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재림신앙에 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9399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을 신학적인 측면과 주요 신구약 성경과천년왕국설과 요한계시록중에서 구원관과 교회관에 관련된 구절들을 살펴 보았는데 그것들을 먼저 장별로 요약하고 ...

      지금까지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을 신학적인 측면과 주요 신구약 성경과천년왕국설과 요한계시록중에서 구원관과 교회관에 관련된 구절들을 살펴 보았는데 그것들을 먼저 장별로 요약하고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재림신앙을 제안을 하고자 한다.
      Ⅰ. 서론에서 연구의 목적을 마태복음 25:5-7에서 “신랑이 더디 오므로 다 졸며 잘새 밤중에 소리가 나되 보라 신랑이로다 맞으러 나오라 하매 이에 그 처녀들이 다 일어나 등을 준비할 새” 한 것같이 졸며 자는 처녀들을 “신랑이로다 맞으러 나오라”라고 외칠 수 있는 재림 신앙을 가지고 깨어 있는 예수 그리스도의 종들이 나오기를 목적으로 한다고 하였다.
      Ⅱ. 재림의 신학적 이해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의 목적을 성경 말씀에 근거하여 다섯 가지로 요약하여 논술하였고 재림의 용어(원어) 정의를 아홉가지를 하였으며 재림의 징조로서 네 가지를 살펴보므로 마지막 때에 되어질 일들로 시대를 분별하게 하였다. 그리고 재림의 단일성과 임박성에서 재림에 임해야 하는 성도의 자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Ⅲ. 신구약 성경의 재림신앙에서 요엘서와 아모스서에 나타난 하나님의 날에 대하여 배경과 각각의 의미와 신약에서의 주의 날(여호와의 날)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여호와의 날은 성도들에게는 소망의 날이나 불신자들에게는 두려운 날이며 멸망의 날이었으며 그 날은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의 날이다. 그리고 공관복음서와 바울 서신서에서 나타난 재림 신앙은 그리스도의 재림의 시기와 때의 불확실성이 있으나 주님의 재림의 확실성이 거듭하여 강조되며 재림에 대비한 계속적이며 끊임없는 영적 준비를 요청하며 강조하고 있다. 사도행전에서의 재림신앙은 재림의 확실성을 나타내며 그리스도가 재판장으로 오시며사단을 완전 정복하고 만유를 회복시키며 다윗 왕국을 회복시키신다.
      Ⅳ. 천년왕국설에 대한 견해와 평가에서 역사적 전천년설은 네가지 천년설 가운데에서 가장 성경적인 견해라고 본다. 역사적 전천년설의 요지는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의 징조(복음의 세계적 전파, 이스라엘 전국의 회심, 대배교와 대환란, 적그리스도의 출현)가 있은 후 재림하시면 모든 악의 세력을 멸하시고 천년왕국을 성도들에게 주셔서 천년동안 살게 하신다. 그러나 예수님 재림이 있기 전에 성도들은 적그리스도의 출현으로 대환란을 통과하게 될 것이므로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재림의 신앙으로 무장하여야 한다.
      Ⅴ. 요한계시록의 재림신앙에서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구원관을 ① 성취된 구원(중생, 칭의, 양자) ② 현재 진행중인 구원(성화) ③ 미래에 이루어질 구원(부활, 영화)으로 분류하여 논하였는데 어린양의 속죄, 이신칭의, 하나님의 자녀로 칭함,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에 참여함, 일곱 교회에 주시는 칭찬과 책망을 통하여 이기는 자로서 구원을 이루어감, 성도의 기도가 하나님 보좌 앞 금단에 드려짐, 다시 예언하기 위하여 작은 책을 먹음, 144000명의 신앙과미래에 천상에서 이루어질 영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교회관을 지상교회는 전투적인 교회로서 신앙를 지키며 사단의 역사를 물리칠 것을 일곱교회와 해당 구절들을 통하여 주님께서 명령하신 말씀들을 중심으로 교회관을 살펴보았다. 또한 지상교회에서 신앙을 지키며 참고 인내하던 성도들이 천상교회에서 어린양은 성도들의 목자가 되고 성도는 신부, 어린양은 신랑이 되어 완전히 연합하게 되며 새예루살렘으로 에덴동산의 회복을 본다.
