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을 대상사례로 하여, 정책과정에서 비정부기구가 수행하는 역할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검토하는 데 있다. 내려진 결론을 요약하면, 비정부기구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157769
2004
-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77-105(29쪽)
2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을 대상사례로 하여, 정책과정에서 비정부기구가 수행하는 역할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검토하는 데 있다. 내려진 결론을 요약하면, 비정부기구가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을 대상사례로 하여, 정책과정에서 비정부기구가 수행하는 역할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검토하는 데 있다. 내려진 결론을 요약하면, 비정부기구가 수와 다양성 측면에서 양적으로 팽창하고 있으며, 정책의 결정과 집행 과정에서 비정부기구의 참여와 영향력이 공히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 정부와 민간이 협력적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으며, 국정운영의 패러다임이 국가중심적인 정부(government)에서 민관이 협력하는 거버넌스(governance)로 변모하고 있다. 더 나아가 비정부기구의 정책참여와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정부와 비정부기구간의 전반적 관계가 갈등적인 성격에서 협력적인 성격으로 변모하고 있으며, 국가-사회간 이익매개의 양식이 조합주의로부터 정책네트워크로 진화하고 있다. 하지만 비정부기구의 세력화 성공과 이로 인한 이익매개 양식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비정부기구의 영향력은 여전히 제한적이며 정책네트워크에서 비정부기구가 차지하는 위상 또한 아직은 주변적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a historical review of how the roles played by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NGO) has changed in the Korean policy processes. To summarize the findings, NGOs have not only expanded in quantity in term...
The primary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a historical review of how the roles played by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NGO) has changed in the Korean policy processes. To summarize the findings, NGOs have not only expanded in quantity in terms of number and diversity, but the extent to which they participate in and exert influence over the processes of making and implementing policies has also increased. As a result, it is increasingly frequent that the public and the private actors form a cooperative network by which to enact and implement policies. And the paradigm of governing is shifting from state-centered government to governance where the public and the private actors work together in partnership. Further, as NGOs’ policy participation and their extent of influence has expanded, th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NGOs has been moving towards a cooperative mode and away from a conflictual one, and the mode of interest mediation between the state and the society has been evolving from a form of corporatism to that of policy networks. Despite NGOs’ strengthened influence and the emergence of policy networks as a primary mode of interest mediation, however, the extent of influence of NGOs is still limited and they are located in the marginal side of the networks.
참고문헌 (Reference)
1 남궁근, "행정조사방법론" 법문사 1999
2 유재원, "한국지방정치론 : 이론과 실제" 박영사 2003
3 김성국, "한국자본주의 발전과 시민사회의 성격 한국의 국가와 시민사회" 1992
4 조대엽, "한국의 시민운동 저항과 참여의 동학" 나남출판 1999
5 이혜승, "한국의 사회보험정책네트워크의 성격에 관한 연구 국민건강보험 사례를 중심으로" 2004
6 정병걸, "한국의 사회단체와 영향력 정책과정을 중심으로" 45 (45): 51-75, 2002
7 강문구, "한국의 민주화 이행과 국가-시민사회의 변모 시민사회 발전의 특이성을 중심으로 한국의 시민사회와 신사회운동" 나남출판 1998
