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레이첼 카슨, "침묵의 봄" 에코리브르 2011
2 송명규, "자연관(생태중심주의 vs. 인간중심주의)이 친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정책학회 26 (26): 59-85, 2018
3 신진환, "인류세와 지속가능한 생존" 한국윤리학회 1 (1): 159-180, 2019
4 김지성, "인류세(Anthropocene)의 시점과 의미" 대한지질학회 52 (52): 163-171, 2016
5 김대영, "인류세 시대 플렉시테리언 요법에 대한 환경인문학적 고찰" 한국환경철학회 (26) : 35-58, 2018
6 클라이브 해턴, "인류세" 이상북스 2018
7 서홍교, "인간중심주의적 환경윤리와 환경윤리교육" 한국윤리학회 1 (1): 125-148, 2004
8 윌리엄 맥도너, "요람에서 요람까지" 에코리브로 2003
9 박수밀, "연암 박지원의 문예미학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1
10 박이문, "생태학적 세계관과 문명의 미래" 미다스북스 2016
1 레이첼 카슨, "침묵의 봄" 에코리브르 2011
2 송명규, "자연관(생태중심주의 vs. 인간중심주의)이 친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정책학회 26 (26): 59-85, 2018
3 신진환, "인류세와 지속가능한 생존" 한국윤리학회 1 (1): 159-180, 2019
4 김지성, "인류세(Anthropocene)의 시점과 의미" 대한지질학회 52 (52): 163-171, 2016
5 김대영, "인류세 시대 플렉시테리언 요법에 대한 환경인문학적 고찰" 한국환경철학회 (26) : 35-58, 2018
6 클라이브 해턴, "인류세" 이상북스 2018
7 서홍교, "인간중심주의적 환경윤리와 환경윤리교육" 한국윤리학회 1 (1): 125-148, 2004
8 윌리엄 맥도너, "요람에서 요람까지" 에코리브로 2003
9 박수밀, "연암 박지원의 문예미학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1
10 박이문, "생태학적 세계관과 문명의 미래" 미다스북스 2016
11 현택수, "생태적 가치관의 개념 확립을 위한 고찰"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9 (9): 21-28, 2007
12 오어 데이빗, "생태소양" 교육과학사 2013
13 박유선, "생태사회주의적 디자인 개념에 관한 동아시아적 해석과 제안-동아시아의 원형적 사유 체계로서의 노장 철학을 중심으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 (20): 70-77, 2017
14 유현주, "생태미학은 가능한가? - ‘자기조직화’를 바탕으로 한 생태예술의 체계화 Ⅰ" 한국미학예술학회 46 : 151-179, 2016
15 카프라, "생명의 그물망" 범양사 출판부 1998
16 머레이 북친, "머레이 북친의 사회적 생태론과 코뮌주의" 메이데이 2012
17 베이트슨 그레고리, "마음의 생태학" 책세상 2006
18 마이클 셔머, "도덕의 궤적" 바다출판사 2018
19 김화임, "기후변화와 인류세 시대의 문화구상" 인문학연구원 (60) : 41-66, 2016
20 이나미, "기후변화로 인한 사회적 위기와 공동체의 대응" 인문학연구원 (60) : 5-40, 2016
21 하랄트 벨처, "기후 문화. 기후변화와 사회적 현실" 성균관학교 출판부 2013
22 "https://www.ecoliteracy.org"
23 "http://www.footprintnetwork.org"
24 Boehnert Joanna, "Transition Design and Ecological Thought" Centro de Estudios en Dise y Comunicaci 2019
25 Capra Fritjof, "The Web of Life" Harper Collins 1997
26 Kuhn T. S.,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Chicago Press 1962
27 Orr David, "The Nature of Design"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28 Bateson G., "Steps to an Ecology of Min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0
29 Lydia Kallipoliti, "History of Ecological Design"
30 Boehnert Joanna, "Handbook of Sustainable Design" Routledge 2018
31 Orr David, "Handbook of Sustainable Desi" Routledge 2018
32 Pamela W. Henderson, "Guidelines for Selecting or Modifying Logos" 62 : 1998
33 Crutzen P. J., "Geology of Mankind" 415 (415): 2002
34 Boehnert Joanna, "Ecological Literacy in Design Education: A Foundation for Sustainable Design" 2013
35 Boehnert Joanna, "Ecological Literacy in Design Education : A Theoretical Introduction" 8 (8): 2015
36 Orr David, "Ecological Literac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2
37 Capra Fritjof, "Ecological Literacy" Sierra Club Books 2005
38 Boehnert Joanna, "Design, Ecology, Politics: Toward the Ecocene" Bloomsbury 2018
39 Boehnert Joanna, "Design vs. the Design Industry" 12 (12):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