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Reflexive Verbs in Russian and Polish and the Nature of the Lexicon = 러시아어와 폴란드어의 재귀동사와 어휘적 성질에 대한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495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flexive verbs are morphologically different in Russian and Polish: in Russian the reflexive morpheme - sja is fused morphologically with the verbs itself, whereas in Polish it is a separate syntactic element, a free-standing pronoun się, which can appear in various places in a sentence. Nevertheless, the functions of reflexive verbs in Russian and Polish are strikingly similar. This article surveys the ways in which these functions are served by the two morphological types of verbs.
      A unified analysis is proposed under which similar functions can be achieved in both languages if the presence of the reflexive morpheme in Russian is due not to additive morphology, but if it is instead the result of a subcategorization requirement specified in the lexicon on a non-reflexive base verb. It is shown that this can unite the “circumfixal” formations in both languages, combinations of a verbal prefix plus the reflexive morpheme with distinctive meaning associated only with this combination.
      번역하기

      Reflexive verbs are morphologically different in Russian and Polish: in Russian the reflexive morpheme - sja is fused morphologically with the verbs itself, whereas in Polish it is a separate syntactic element, a free-standing pronoun się, which ...

      Reflexive verbs are morphologically different in Russian and Polish: in Russian the reflexive morpheme - sja is fused morphologically with the verbs itself, whereas in Polish it is a separate syntactic element, a free-standing pronoun się, which can appear in various places in a sentence. Nevertheless, the functions of reflexive verbs in Russian and Polish are strikingly similar. This article surveys the ways in which these functions are served by the two morphological types of verbs.
      A unified analysis is proposed under which similar functions can be achieved in both languages if the presence of the reflexive morpheme in Russian is due not to additive morphology, but if it is instead the result of a subcategorization requirement specified in the lexicon on a non-reflexive base verb. It is shown that this can unite the “circumfixal” formations in both languages, combinations of a verbal prefix plus the reflexive morpheme with distinctive meaning associated only with this combin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러시아어 재귀동사와 폴란드어 재귀동사는 형태적으로 상이하다. 러시아어의 경우 재귀 형태소 -sja가 형태적으로 동사와 하나가 되는 반면, 폴란드어의 경우 재귀 형태소 się는 그 위치가 자유로운 통사적인 문장구성성분으로서, 문장 내에서 다양한 위치에 나타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어와 폴란드어의 재귀동사의 기능은 상당히 유사하다.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어 재귀 형태소가 첨가의 개념이 아닌 하부범주의 결과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이러한 접근은 두 언어의 접어 형성과정, 즉 동사에 첨가 되는 접어와 재귀 형태소의 조합을 동일한 현상으로 볼 수 있다는 가정을 가능하게 한다.
      번역하기

      러시아어 재귀동사와 폴란드어 재귀동사는 형태적으로 상이하다. 러시아어의 경우 재귀 형태소 -sja가 형태적으로 동사와 하나가 되는 반면, 폴란드어의 경우 재귀 형태소 się는 그 위치...

      러시아어 재귀동사와 폴란드어 재귀동사는 형태적으로 상이하다. 러시아어의 경우 재귀 형태소 -sja가 형태적으로 동사와 하나가 되는 반면, 폴란드어의 경우 재귀 형태소 się는 그 위치가 자유로운 통사적인 문장구성성분으로서, 문장 내에서 다양한 위치에 나타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어와 폴란드어의 재귀동사의 기능은 상당히 유사하다.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어 재귀 형태소가 첨가의 개념이 아닌 하부범주의 결과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이러한 접근은 두 언어의 접어 형성과정, 즉 동사에 첨가 되는 접어와 재귀 형태소의 조합을 동일한 현상으로 볼 수 있다는 가정을 가능하게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Introduction
      • Ⅱ. Consequences of the Morphological Distinction between Russian and Polish Reflexive Verbs
      • Ⅲ. Reflexive
      • Ⅳ. ConclusionMorphemes as Syntactically Active Entities
      • Ⅰ. Introduction
      • Ⅱ. Consequences of the Morphological Distinction between Russian and Polish Reflexive Verbs
      • Ⅲ. Reflexive
      • Ⅳ. ConclusionMorphemes as Syntactically Active Entities
      • 《References》
      • 《국문개요》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추석훈, "러시아어 형동사의 동사적 범주" 러시아연구소 23 (23): 211-234, 2007

      2 Franks, Steven, "Voice‐Altering Morphemes in Slavic" 39 : 1996

      3 Fowler, George, "Voice Relations and Polish Deverbal Nouns, In American Contributions to the 1998 International Congress of Slavists" Slavica 377-391, 1998

      4 Walińska, Hanna, "The Syntax of Slavic Aspect" Universiteit van Amsterdam 615-635, 1990

      5 Bailyn, John F, "The Syntax of Russi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6 Babby, Leonard H, "The Syntax of Argument Struc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7 Fowler, George, "The Argument Status of Accusative Measure Nominals in Russian" 1 (1): 251-279, 1993

      8 Padučeva, E. V., "Pritjažatel´noe mestoimenie i problema zaloga otglagol´nogo imeni, In Problemy strukturnoj lingvistiki 1982" Nauka 50-66, 1984

      9 Franks, Steven, "Parameters of Slavic Morphosyntax"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10 Rappaport, Gilbert C, "On the Adnominal Genitive and the Structure of Noun Phrases in Russian and Polish, In Linguistique et slavistique: Mélanges offerts à Paul Garde" Institut d’Études Slaves 241-262, 1992

      1 추석훈, "러시아어 형동사의 동사적 범주" 러시아연구소 23 (23): 211-234, 2007

      2 Franks, Steven, "Voice‐Altering Morphemes in Slavic" 39 : 1996

      3 Fowler, George, "Voice Relations and Polish Deverbal Nouns, In American Contributions to the 1998 International Congress of Slavists" Slavica 377-391, 1998

      4 Walińska, Hanna, "The Syntax of Slavic Aspect" Universiteit van Amsterdam 615-635, 1990

      5 Bailyn, John F, "The Syntax of Russi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6 Babby, Leonard H, "The Syntax of Argument Struc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7 Fowler, George, "The Argument Status of Accusative Measure Nominals in Russian" 1 (1): 251-279, 1993

      8 Padučeva, E. V., "Pritjažatel´noe mestoimenie i problema zaloga otglagol´nogo imeni, In Problemy strukturnoj lingvistiki 1982" Nauka 50-66, 1984

      9 Franks, Steven, "Parameters of Slavic Morphosyntax"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10 Rappaport, Gilbert C, "On the Adnominal Genitive and the Structure of Noun Phrases in Russian and Polish, In Linguistique et slavistique: Mélanges offerts à Paul Garde" Institut d’Études Slaves 241-262, 1992

      11 추석훈, "Essential Morphosyntactic Difference between Prefixes and Suffixes in Russian"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45 (45): 61-85, 2006

      12 Brecht, Richard D, "Conditions on Voice Marking in Russian, In Issues in Russian Morphosyntax" Slavica 118-137, 1984

      13 Schoorlemmer, Maaike, "Affix‐Clitic Distinction and Russian SJA, In Formal Approaches to Slavic Linguistics 5" Michigan Slavic Publications 1997

      14 Fowler, George, "A Syntactic Analysis of Derivational –sja in Russian, In American Contributions to the 1993 International Congress of Slavists" Slavica 270-284, 1993

      15 Swan, Oscar, "A Grammar of Contemporary Polish" Slavica Publishers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
      2013-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유럽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6 0.15 0.459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