8 조희연 외, "한국사회운동사 :한국변혁운동의 역사와 80년대의 전개과정" 한울 1995
9 장수찬, "한국사회에 나타난 악순환의 사이클 : 결사체 참여(civic engagement) 사회자본(social capital) 그리고 정부신뢰 confidence in political institutions" 36 (36): 87-112, 2002
10 박천오, "한국 이익집단의 정책과정상의 영향력과 활동패턴 정부관료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33 (33): 239-259, 1999
1 남궁근, "행정조사방법론" 법문사 1999
2 유재원, "한국지방정치론 : 이론과 실제" 박영사 2003
3 김성국, "한국자본주의 발전과 시민사회의 성격 한국의 국가와 시민사회" 1992
4 조대엽, "한국의 시민운동 저항과 참여의 동학" 나남출판 1999
5 이혜승, "한국의 사회보험정책네트워크의 성격에 관한 연구 국민건강보험 사례를 중심으로" 2004
6 정병걸, "한국의 사회단체와 영향력 정책과정을 중심으로" 45 (45): 51-75, 2002
7 강문구, "한국의 민주화 이행과 국가-시민사회의 변모 시민사회 발전의 특이성을 중심으로 한국의 시민사회와 신사회운동" 나남출판 1998
8 조희연 외, "한국사회운동사 :한국변혁운동의 역사와 80년대의 전개과정" 한울 1995
9 장수찬, "한국사회에 나타난 악순환의 사이클 : 결사체 참여(civic engagement) 사회자본(social capital) 그리고 정부신뢰 confidence in political institutions" 36 (36): 87-112, 2002
10 박천오, "한국 이익집단의 정책과정상의 영향력과 활동패턴 정부관료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33 (33): 239-259, 1999
11 신율, "한국 시민운동의 개념적 위상과 문제점 경실련과 참여연대를 중심으로" 53 (53): 159-180, 2000
12 정수복, "한국 시민사회의 현황과 발전전망 시민운동을 중심으로" 2000
13 조희연, "한국 시민사회단체(NGO)의 역사, 현황과 전망"" 아르케 2000
14 이숙종, "한국 시민단체의 정책제언활동" 세종연구소 2002
15 염재호, "한국 시민단체의 성장과 뉴 거버넌스의 가능성" 아세아문제연구소 45 (45): 113-147, 2002
16 "한국 NGO의 활동실태와 과제" 한국행정연구원 2002a
17 최성두, "집단간 갈등과 정부의 역할 이슈와 대안-의약분업정책과 갈등조정" 9 (9): 29-53, 2000
18 "직능단체의 인사시스템 연구" 중앙인사위원회 2003
19 배응환, "지역공동체의 지방거버넌스모형 충남의 지방정책사례를 중심으로" 12 (12): 59-90, 2003b
20 옥원호, "지방자치, 거버넌스, 지역NGO" 2002
21 안성호, "지방거버넌스와 지방정책 네트워크 관점에서 본 지방정책사례" 도서출판 다운샘 2004
22 김시윤, "정책변화와 신제도주의 통신산업정책의 사례" 31 (31): 323-346, 1997
23 성지은, "정책네트워크의 지속성과 변화 이동통신 신규사업자 선정을 중심으로" 38 (38): 155-174, 2004
24 김순양, "정책네트워크 모형의 이론적 쟁점분석" 9 (9): 178-217, 2003b
25 안병철, "정책과정에서 NGO의 영향력 요인 의약분업모형의 산출과정 분석" 12 (12): 321-337, 2002
26 김순양, "정책과정과 이익매개의 양식: 세 가지 관점의 비교와 결합" 12 (12): 146-185, 2003a
27 임승빈, "정부의 NGO 재정지원정책 보조금 및 공모사업을 중심으로" 2003
28 홍성만, "정부와 비정부조직 의 정책경쟁과 합의형성과정 : 영월(동강) 댐 건설을 둘러싼 정책조직과 환경운동연합을 중심으로" 36 (36): 21-43, 2002
29 김순양, "정부와 보건의료 전문이익집단 관계의 변화에 관한 고찰 정부 통제유형의 변화를 중심으로" 1994
30 김시윤, "전자산업의 발전과 메조 코포라티즘 제3~5공화국을 중심으로" 29 (29): 3123-3141, 1995
31 전영평, "자치의 오류와 지방정부혁신: 성찰과 과제" 한국행정연구소 41 (41): 79-104, 2003
32 손혁재, "입법청원제도 운영실태와 개선방향" 6 (6): 167-184, 1999
33 사공영호, "이익집단의 형성 및 분열요인과 정책과정 건설산업분야를 중심으로" 13 (13): 1-28, 2004
34 송희준, "이동통신 정책네트워크와 사업자선정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11 (11): 359-386, 2002
35 유팔무,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한울 1995
36 김선혁, "시민사회론의 행정학적 함의" 2003
37 유재원, "사회자본과 자발적 결사체" 9 (9): 23-43, 2000
38 사공영호, "사업자단체의 조합주의적 이익대표체제와 그 비용" 10 (10): 157-181, 2001
39 김의영, "사업자단체와 정책변화의 정치: 한국섬유산업연합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32 (32): 187-205, 1998187~205
40 김준기, "사업자단체와 정부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산업자원부 산하 조합 및 협회를 중심으로" 12 (12): 3-32, 2003
41 김영래, "비정부조직(NGO)과 국가와의 상호작용 연구: 협력과 갈등" 39 (39): 79-98, 1999
42 신광영, "비정부조직(NGO)과 국가 정책 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8 (8): 29-43, 1999
43 유팔무, "비정부사회운동단체(NGO)의 의 역사와 사회적 역할 시민운동과 정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10 (10): 77-119, 1998
44 문병주, "복지NPO의 구조와 동학 그리고 정부와의 파트너쉽" 2003
45 김선경, "도시계획 결정과정의 정책네트워크 분석" 41 (41): 253-278, 2003
