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경 구절로 시작하는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의 경험 =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in ‘Classes Starting with Bible Ver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717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육 전공 교과 수업에서 주마다 성경 구절을 읽고, 성경 구절과 관련한 일상에서의 실천을 학습 동료와 나눈 경험에 관해 탐구하였다. 예비교사에게 제공한 성경 구절은 한학기 동안 e-러닝에서 주도적인 학습자 되기, 조별 과제하기, 모의 수업 실연하기, 조원평가 하기와 관련하여 선정하였다. 성경구절의 주제는 성실하기, 계획하기, 미워하지 않기, 경청하기, 화참기, 판단하지 않기, 칭찬하기, 정직하기 이다.
      연구 참여자는 B 대학 2학년 유아교육과 예비교사 4인이다. 자료는 2019년 3월 13일부터 2019년 11월 7일까지 기록지, 설문지, 인터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귀납적 분석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성경 구절로 시작하는 수업에서 1) 종교색이 옅은 성경 구절로 마음 열기, 2) 학기 진행과 연결되는 성경 구절 제시하기, 3) 삶에 적용할 계획하기, 4) 일상에서 실천하기, 5) 실천 사례 공유하기를 경험하였다. 이로 인해 예비교사들은 1) 성장과 변화의 기회, 2) 공유를 통한 선한 영향, 3) 나의 변화가 오는 긍정적인 파문, 4) 삶에 스며드는 지속하는 실천, 5) 좌표로 작용하는 기록하기의 의미를 드러내었다. 본 연구는 교과시간 중 짧은 시간을 이용한 성경 구절에 대한 나눔이 성경 구절의 의미를 예비교사의 삶에서 체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하나의 예비교사 인성교육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아교육 전공 교과 수업에서 주마다 성경 구절을 읽고, 성경 구절과 관련한 일상에서의 실천을 학습 동료와 나눈 경험에 관해 탐구하였다. 예비교사에게 제공한 성경 구절은 한...

      본 연구는 유아교육 전공 교과 수업에서 주마다 성경 구절을 읽고, 성경 구절과 관련한 일상에서의 실천을 학습 동료와 나눈 경험에 관해 탐구하였다. 예비교사에게 제공한 성경 구절은 한학기 동안 e-러닝에서 주도적인 학습자 되기, 조별 과제하기, 모의 수업 실연하기, 조원평가 하기와 관련하여 선정하였다. 성경구절의 주제는 성실하기, 계획하기, 미워하지 않기, 경청하기, 화참기, 판단하지 않기, 칭찬하기, 정직하기 이다.
      연구 참여자는 B 대학 2학년 유아교육과 예비교사 4인이다. 자료는 2019년 3월 13일부터 2019년 11월 7일까지 기록지, 설문지, 인터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귀납적 분석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성경 구절로 시작하는 수업에서 1) 종교색이 옅은 성경 구절로 마음 열기, 2) 학기 진행과 연결되는 성경 구절 제시하기, 3) 삶에 적용할 계획하기, 4) 일상에서 실천하기, 5) 실천 사례 공유하기를 경험하였다. 이로 인해 예비교사들은 1) 성장과 변화의 기회, 2) 공유를 통한 선한 영향, 3) 나의 변화가 오는 긍정적인 파문, 4) 삶에 스며드는 지속하는 실천, 5) 좌표로 작용하는 기록하기의 의미를 드러내었다. 본 연구는 교과시간 중 짧은 시간을 이용한 성경 구절에 대한 나눔이 성경 구절의 의미를 예비교사의 삶에서 체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하나의 예비교사 인성교육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of reading Bible verses weekl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classes and sharing daily practice related to Bible verses with learning colleagues. The Bible verses provided to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selected in relation to becoming a leading learner in e-learning, doing group assignments, performing a mock class, and evaluating the group for one semester. The themes of the Bible verses are: to be sincere, to plan, not to hate, to listen, to be patient, not to judge, to praise, to be honest.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4 pre-service teachers in the 2nd year of B University.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data Data collected from March 13, 2019 to November 7, 2019. Data were analyzed by an inductiv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in class starting with Bible verses, pre-service teachers 1) open their minds with light Bible verses, 2) present Bible verses that connect with semester progress, 3) plan to apply it to life, 4) practice in daily life I experienced the following, 5) share practical cases. For this reason, pre-service teachers revealed the meaning of 1) an opportunities of growth and change, 2) a good influence through sharing, 3) a positive ripples from my change, 4) records acting as a coordinates, 5) continuing practices that permeate life. This study suggests that sharing of Bible verses using a short period of time during the course can embody the meaning of the Bible verses in the life of a pre-service teacher. This means that it can be a method of character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of reading Bible verses weekl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classes and sharing daily practice related to Bible verses with learning colleagues. The Bible verses provided to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select...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of reading Bible verses weekl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classes and sharing daily practice related to Bible verses with learning colleagues. The Bible verses provided to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selected in relation to becoming a leading learner in e-learning, doing group assignments, performing a mock class, and evaluating the group for one semester. The themes of the Bible verses are: to be sincere, to plan, not to hate, to listen, to be patient, not to judge, to praise, to be honest.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4 pre-service teachers in the 2nd year of B University.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data Data collected from March 13, 2019 to November 7, 2019. Data were analyzed by an inductiv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in class starting with Bible verses, pre-service teachers 1) open their minds with light Bible verses, 2) present Bible verses that connect with semester progress, 3) plan to apply it to life, 4) practice in daily life I experienced the following, 5) share practical cases. For this reason, pre-service teachers revealed the meaning of 1) an opportunities of growth and change, 2) a good influence through sharing, 3) a positive ripples from my change, 4) records acting as a coordinates, 5) continuing practices that permeate life. This study suggests that sharing of Bible verses using a short period of time during the course can embody the meaning of the Bible verses in the life of a pre-service teacher. This means that it can be a method of character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소연, "한국 대학생들의 인성교육을 위한 채플 활성화 방안"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34) : 181-209, 2012

