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나옹 선사의 생애와 사상에 대하여 염불선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이에 대한 현대적 수용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이철헌, 김창숙, 염중섭, 보광 등의 선행연구들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나옹 선사의 생애와 사상에 대하여 염불선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이에 대한 현대적 수용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이철헌, 김창숙, 염중섭, 보광 등의 선행연구들과 ...
본 논문은 나옹 선사의 생애와 사상에 대하여 염불선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이에 대한 현대적 수용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이철헌, 김창숙, 염중섭, 보광 등의 선행연구들과 가송, 승원가, 어록 등의 문헌 자료를 중심으로 연구를 했다.
제2장에서는 시대적 상황과 나옹의 행장을 살펴보았는데 고려말의 정치적 상황에서 공민왕은 왕권 강화와, 반원자주 정책, 승과 제도를 개혁하였고 경제적 상황은 불교의 부패를 막기 위해 숭유억불과 과전법을 시행했다. 불교를 비판하는 주자학과, 간화선 임제선이 주를 이루었다.
불교의 수행 부분에서는 광종시대에 중국과의 교류가 아주 활발했으며 특히 천태종과 법안종의 교류로 인하여 불교가 아주 성행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영향이 나옹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나옹의 행장부분은 행적에 대한 사료의 제시보다 그의 수행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요연 선사에게 출가한 나옹은 지공의 무심선(無心禪)과 계율선(戒律禪)을 배웠고, 평산처림에게 임제선풍의 선법을 인가받았다.
제3장의 나옹의 선사상에서 이론적인 부분은 불성사상, 무심사상, 진공사상, 돈오사상, 선정겸수 등을 살펴보았으며, 실천사상으로는 조사선(祖師禪)의 평상심시도(平常心是道), 임제선의 무위진인(無位眞人) 그리고 ‘무(無)자’ 화두(話頭)와 ‘이 무엇고’ 등 화두참구를 제시했다. 그리고 공부십절목을 통해 공부상태를 점검하였다.
본 연구의 본론에 해당하는 염불선(念佛禪)에서 나옹은 염불과 관련 칭명(稱名), 관념(觀念), 염불선(念佛禪)을 제시하였는데 특히 자성미타와 유심정토를 강조하면서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참 성품(性品)을 깨달으라고 강조하였다.
제4장에서는 나옹의 염불을 통한 현대적 수용으로 먼저 국내에는 휴정, 백암성총, 용성, 청화 등으로 면밀하게 이어진 나옹의 염불선을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실상염불은 나옹의 염불선의 연장선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끝으로 시대에 맞는 염불수행과 서구의 심리학과 의학 등을 염불에 적용하여 병고액난(病苦厄難)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방편을 제안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