46 김태경, "노정권과 시민단체들 유착 혹은 상생?" (9) : 2004
47 김경주, "김대중 정부의 모성보호네트워크 분석" 37 (37): 23-44, 2003
48 이연호, "김대중 정부와 비정부조직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35 (35): 147-164, 2001
49 안병영,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제정과정에 관한 연구" 38 (38): 1-50, 2000
50 "경험을 통해 본 한국 NGO 활동의 과제와 전망" 한국행정연구원 2002b
51 배응환, "거버넌스의 실험 네트워크조직의 이론과 실제 대청호살리기운동본부를 중심으로" 37 (37): 67-93, 2003a
52 김영종, "‘사회적 합의’에 의한 노동정책의 결정과정 분석 노사정위원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13 (13): 587-613, 2001
53 & 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ressman 1973
54 Rhodes, R. A. W, "Understanding Governance: Policy Networks, Governance, Reflexivity and Accountability" Open University Press 1997
55 Salamon, "The Rise of the NonProfit Sector" 1994
56 Schechter, M.(ed), "The Revival of Civil Society: Global and Comparative Perspectives." St.Martin’s Press 1999
57 Berry, J, "The New Liberalism: The Rising Power of Citizen Groups" Brookings Institution 1999
58 Salamon, "The Changing Parternship Between the Voluntary Sector and the Welfare State The Future of the Nonprofit Sector" and Associates Jossey-Bass 1989
59 In P, "Still the Century of corporatism" 1979
60 Santon, K, "Promoting Civil Society: Reflections on Concepts and Practice" In M. Schechter (ed.) The Revival of Civil Society: Global and Comparative Perspectives" St. Martin’s Press 243-251, 1999
61 Marsh, "Policy Network in British Government" Clarendon Press 1992
62 박상필, "NGO와 현대사회 비영리비정부시민사회자원 조직의 구조와 동학" 아르케 2001
63 유팔무, "NGO와 한국의 시민운동 한국사회에서 국회와 NGO의 역할" 1999
64 박병옥, "NGO와 정부간 올바른 관계정립방안" 2000
65 주성수, "NGO와 시민사회 : 이론, 모델, 정책"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4
66 "NGO/Civil Society" World Bank 2000
67 김태룡, "N G O들간의영향력차이와그에따른효과성에관한연구:지방정부의 환경정책결정과정과관련하여" 한국행정학회 36 (36): 269-290, 2002
68 Diamond, "Journal of Democracy" 1994
69 Pierre, J. and G. Peters, "Governance, Politics and the State" St. Martin’s Press 2000
70 Richards, D. and M. Smith, "Governance and Public Policy in the United Kingdom"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71 Carothers, T, "Civil Society" Foreign Policy" (29) : 18-, 2000
72 O’Connell, B, "Civil Society: The Underpinnings of American Democracy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1999
73 Fullinwider, R, "Civil Society, Democracy, and Civic Renewal"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1999
74 CIVICUS, "Civil Society and Good Governance" CIVICUS World 1999
75 "Changing Values and Political Styles among Western Public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tion : 1977
76 Salamon, L. and H. Anheier, "Caring Sector or Caring Society Care and Community in Modern Society: Discovering the Nonprofit Sector Cross-Nationally" In P. Schervich, V. Hodgkinson, and Associates (eds) Care and Community in Modern Society." Jossey-Bass 1995
77 Young, D. R, "Alternative Models of Government-Nonprofit Sector Relations" 29 (29): 149-172, 2000
지방자치단체의 평가제도 비교연구 : 심사분석과 자체평가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1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9 | 1.32 | 1.39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