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노인의 저작능력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신체기능과 우울의 매개효과 = The Impact of Chewing Ability on Cognitive Function of Older People in Korea: Mediation Effect of Physical Function and Depres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73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chewing ability on cognitive function of older people in Korea and the mediation effect of physical function and depression using the nationwide data from “Survey of the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in 2014”,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0,451 respondents in the “Survey of the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in 2014” an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une 11, to September 4, 2014. Chewing ability was used in the scale on level of daily life inconvenience in chewing ability (meat or hardness). Cognitive function was measured using MMSE-DS, physical function using K-IADL, and depression using SGDS-K.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and Process Macro. Total effects of chewing ability on cognitive function were not significant(p>.05). Direct effects of chewing ability on cognitive function were not significant(p>.05). There were the dual mediation effect(p<.05) of physical function and depression, a complete mediating effect by physical function(p<.05) or depression(p<.05) in the impact of chewing ability on cognitive function of older people in Kore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hysical function and depression effect directly and indirectly in the impact of chewing ability on cognitive function of older people.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o prevent the decline of cognitive function in older peopl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nursing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chewing ability and physical function, but also nursing interventions for relieving or preventing depression in older peopl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chewing ability on cognitive function of older people in Korea and the mediation effect of physical function and depression using the nationwide data from “Survey of the Living Conditions and 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chewing ability on cognitive function of older people in Korea and the mediation effect of physical function and depression using the nationwide data from “Survey of the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in 2014”,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0,451 respondents in the “Survey of the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in 2014” an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une 11, to September 4, 2014. Chewing ability was used in the scale on level of daily life inconvenience in chewing ability (meat or hardness). Cognitive function was measured using MMSE-DS, physical function using K-IADL, and depression using SGDS-K.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and Process Macro. Total effects of chewing ability on cognitive function were not significant(p>.05). Direct effects of chewing ability on cognitive function were not significant(p>.05). There were the dual mediation effect(p<.05) of physical function and depression, a complete mediating effect by physical function(p<.05) or depression(p<.05) in the impact of chewing ability on cognitive function of older people in Kore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hysical function and depression effect directly and indirectly in the impact of chewing ability on cognitive function of older people.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o prevent the decline of cognitive function in older peopl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nursing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chewing ability and physical function, but also nursing interventions for relieving or preventing depression in older peop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4년 노인실태조사』의 전국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 노인의 저작능력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신체기능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다. 본 연구는 『2014년 노인실태조사』자료의 응답자 총 10,45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6월 11일~2014년 9월 4일까지였다. 본 연구에서 저작능력은 일상생활 불편감 중 씹기(고기나 딱딱한 것) 능력에 관한 도구를 이용하였으며, 인지기능은 MMSE-DS, 신체기능은 K-IADL, 우울은 SGDS-K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4.0프로그램과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저작능력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신체기능과 우울의 매개효과와 이중매개효과 검정은 Hayes(2013)의 Bootstrapping 방법에 기반한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대상자의 저작능력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총 효과(p>.05)와 직접효과(p>.05)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저작능력은 신체기능을 단일 매개하여 인지기능에 미치는 완전매개 효과(p<.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상자의 저작능력은 우울을 단일 매개하여 인지기능에 미치는 완전매개 효과(p<.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상자의 저작능력이 신체기능과 우울을 이중 매개하여 인지기능에 미치는 완전매개 효과(p<.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롤 통해 본 연구는 한국노인의 인지기능 저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저작능력을 강화하고, 신체기능을 독립적으로 유지하고 우울을 예방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고, 포괄적 노인건강사정 시 노인의 인지기능 저하에 영향을 주는 직, 간접적 요인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체계적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4년 노인실태조사』의 전국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 노인의 저작능력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신체기능과 우울의 매개효...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4년 노인실태조사』의 전국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 노인의 저작능력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신체기능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다. 본 연구는 『2014년 노인실태조사』자료의 응답자 총 10,45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6월 11일~2014년 9월 4일까지였다. 본 연구에서 저작능력은 일상생활 불편감 중 씹기(고기나 딱딱한 것) 능력에 관한 도구를 이용하였으며, 인지기능은 MMSE-DS, 신체기능은 K-IADL, 우울은 SGDS-K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4.0프로그램과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저작능력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신체기능과 우울의 매개효과와 이중매개효과 검정은 Hayes(2013)의 Bootstrapping 방법에 기반한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대상자의 저작능력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총 효과(p>.05)와 직접효과(p>.05)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저작능력은 신체기능을 단일 매개하여 인지기능에 미치는 완전매개 효과(p<.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상자의 저작능력은 우울을 단일 매개하여 인지기능에 미치는 완전매개 효과(p<.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상자의 저작능력이 신체기능과 우울을 이중 매개하여 인지기능에 미치는 완전매개 효과(p<.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롤 통해 본 연구는 한국노인의 인지기능 저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저작능력을 강화하고, 신체기능을 독립적으로 유지하고 우울을 예방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고, 포괄적 노인건강사정 시 노인의 인지기능 저하에 영향을 주는 직, 간접적 요인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체계적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원장원,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6 (6): 273-280, 2002