      이상의 요약한 것을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이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재림신앙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요한계시록 1:1-3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라 하나님이 그에게 주사 반드시 속히 될 일을 그 종들에게 보이시려고 그 종들에게 보이시려고 천사를 그 종 요한에게 보내어 지시하신 것이라”라고 하셨다. 요한계시록은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이며 반드시 속히 될 일이며 그 종들에게 보이시려한 것을 그대로 믿어야 한다.
      둘째,성취된 구원에서 “사람들을 피로 사서 하나님께 드리고”(계 5:9)와 “어린양의 피에 그 옷을 씻어 희게 하였느니라”(계 7:14)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적인 죽음을 믿으므로 원죄를 사함을 받고 자범죄는 어린양의 보혈로 씻을 수 있다. 이것은 믿음으로 구원을 얻는 이신칭의 이다. 그리고 구원을 얻은 자들은 하나님의 자녀가 된다(계 21:7).
      셋째, 진행 중인 구원에서 “예수의 환난과 나라와 참음에 동참하는 자라”(계 1:9)와 일곱 교회에게 주시는 편지에서 구원받은 성도로서, 어린양의 신부로서,어린양의 고난에 동참하여 이 세상을 이길 것을 강하게 권면하고 있다(처음 사랑 회복, 죽도룩 충성하라, 우상 섬김을 금함, 행음을 금함, 인내의 말씀 지킴, 믿음을 부요 하게 함). 또한 성도의 기도가 하나님께 상달되며 “다시 예언하여야 하리라”(계 10:8)에서 백성과 나라와 방언과 임금에게 복음을 전도할 것을 말씀한다.
      넷째, 144,000명의 신앙 즉 “이 사람들은 여자로 더불어 더럽히지 아니하고 정절이 있는 자라 어린양이 어디로 인도하든지 따라가는 자며 사람 가운데서 구속을 받아 처음 익은 열매로 하나님과 어린양에게 속한 자들이니 그 입에 거짓말이 없고 흠이 없는 자들이더라”(계 14:4-5)을 본받아야 한다. 즉 주님을 위하여 순교할 각오를 해야 한다. 이 말씀에 대한 해설은 Ⅴ. 요한계시록의 재림신앙,A. 구원관,2. 현재 진행중인 구원(성화), e. 144,000명의 신앙에서 참조 바란다.
      다섯째, 미래에 이루어질 구원에서 “그들이 하나님의 보좌 앞에 있고”(계 7:15)와 “유리 바다 가에 서서”(계 15:2)에서 주님 재림하시면 하나님 앞에서 보호를 받아서 안식을 누리며 목자가 된 주님의 인도를 받고 하나님을 경배하며 찬양할 것을 믿어야 한다. 또한 하나님의 나라를 소망해야 한다.
      여섯째, 순교자(계 20:4-5)들은 첫째 부활을 해서 심판하는 권세를 받고 천년동안 그리스도와 더불어 왕 노릇 한다.
      일곱째, “처음 것들이 다 지나갔음이러라”(계 21:4)에서 새 하늘과 새 땅에서는하나님이 임재 하셔서 처음 것들이 모두 사라지고 하나님의 위로와 하나님과 백성간에 아름다운 교제가 있을 것이다.
      여덟째, 교회관에서 지상의 교회는 전투적 교회로서 예수 그리스도와교회를 신랑과 신부로 상징하였고, 그리스도를 양무리의 목자로 보았고, 세상을 향한 제사장으로서의 교회, 예수 그리스도는 머리시요 교회는 몸, 교회는 살아계신 하나님의 집이요 진리의 기둥과 터이며 방파제이다.
      아홉째, 하나님의 현재성, 환상성, 초월성, 존엄성, 전지전능, 편재성, 영원성 및 찬양의 대상임을 믿어야 한다. 교회는 어린양의 신부로서 예수 그리스도와 완전 연합을 이룬다.
