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학, "조선후기 화승 관허당 설훈(寬虛堂 雪訓)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39) : 189-212, 2012
2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 신구문화사 2010
3 이용윤, "조선후기 嶺南의 佛畵와 僧侶門中 연구" 홍익대학교 2015
4 정명희, "유리건판으로 보는 북한의 불교미술" 국립중앙박물관 2014
5 "유리건판으로 보는 북한의 불교미술"
6 리인철, "우리절 안내" 조선문화보존사 2003
7 "양천사" 조선문화보존사 2002
8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지리지종합정보"
9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10 황인규, "북한지역 사찰의 불교사적 의의" 대각사상연구원 (17) : 133-168, 2012
1 최학, "조선후기 화승 관허당 설훈(寬虛堂 雪訓)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39) : 189-212, 2012
2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 신구문화사 2010
3 이용윤, "조선후기 嶺南의 佛畵와 僧侶門中 연구" 홍익대학교 2015
4 정명희, "유리건판으로 보는 북한의 불교미술" 국립중앙박물관 2014
5 "유리건판으로 보는 북한의 불교미술"
6 리인철, "우리절 안내" 조선문화보존사 2003
7 "양천사" 조선문화보존사 2002
8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지리지종합정보"
9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10 황인규, "북한지역 사찰의 불교사적 의의" 대각사상연구원 (17) : 133-168, 2012
11 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북한의 전통사찰 1~10" 양사재 2011
12 정명희, "봉안 공간과 의례의 관점에서 본 조선시대 현왕도 연구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成佛寺 現王圖>를 중심으로" 국립중앙박물관 (78) : 95-126, 2009
13 "국립중앙박물관 일제강점기조사자료"
14 최엽, "高山堂 竺演의 佛畫 硏究" (5) : 2004
15 "韓國佛敎全書 10" 동국대학교출판부 1989
16 "韓國佛敎全書 10" 동국대학교출판부 1989
17 "韓國佛敎全書 9" 동국대학교출판부 1988
18 "韓國佛敎全書 8" 동국대학교출판부 1987
19 "韓國佛敎儀禮資料叢書 제3집" 1993
20 정병모, "金泉 七佛寺 三世佛會圖 考察" (7) : 2006
21 최엽, "近代 서울·경기지역 佛畫의 畫師와 畫風" (19) : 2008
22 이혜인, "近代 畵僧 石翁堂 喆有의 佛畫 硏究" 동국대학교 2017
23 李炳熙, "朝鮮時期 寺刹의 數的 推移" (61) : 1997
24 안귀숙, "朝鮮後期 佛畫僧의 系譜와 義謙比丘에 관한 硏究(上)(下)" (8·9) : 1995
25 이용윤, "朝鮮後期 三藏菩薩圖와 水陸齋儀式集" (72·73) : 2005
26 정명희, "儀式集을 통해 본 掛佛의 圖像的 변용" (2) : 2004
27 이용윤, "『佛事成功錄』을 통해 본 남장사 괘불" 통도사성보박물관 (6) : 2001
28 이용윤, "Monk-Painters of Hwanghaksan Mountain with Support of the Byeogam Clan in the Late Joseon" Art History Association of Korea 297 (297): 147-174, 2018
29 이용윤, "Buddhist Paintings by Toeundang Singyeom and the Influence of the Monk Lineage of Hwanseongjian" Art History Association of Korea null (null): 71-101, 2011
30 강영철, "19세기 초 경기지역 華嶽·華潭門中의 畵僧" 5 : 2004
31 강영철, "1774년 文殊寺 靑蓮庵 佛事의 現場資料-首畵僧 雪訓의 書文信을 중심으로-" (7) :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