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 개선을 위한 창의⋅융합 접근 예술 중심 교양 교육과정 재설계 사례 = A Case Study of Creative and Convergence Approach Arts-oriented Liberal Arts Curriculum Management Based on the Need for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526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vercoming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university education in the market economy system, this study was required to improve liberal arts education through the design and operation of an art-oriented liberal arts curriculum with a creative and convergent approach. To this end, first, the basis and examples of the need to improve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were examined through prior research on how the liberal arts curriculum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to change the paradigm of university education in the digital era. As a methodical alternative to this, a case of curriculum operation was presented as an integrated or comprehensive learning practice to cultivate students' future design and necessary competencies through the design of an art-oriented liberal arts curriculum with a creative and convergent approach. The case of creative and convergent approach ‘Arts and Culture Planning’ liberal arts curriculum design and curriculum operation provides improvement measur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customized teaching methods to foster students' actual career choices and era-required creative and convergence skills amid the current population decline and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after COVID-19.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rt-oriented liberal arts courses can play a role in opening possibilities for students when it comes to their career development in a way linked to their major. Such courses can also cultivate their aesthetic sensibility, appreciation for culture, and planning capabilities demanded by the times.
      번역하기

      In overcoming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university education in the market economy system, this study was required to improve liberal arts education through the design and operation of an art-oriented liberal arts curriculum with a creative and co...

      In overcoming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university education in the market economy system, this study was required to improve liberal arts education through the design and operation of an art-oriented liberal arts curriculum with a creative and convergent approach. To this end, first, the basis and examples of the need to improve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were examined through prior research on how the liberal arts curriculum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to change the paradigm of university education in the digital era. As a methodical alternative to this, a case of curriculum operation was presented as an integrated or comprehensive learning practice to cultivate students' future design and necessary competencies through the design of an art-oriented liberal arts curriculum with a creative and convergent approach. The case of creative and convergent approach ‘Arts and Culture Planning’ liberal arts curriculum design and curriculum operation provides improvement measur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customized teaching methods to foster students' actual career choices and era-required creative and convergence skills amid the current population decline and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after COVID-19.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rt-oriented liberal arts courses can play a role in opening possibilities for students when it comes to their career development in a way linked to their major. Such courses can also cultivate their aesthetic sensibility, appreciation for culture, and planning capabilities demanded by the tim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디지털 전환으로 대변되는 사회 환경 변화에 따른 대학교육 혁신의 비판적 검토와 교양교육 개선을 위한 방법적 모색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인구 급감으로 인한 학부구조 개혁과 시장경제 체제의 경쟁 구도 속에서 이루어지는 최근 대학 교양교육 개선 동향과 성공사례를 먼저 고찰한다. 이러한 선행연구 조사와 분석을 기반으로 지나치게 성과 위주의 역량 중심의 교양교육 개선보다는 시장경제 체제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실용과 휴먼을 겸비한 교양 교육과정 개선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음에 주목한다. 또한 예술이 가진 총체적 경험의 속성이 주는 창의⋅융합적 접근의 예술 중심 교양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심미적 감성역량, 문화역량, 기획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예술 관련 교과목을 선정하여 로드맵을 설계하고 ‘예술문화기획’과정으로 재설계한 사례를 제시한다. 또한 학생들이 창의적이고 타 학문과 융합하여 자신의 역량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적 대안을 Dewey의 ‘반성적 사고’를 적용한 비평적 탐구 단계에 따른 창의⋅융합 접근 맞춤 교수법을 적용하여 실천할 수 있음을 본 연구자가 설계한 교양 교과목 운영 예시를 통해 제안한다. 예술 중심 교양교육을 전공교육과의 연계를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미래를 위해 자기 주도적으 로 진로를 탐색하고 시대가 요구하는 역량 함양이 가능하도록‘예술문화기획’교양 교육과정으로 재설계 한 사례는 불확실성과 모호성으로 대변되는 상황 속에서 학생들이 예술 관련 교양 교과목을 수강함으로 써 창의⋅융합 접근 교양교육이 다양한 진로 개척의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는 기폭제가 될 수 있음을 깨닫도록 해준다. 또한 창의⋅융합 접근 맞춤형 교수법을 적용한 예술 중심 교양 교과목 재설계 예시를 통한 방법적 제안은 대학 교양교육 개선의 실천 방향을 제시해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디지털 전환으로 대변되는 사회 환경 변화에 따른 대학교육 혁신의 비판적 검토와 교양교육 개선을 위한 방법적 모색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인구 급감으로 ...

      이 연구는 디지털 전환으로 대변되는 사회 환경 변화에 따른 대학교육 혁신의 비판적 검토와 교양교육 개선을 위한 방법적 모색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인구 급감으로 인한 학부구조 개혁과 시장경제 체제의 경쟁 구도 속에서 이루어지는 최근 대학 교양교육 개선 동향과 성공사례를 먼저 고찰한다. 이러한 선행연구 조사와 분석을 기반으로 지나치게 성과 위주의 역량 중심의 교양교육 개선보다는 시장경제 체제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실용과 휴먼을 겸비한 교양 교육과정 개선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음에 주목한다. 또한 예술이 가진 총체적 경험의 속성이 주는 창의⋅융합적 접근의 예술 중심 교양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심미적 감성역량, 문화역량, 기획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예술 관련 교과목을 선정하여 로드맵을 설계하고 ‘예술문화기획’과정으로 재설계한 사례를 제시한다. 또한 학생들이 창의적이고 타 학문과 융합하여 자신의 역량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적 대안을 Dewey의 ‘반성적 사고’를 적용한 비평적 탐구 단계에 따른 창의⋅융합 접근 맞춤 교수법을 적용하여 실천할 수 있음을 본 연구자가 설계한 교양 교과목 운영 예시를 통해 제안한다. 예술 중심 교양교육을 전공교육과의 연계를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미래를 위해 자기 주도적으 로 진로를 탐색하고 시대가 요구하는 역량 함양이 가능하도록‘예술문화기획’교양 교육과정으로 재설계 한 사례는 불확실성과 모호성으로 대변되는 상황 속에서 학생들이 예술 관련 교양 교과목을 수강함으로 써 창의⋅융합 접근 교양교육이 다양한 진로 개척의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는 기폭제가 될 수 있음을 깨닫도록 해준다. 또한 창의⋅융합 접근 맞춤형 교수법을 적용한 예술 중심 교양 교과목 재설계 예시를 통한 방법적 제안은 대학 교양교육 개선의 실천 방향을 제시해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양희,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양 교육과정 개선: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2 (12): 2457-2468, 2021