      2 통계청, "한국의 사회동향 2015" 통계청 2015

      3 김혜령, "한국의 60세 이상 노인의 인지장애와 위험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 27 (27): 450-465, 2013

      4 신환호, "한국 노인에서 사회적 관계,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인지기능과 우울 증상과의 관련성"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6

      5 백옥미, "중·노년기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의 관계-은퇴와 사별요인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41 (41): 94-115, 2013

      6 김은주, "재가노인의 인지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동서간호학연구소 16 (16): 122-130, 2010

      7 임은주, "재가 독거 여성노인의 우울, 인지기능 및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1849-1856, 2013

      8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015~2065년" 통계청 2015

      9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통계청 2017

      10 이종천, "일부 지역사회 노인들의 우울수준과 관련요인"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33 (33): 204-220, 2008

      1 원장원,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6 (6): 273-280, 2002

      2 통계청, "한국의 사회동향 2015" 통계청 2015

      3 김혜령, "한국의 60세 이상 노인의 인지장애와 위험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 27 (27): 450-465, 2013

      4 신환호, "한국 노인에서 사회적 관계,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인지기능과 우울 증상과의 관련성"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6

      5 백옥미, "중·노년기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의 관계-은퇴와 사별요인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41 (41): 94-115, 2013

      6 김은주, "재가노인의 인지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동서간호학연구소 16 (16): 122-130, 2010

      7 임은주, "재가 독거 여성노인의 우울, 인지기능 및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1849-1856, 2013

      8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015~2065년" 통계청 2015

      9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통계청 2017

      10 이종천, "일부 지역사회 노인들의 우울수준과 관련요인"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33 (33): 204-220, 2008

      11 허원무, "매개효과 분석 방법의 최근 트렌드-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한 단순, 다중, 이중매개효과 분석 방법" 6 (6): 43-59, 2013

      12 신은숙, "농촌지역 노인들의 신체적 기능(ADL, IADL)과 우울수준과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201-210, 2012

      13 이민경, "노인의 저작불편감이 인지기능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6

      14 정윤숙, "노인의 저작능력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일상생활수행능력, 영양상태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15 이정숙,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 9 (9): 201-210, 2015

      16 김혜영A, "노인의 인지기능상태에 따른 식품과 영양소 섭취실태" 한국영양학회 49 (49): 313-322, 2016

      17 원정숙,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영향을미치는 요인" 12 (12): 148-154, 2003

      18 정은숙, "노인의 우울유무에 따른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수면의 비교"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289-297, 2013

      19 대한노인병학회, "노인병학" 의학출판사 569-572, 2012

      20 송근배, "노인들의 의치 사용이 MMSE-K 점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학회 16 (16): 295-301, 2016

      21 이현주, "노년기 인지기능의 성별 및 연령 차이"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37) : 255-278, 2011

      22 Takata, Y., "Relationship of physical fitness to chewing in an 80‐year‐old population" 10 (10): 44-49, 2004

      23 Kim, E. K., "Relationship between chewing ability and cognitive impairment in the rural elderly" 70 : 209-213, 2017

      24 Listl, S., "Oral health conditions and cognitive functioning in middle and later adulthood" 14 : 70-76, 2014

      25 Yamamoto, T., "Oral Health and Incident Depressive Symptoms: JAGES Project Longitudinal Study in Older Japanese" 1-6, 2017

      26 Kubo, K. Y., "Masticatory function and cognitive function" 87 (87): 135-140, 2010

      27 Laudisio, A., "Masticatory dysfunction is associated with worse functional ability : a population-based study" 37 : 113-119, 2010

      28 Weijenberg, R. A., "Mastication for the mind--the relationship between mastication and cognition in ageing and dementia" 35 (35): 483-497, 2011

      29 Tae Hui Kim, "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and Its Short Form" 대한신경정신의학회 7 (7): 102-108, 2010

      30 Hayes, A. F.,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The Guilford Press 2013

      31 Yesavage, J.,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5 (5): 165-173, 1986

      32 Kimura, Y., "Evaluation of chewing ability and its relationship wi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ression, cognitive status and food intake i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13 (13): 718-725, 2013

      33 Hirano, Y., "Effects chewing in working memory processing" 436 : 189-192, 2008

      3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1994

      35 Barnes, D. E., "Depressive symptoms, vascular disease,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 findings from the Cardiovascular Health Study" 63 (63): 273-279, 2006

      36 조맹제, "DSM-Ⅲ-R 주요우울증에 대한 한국어판Geriatric Depression Scale(GDS)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38 (38): 48-63, 1999

      37 Hirano, Y., "Chewing and attention : a positive effect on sustained attention" 2015 : 367026-, 2015

      38 Lexomboon, D., "Chewing ability and tooth loss : association with cognitive impairment in an elderly population study" 60 (60): 1951-1956, 2012

      39 Tada, A., "Association between mastication and cognitive status : A systematic review" 70 : 44-53, 2016

      40 Shin, H. S., "Association Between Chewing Difficulty and Symptoms of Depression in Adults: Resul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64 (64): e270-e278, 2016

      41 Lawton, M. P, "Assessment of older people, self-maintaining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9 : 179-186, 1969

      4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43 보건복지부, "2012년 치매유병률조사" 보건복지부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4 2.08 2.2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