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녹색인증제도가 기업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135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정부에서 실시하는 특정 목적을 가진 친환경 인증제도가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2000년대 이후 중요성이 커지는 환경 분야 인증제도 중 녹색인증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녹색인증을 획득한 기업이 매출, 수출, 고용, 환경오염물질 배출감소 등에 있어 의미있는 변화를 보였는지를 실증분석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기업의 전체 사업성과에 미치는 효과와 기업의 개별 성과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나누어 분석·검증하였다. 녹색인증을 획득한 처리 집단과 인증을 보유하지 못한 대조 집단 간의 총매출과 수출액을 이중차분법(Difference in Differences)을 이용하여 실증분석하고, 나아가 녹색인증을 받은 기업이 매출, 수출, 고용, 환경(에너지 절감, CO₂ 저감) 등에 있어서 성과에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검정하였다. 분석결과는 녹색인증을 확보한 기업의 총매출이 녹색인증을 확보하지 못한 기업의 총매출보다 의미있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녹색인증을 받은 경우 해당 기업이 정부의 지원사업에 참여하여 금전적 혜택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녹색인증은 해당기업의 매출 증가, 에너지 절감 및 CO₂ 저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기업의 성장과 정부가 의도한 환경의 보호 측면에서 녹색인증 제도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정부에서 실시하는 특정 목적을 가진 친환경 인증제도가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2000년대 이후 중요성이 커지는 환경 분야 인증제도 중 녹색인증에 대해 자...

      본 논문은 정부에서 실시하는 특정 목적을 가진 친환경 인증제도가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2000년대 이후 중요성이 커지는 환경 분야 인증제도 중 녹색인증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녹색인증을 획득한 기업이 매출, 수출, 고용, 환경오염물질 배출감소 등에 있어 의미있는 변화를 보였는지를 실증분석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기업의 전체 사업성과에 미치는 효과와 기업의 개별 성과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나누어 분석·검증하였다. 녹색인증을 획득한 처리 집단과 인증을 보유하지 못한 대조 집단 간의 총매출과 수출액을 이중차분법(Difference in Differences)을 이용하여 실증분석하고, 나아가 녹색인증을 받은 기업이 매출, 수출, 고용, 환경(에너지 절감, CO₂ 저감) 등에 있어서 성과에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검정하였다. 분석결과는 녹색인증을 확보한 기업의 총매출이 녹색인증을 확보하지 못한 기업의 총매출보다 의미있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녹색인증을 받은 경우 해당 기업이 정부의 지원사업에 참여하여 금전적 혜택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녹색인증은 해당기업의 매출 증가, 에너지 절감 및 CO₂ 저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기업의 성장과 정부가 의도한 환경의 보호 측면에서 녹색인증 제도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several systems of certification implemented in Korea for the purpose of specific environmental improvements. In particular,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focus on the investigation of the system of Green Certification(GC) started since 2010 using the empirical analysis on the performances by the firms in the system compared to those out of the system.
      Our approach is two-fold. One is about the aggregate performance by the certified firms relative to the rest, and another tries to test the individual impact of the Certification to the specific performance variables of certified firms. The first analysis using DID (Difference in Differences) estimation indicates that the GC gives a positive improvement the certified firms significantly. The second analysis implies that the GC has helped the sale, energy-saving, and reduction of CO₂ emission of the certified firms as well as the monetary incentives endowed by the public sector through procurement. It is deduced that the system of GC has achieved the policy goals originally intended from the environmental and industrial perspectives in spite of a certain of criticism.
      번역하기

      This paper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several systems of certification implemented in Korea for the purpose of specific environmental improvements. In particular,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focus on the investigation of the system of Green ...

      This paper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several systems of certification implemented in Korea for the purpose of specific environmental improvements. In particular,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focus on the investigation of the system of Green Certification(GC) started since 2010 using the empirical analysis on the performances by the firms in the system compared to those out of the system.
      Our approach is two-fold. One is about the aggregate performance by the certified firms relative to the rest, and another tries to test the individual impact of the Certification to the specific performance variables of certified firms. The first analysis using DID (Difference in Differences) estimation indicates that the GC gives a positive improvement the certified firms significantly. The second analysis implies that the GC has helped the sale, energy-saving, and reduction of CO₂ emission of the certified firms as well as the monetary incentives endowed by the public sector through procurement. It is deduced that the system of GC has achieved the policy goals originally intended from the environmental and industrial perspectives in spite of a certain of criticis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녹색인증제도
      • Ⅲ. 실증분석
      • Ⅳ. 결론과 시사점
      • 요약
      • Ⅰ. 서론
      • Ⅱ. 녹색인증제도
      • Ⅲ. 실증분석
      • Ⅳ. 결론과 시사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충섭, "환경경영활동이 환경성과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회계정책학회 17 (17): 209-230, 2012

      2 유연우, "제조 벤처기업에 대한 벤처인증과 이노비즈 인증의 효과 차이 분석" 한국기술혁신학회 14 (14): 1000-1023, 2011

      3 김난영, "이중차분법(Difference-in-Differences, DiD)을 활용한 정부 사업 평가: 마이스터고지원사업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9 (29): 141-167, 2019

      4 표한형, "이노비즈 인증의 매출과 고용 성장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경제연구학회 35 (35): 41-66, 2017

      5 오인하, "에너지절약전문기업 지원정책의 경제적 성과 분석" 에너지경제연구원 2009

      6 유난미, "녹색인증제도 현황 및 개선 방향"

      7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녹색인증 평가업무 및 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2015

      8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녹색인증 성과분석 및 제도개선 방안 마련 연구" 2020

      9 박헌준, "기업의 환경성과와 재무성과의 관계" 한국경영학회 33 (33): 1461-1487, 2004

      10 Walker, G., "The Tipping Point of the Iceberg" 441 : 802-805, 2006

      1 이충섭, "환경경영활동이 환경성과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회계정책학회 17 (17): 209-230, 2012

      2 유연우, "제조 벤처기업에 대한 벤처인증과 이노비즈 인증의 효과 차이 분석" 한국기술혁신학회 14 (14): 1000-1023, 2011

      3 김난영, "이중차분법(Difference-in-Differences, DiD)을 활용한 정부 사업 평가: 마이스터고지원사업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9 (29): 141-167, 2019

      4 표한형, "이노비즈 인증의 매출과 고용 성장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경제연구학회 35 (35): 41-66, 2017

      5 오인하, "에너지절약전문기업 지원정책의 경제적 성과 분석" 에너지경제연구원 2009

      6 유난미, "녹색인증제도 현황 및 개선 방향"

      7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녹색인증 평가업무 및 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2015

      8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녹색인증 성과분석 및 제도개선 방안 마련 연구" 2020

      9 박헌준, "기업의 환경성과와 재무성과의 관계" 한국경영학회 33 (33): 1461-1487, 2004

      10 Walker, G., "The Tipping Point of the Iceberg" 441 : 802-805, 2006

      11 Renee N. S., "The Climate Crisis and Covid-19 ― A Major Threat to the Pandemic Response" 383 (383): e70(1)-e70(3), 2020

      12 Abadie, A., "Semiparametric Difference-in-Differences Estimators" 72 : 1-19, 2005

      13 Meyer, B., "Natural and Quasi-Natural Experiments in Economics" 13 : 151-162, 1995

      14 조규생, "AEO 도입요인이 기업편익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