      2 양승실,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2011

      3 Yin, R. K., "질적연구 : 시작부터 완성까지" 학지사 2013

      4 이경실, "잠언이 말하는 삶과 죽음과 개혁주의생명신학" 4 : 133-178, 2011

      5 한상진, "인성에 대한 교육적 의미" 한국실천신학회 (54) : 417-444, 2017

      6 김유리, "인성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4 (34): 1-20, 2016

      7 최병옥, "인성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방안 탐색"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5 (5): 85-108, 2017

      8 한미라, "인성교육, 기독교는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47) : 321-359, 2015

      9 박혜정, "유아교사의 인성과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4 (4): 1-24, 2017

      10 이혜진, "유아 교사의 인성, 행복감, 공감 능력과 교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4 (24): 7-42, 2020

      1 김소연, "한국 대학생들의 인성교육을 위한 채플 활성화 방안"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34) : 181-209, 2012

      2 양승실,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2011

      3 Yin, R. K., "질적연구 : 시작부터 완성까지" 학지사 2013

      4 이경실, "잠언이 말하는 삶과 죽음과 개혁주의생명신학" 4 : 133-178, 2011

      5 한상진, "인성에 대한 교육적 의미" 한국실천신학회 (54) : 417-444, 2017

      6 김유리, "인성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4 (34): 1-20, 2016

      7 최병옥, "인성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방안 탐색"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5 (5): 85-108, 2017

      8 한미라, "인성교육, 기독교는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47) : 321-359, 2015

      9 박혜정, "유아교사의 인성과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4 (4): 1-24, 2017

      10 이혜진, "유아 교사의 인성, 행복감, 공감 능력과 교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4 (24): 7-42, 2020

      11 황경선, "예비유아교사의 인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직적성의 매개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 28 (28): 59-77, 2021

      12 엄은나,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과 자아탄력성, 행복감, 교사효능감의 관계"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 (20): 53-78, 2016

      13 이연규,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과 교직적성간의 관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 (20): 49-66, 2016

      14 이경민,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2 (12): 73-96, 2013

      15 채영란,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운영 효과"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9 (9): 473-488, 2018

      16 변윤희,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명상을 활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670-, 2016

      17 김순환,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교직인성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 (18): 339-363, 2014

      18 이연규, "예비유아교사 인성교육을 위한 인성 덕목과 교과목 연계" 이화어린이연구원 5 (5): 5-26, 2020

      19 전재선, "예비유아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보육학회 13 (13): 305-327, 2013

      20 정희정, "예비유아교사 인성 주제 관련 국내 학술지 연구동향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 24 (24): 161-184, 2017

      21 박소연, "예비 중등 역사교사를 위한 <창의ㆍ인성 교수법> 운영 효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8 (18): 183-207, 2015

      22 김영은, "아동학대예방을 위한 예비유아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육아정책연구소 10 (10): 49-72, 2016

      23 박은민, "대학생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2 (12): 497-509, 2012

      24 김성원, "대학생용 기독교 인성 측정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한국기독교교육학회 (58) : 311-338, 2019

      25 김영준, "대학 인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선 기반 구축방안" 과학교육연구소 57 (57): 411-428, 2018

      26 이종현, "대학 신입생들의 인성교육 경험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219-250, 2016

      27 정희영, "기독교 유아 인성교육을 위한 덕목 추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36) : 195-218, 2013

      28 김춘이, "기독교 대학의 기독교 교양 과목이 대학생들의 인성 개발에 끼친 영향 분석" 한국대학선교학회 (33) : 65-90, 2017

      29 이기용,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대학의 인성교육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579-1599, 2021

      30 이명준, "교과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 교육 활성화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31 Dewey, D., "경험과 교육" 배영사 1995

      32 이은철, "개혁주의생명신학을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핵심역량모형 개발 연구" 개혁주의생명신학회 30 (30): 44-95, 2021

      33 Merleau-Ponty, M, "간접적인 언어와 침묵의 목소리" 책세상 2005

      34 Stiff-Williams, H. R, "Widening the lens to teach character education alongside standards curriculum" 83 (83): 115-120, 2010

      35 Narvaez, D., "Teaching Moral Character: Two Alternatives for Teacher Education" 43 (43): 156-172, 2008

      36 Beachum, F. D, "Support and importance of Character education: pre-service teacher perceptions" 133 (133): 470-480, 2013

      37 Osguthorpe, R. D, "On the Reasons We Want Teachers of Good Disposition and Moral Character" 59 (59): 288-299, 2008

      38 Lickona, T., "Character education: seven crucial issues" 20 (20): 77-84, 1999

      39 Jacques S. Benninga, "Character and Academics: What Good Schools Do" SAGE Publications 87 (87): 448-452, 2006

      40 교육부, "2021년도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 교육부 교원양성연수과 2021

      41 보건복지부, "2020 아동학대주요통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