      2 손종현, "핵심역량 담론에 대한 반성적 고찰: 교양능력키우기의 교육실천론" 2 (2): 5-54, 2021

      3 신철균 ; 변혜영 ; 어성민 ; 김성목, "학생⋅교원의 교양교육과정 인식 및 요구 분석 -A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217-231, 2020

      4 강경희, "학생 관점에서의 대학 교양 교육과정 개선 요구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20 (20): 35-44, 2020

      5 최경애, "체제적 접근에 따른 대학 교양교육과정 개선의 단계별 과제와 쟁점"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31-51, 2019

      6 이가형 ; 이경화, "창의융합역량, 창의적리더십이 자기주도학습력에 미치는 영향" 영재교육연구소 8 (8): 44-60, 2018

      7 Garrison, J, "존 듀이와 교육: 듀이 철학 입문과 이 시대를 위한현대적 재구성" 살림터 2021

      8 변기용, "잘 가르치는 대학의 특징과 성공요인: 학부교육 우수대학성공사례 보고서" 학지사 2015

      9 정옥희, "예술체험을 통한 대학 인문교양교육 활성화 사례 연구" 한국조형교육학회 (64) : 171-194, 2017

      10 손종현, "역량기반 교양교육에 대한 교육적 타당성 비판" 한국교양교육학회 16 (16): 11-30, 2022

      1 김양희,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양 교육과정 개선: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2 (12): 2457-2468, 2021

      2 손종현, "핵심역량 담론에 대한 반성적 고찰: 교양능력키우기의 교육실천론" 2 (2): 5-54, 2021

      3 신철균 ; 변혜영 ; 어성민 ; 김성목, "학생⋅교원의 교양교육과정 인식 및 요구 분석 -A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217-231, 2020

      4 강경희, "학생 관점에서의 대학 교양 교육과정 개선 요구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20 (20): 35-44, 2020

      5 최경애, "체제적 접근에 따른 대학 교양교육과정 개선의 단계별 과제와 쟁점"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31-51, 2019

      6 이가형 ; 이경화, "창의융합역량, 창의적리더십이 자기주도학습력에 미치는 영향" 영재교육연구소 8 (8): 44-60, 2018

      7 Garrison, J, "존 듀이와 교육: 듀이 철학 입문과 이 시대를 위한현대적 재구성" 살림터 2021

      8 변기용, "잘 가르치는 대학의 특징과 성공요인: 학부교육 우수대학성공사례 보고서" 학지사 2015

      9 정옥희, "예술체험을 통한 대학 인문교양교육 활성화 사례 연구" 한국조형교육학회 (64) : 171-194, 2017

      10 손종현, "역량기반 교양교육에 대한 교육적 타당성 비판" 한국교양교육학회 16 (16): 11-30, 2022

      11 이지연, "미래교육을 위한 테크놀로지 기반 미술교육의 쟁점 탐구" 한국조형교육학회 75 : 271-291, 2020

      12 이경화 ; 김해리 ; 박수진, "대학생의 창의융합역량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한국영재교육학회 20 (20): 5-29, 2021

      13 손동현, "대학교양교육론" 철학과현실사 2019

      14 양수연, "대학 어디로 갈 것인가?: 21세기 대학의 생존전략" 부산대학교 출판부 2019

      15 유인영 ; 강현석, "대학 교육 시스템의 질 관리를 위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인증 모형 개발" 안암교육학회 27 (27): 135-158, 2021

      16 손종현, "대학 교양교육의 새로운 프레임 탐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11-39, 2018

      17 조남민 ; 손달임 ; 황미경, "대학 교양교육에서 ‘역량기반교육’의 의미와 적용 타당성에 대한 고찰" 한국교양교육학회 16 (16): 31-48, 2022

      18 심연수, "대학 교양교육시스템 개선을 위한 체계적 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2002

      19 이청민 ; 정제영 ; 양민석, "대학 교양교육과정의 운영과 내용에 대한 학습자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109-121, 2020

      20 윤유진 ; 이연주, "대학 교양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국내•외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비교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259-286, 2018

      21 김수경, "대학 교양교육강화 재정지원정책의 변화와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5 (15): 273-281, 2021

      22 윤혜경 ; 김용하,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교양교육과정의 운영사례 —D대 교양교육의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4 (4): 63-98, 2019

      23 백승수, "교양교육의 지평: 쟁점과 과제" 양서원 2020

      24 Dewey, J, "경험과 교육" 문음사 2002

      25 Arendt, H., "The human condition: second edi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8

      26 Prensky, M., "Education to Better Their World: Unleashing the Power of 21st-Century Kids" Teachers College Press 2016

      27 Dewey, J., "Art as experience" Capricorn Books 1934

      28 김종규 ; 원만희,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 교양교육의 개선 방향 연구-대학 교육에 대한 산업계 수요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68) : 147-176,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1 2.01 2.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1 2.11 2.837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