      열번째, “보라 내가 만물을 새롭게 하노라”(계 21:5)에서 새 하늘과 새 땅은 처음 하늘과 처음 땅을 갱신한 것을 말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Ⅰ. 서론 = 1
      • A. 연구의 목적 = 1
      • B. 연구의 범위와 방법 = 4
      • Ⅱ. 재림의 신학적 이해 = 6
      • 목차 = ⅰ
      • Ⅰ. 서론 = 1
      • A. 연구의 목적 = 1
      • B. 연구의 범위와 방법 = 4
      • Ⅱ. 재림의 신학적 이해 = 6
      • A. 재림의 목적 = 6
      • 1. 의인의 부활을 위하여 = 6
      • 2. 생존 성도의 변형과 휴거를 위하여 = 7
      • 3. 어린양의 혼인잔치를 위하여 = 8
      • 4. 성도들에게 상을 베풀기 위하여 = 8
      • 5. 악의 세력을 멸망시키기 위하여 = 9
      • B. 재림의 용어 정의 = 10
      • 1. 호 엘코메노스(ὁ ἐρχόμενος) = 11
      • 2. 엘코마이(ἔρχομαι) = 11
      • 3. 카타바이노(χαταβαίνω) = 11
      • 4. 헤코(ἥχω) = 11
      • 5. 파루시아(παρουσία) = 12
      • 6. 아포칼룹시스(ἀποχάλυψις) = 12
      • 7. 파네로오(φανερὀω) = 13
      • 8. 에피파이노(ἑπιφαίνω) = 13
      • 9. 호라오(ὁραω) = 14
      • C. 재림의 징조 = 14
      • 1. 징조의 정의 = 14
      • 2. 징조 적용의 목적성 = 16
      • 3. 재림 전 징조들에 대한 고찰 = 17
      • D. 재림의 단일성 = 23
      • E. 재림의 임박성 = 25
      • Ⅲ. 신구약 성경의 재림신앙 = 27
      • A. 여호와의 날 = 27
      • 1. “여호와의 날”이란 표현의 배경 = 27
      • 2. 요엘서의 “여호와의 날”에 대하여(요엘 1:15; 2:1; 2:11; 3:14) = 28
      • 3. 아모스서의 “여호와의 날”에 대하여(암 5:18; 5:20) = 29
      • 4. 여호와의 날은 언제인가? = 31
      • 5. 신약에서의 여호와의 날 = 32
      • 6. 여호와의 날에 대한 결론 = 32
      • B. 공관복음서의 재림신앙 = 33
      • 1. 공관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의 종말사상 = 33
      • 2. 공관복음서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재림(παρουσια) = 34
      • 3. 마태복음 24, 25장에서의 재림신앙 = 39
      • C. 사도행전의 재림신앙 = 41
      • 1. 왕국에 대한 잘못된 생각(행 1:6-8) = 41
      • 2. 승천과 재림의 약속(행 1:9-11) = 42
      • 3. 재림의 징조(행 2:17-21) = 42
      • 4. 그리스도의 완전 정복(행 2:34-35) = 43
      • 5. 유쾌하게 되는 날과 만유를 회복하실 때(행 3:19-21) = 43
      • 6. 산 자와 죽은 자의 재판장(행 10:42) = 44
      • 7. 환란후 재림(행 14:22) = 44
      • 8. 다윗 왕국의 회복(행 15:16) = 44
      • D. 바울의 재림신앙 = 45
      • 1. 바울이 재림을 묘사하는 말 = 45
      • 2. 바울서신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재림(παρουσια) = 48
      • Ⅳ. 천년왕국설에 대한 견해와 평가 = 50
      • A. 후천년설 = 50
      • 1. 후천년설의 역사 = 50
      • 2. 후천년설의 주장 = 51
      • 3. 후천년설에 대한 평가 = 53
      • B. 무천년설 = 54
      • 1. 무천년설의 역사 = 54
      • 2. 무천년설의 주장 = 55
      • 3. 무천년설에 대한 평가 = 57
      • C. 세대주의 전천년설 = 59
      • 1. 세대주의 전천년설의 역사 = 59
      • 2. 세대주의 전천년설의 주장 = 59
      • 3. 세대주의 전천년설에 대한 평가 = 61
      • D. 역사적 전천년설 = 64
      • 1. 역사적 전천년설의 역사 = 64
      • 2. 역사적 전천년설의 주장 = 65
      • 3. 역사적 전천년설에 대한 평가 = 66
      • E. 소결론 = 68
      • Ⅴ. 요한계시록의 재림신앙 = 69
      • A. 구원관 = 69
      • 1. 성취된 구원(중생, 칭의, 양자) = 69
      • 2. 현재 진행 중인 구원(성화) = 73
      • 3. 미래에 이루어질 구원(부활, 영화) = 81
      • B. 교회관 = 85
      • 1. 지상의 교회 = 86
      • 2. 천상의 교회 = 98
      • Ⅵ. 결론 = 109
      • 참고문헌 = 1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