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관련변인이 영아-교사의 사회.정서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영아-교사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459432
2015
-
300
학술저널
547-547(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관련변인이 영아-교사의 사회.정서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영아-교사의...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관련변인이 영아-교사의 사회.정서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영아-교사의 사회.정서관계의 차이가 있는지, 둘째, 영아교사의 정서지도 관련 과목 이수 여부에 따라 교사-영아 사회.정서관계의 차이가 있는지 이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t검증과 일원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차이는 연령, 학력, 소지자격, 전체경력, 영아반 경력, 기관형태로 구분하여 영아-교사의 사회.정서관계의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정서지도관련 과목 이수에 따른 차이는 양성교육과정에서의 이수여부, 현직교육과정에서의 이수여부를 구분하여 영아-교사의 사회.정서관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반 교사 4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두 본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공문으로 배포한 후 관찰을 허락한 기관에 근무하는 교사이다. 연구결과는 영아교사 전체 교사경력 및 영아반 교사경력이 영아-교사의 사회.정서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양성교육과정에서 정서지도관련 과목을 이수여부가 영아-교사의 사회.정서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직교육에서 정서지도 관련 교육 이수여부 또한 여아-교사의 사회.정서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양성과정 및 현직교육에서 정서지도 관련 교육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강강술래 중심의 유아 전통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1)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기질 및 놀이성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 연구1)
사회적 맥락 속에서의 상호작용을 통한 조음장애 유아의 발음 변화
9-예술,명상교육 미국 내 교사와 학생을 위한 명상교육 효과 및 교육방법에 관한 최신 문헌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