이다. A♭본청으로 하는 평조음계로 진
      행하다 E♭본청 평조로 전조된다. 5장은 9/8박자로 f본청 계면조이다. 음의
      구성은 f1, a♭1, b♭1, c2. e♭2 이다. 6장은 9/8박자로 f본청 계면조인 f1, a♭
      1, b♭1, c2. e♭2 음의 구성이다. 7장은 6/4박자로 f본청 계면조인 f1, a♭1, b
      ♭1, c2. e♭2 음의 구성이다. 8장은 6/8박자로 f본청 계면조의 선율로 진행된
      다. 9장은 12/8박자로 자진모리장단으로 제시되었고 e♭1, f1, g1, b♭1, c2음
      의 E♭본청 평조이다. 10장은 장단으로 따로 제시되어 있지 않고 e♭1, f1, g1,
      b♭1, c2음의 E♭본청 평조이다.
      국악창작곡은 특히 성악곡은 우리음악의 창조적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반드
      시 필요하고 매우 중요한 일이라 생각한다. 또한 오선보 위의 서양 음악적
      요소와 전통 음악적 요소의 상호작용을 체계적 정리하는 일 또한 창자들의
      폭 넓은 작품해석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여긴다. 전통성악 발성을 주제로한
      창작곡이 어떠한 방법으로 형식과 선율을 구성하였는지 연구 분석하여 연주
      자의 곡 해석은 물론 작곡을 공부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로서 본고의 목적을 둔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2. 연구방법 및 범위 3
      • II. 본론 5
      • 1. 작곡가와 작품활동 5
      • I. 서론 1
      •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2. 연구방법 및 범위 3
      • II. 본론 5
      • 1. 작곡가와 작품활동 5
      • 1) 작곡가와 신가악 5
      • 2) 전통음악을 주제로 한 작품목록 6
      • 2. 작품의 개요 9
      • 1) 율곡 이이의 <고산구곡가> 9
      • 2) 노랫말 연구 10
      • 3. 형식의 분석 14
      • 1) 단락별 형식의 세부분석 14
      • (1) 첫 번째 단락 15
      • (2) 두 번째 단락 16
      • (3) 세 번째 단락 18
      • (4) 네 번째 단락 22
      • (5) 다섯 번째 단락 24
      • 4. 선율의 분석 28
      • 1) 단락별 선율의 분석 28
      • (1) 첫 번째 단락 28
      • (2) 두 번째 단락 34
      • (3) 세 번째 단락 41
      • (4) 네 번째 단락 52
      • (5) 다섯 번째 단락 55
      • Ⅲ. 결론 64
      • 참고문헌 66
      • 부록악보 67
      • Abstract 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