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산성염모제를 이용한 모발의 염색성 및 역학적·형태학적 특성 = An analysis of the dyeability, mechan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hair by using acidic hair dy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3706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젊은 층에서 개성을 강조하는 여러 가지 색상의 헤어컬러 시술이 많아지고 있고 염색 횟수도 과거에 비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모발 손상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더불어 염색모발의 색소유실에 대한 관리와 유지력을 지속시킬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활 속의 모발 관리 행동과 유사한 물리적, 화학적 작용으로 발생될 수 있는 염색모발의 색상변화와 손상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염색견뢰도 및 모발의 역학적⋅형태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검정색 산성염모제로 염색한 모발에 5회, 10회, 15회, 20회로 각각 횟수를 다르게 하여 샴푸로 세정, 햇볕과 땀 액에 노출을 반복하였을 때 나타나는 색상변화를 색차계로 측정하여 표면색상 및 염색 지속력을 알아보았으며, 모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모발의 인장강도와 신장률, 수분흡수량의 변화, 단백질 유출성, 메틸렌블루 염색법, 알칼리 용해도 측정, 모발 아미노산 분석, 주사전자현미경, 원자현미경의 관찰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모발의 손상도를 측정하였다.
      염색견뢰도의 염색성 실험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p<0.001), 세정횟수와 일광, 땀 액에 대한 노출빈도를 반복할수록 모든 처리군에서 색차(∆E)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염착농도 또한 실험진행에 따라 감소값을 나타내어 염색모발의 색 빠짐 현상이 나타나 염료의 유지력이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특히 땀 실험에서의 색차(∆E)값과 염착량이 큰 폭으로 차이를 보여 산성과 알칼리성 땀 액에 의한 색 소실이 큰 것으로 나타나 본 실험에서의 염색모발의 색상 차는 알칼리성 땀 견뢰도>산성 땀 견뢰도>세정 실험>일광실험 순으로 나타났다.
      실험모발의 역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진행한 실험에서는 인장강도와 신장률 실험에서 횟수에 따라서 유의한 값의 차이가 나타나 반복횟수에 따라 모발손상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발의 수분함유량을 나타내는 보습력 또한 5회에서 79.75%으로 보습력이 가장 높았으며, 10회는 66.50%, 15회는 64.25%, 20회는 61.50%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실험횟수가 반복될수록 손상과 비례하여 모발의 수분흡수력이 낮았고 각 실험에 의한 보습력은 세정 63%, 일광실험은 70%, 산성 땀 액 55%, 알칼리성 땀 액 58%로 땀 액에 대한 수분보유력이 가장 낮았다.
      수분에 대한 모발 팽윤도는 알칼리성 땀 견뢰도 실험에서 29.6%으로 가장 높았으며, 세정견뢰도는 8.9%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모발의 팽윤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알칼리성 땀 실험>산성 땀 실험>일광 실험>세정 실험 순으로 팽윤도로 인한 손상정도가 나타났다. 또한, 반복 실험에 대한 횟수가 20회에서 36.1%로 가장 높았으며, 15회에서 32.7%으로 통계적으로 비슷한 그룹으로 나타났다. 10회에서 7.2%이었으며, 5회는 2.9%으로 실험횟수에 따라서도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모발의 단백질용출량을 측정한 결과 실험방식에 따른 단백질 유출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p<0.05) 일광실험에서 0.804 ㎎/㎖로 단백질 유출량이 가장 많았으며, 세정실험에서는 0.676 ㎎/㎖, 산성 땀 견뢰도는 0.658 ㎎/㎖, 알칼리성 땀 견뢰도는 0.652 ㎎/㎖으로 낮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단백질 유출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일광실험에 대한 염색모발의 단백질 유출성이 가장 컸으며, 그 다음으로 세정실험>산성 땀 실험>알칼리성 땀 실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외선이 모발의 모피질 층까지 침투하여 모발안의 단백질을 분해한 것으로 사료된다.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모발 손상도 실험을 실시한 결과, 세정실험에서 0.651 nm, 일광 0.495 nm, 산성 땀 0.472 nm, 알칼리성 땀 0.443 nm 순으로 나타나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모발 손상도 측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알칼리 용해도 실험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세정과 일광실험 땀 액의 실험에서 모표피 탈락과 간충 물질 등의 유출로 인해 모발이 손상되어 알칼리 용해도가 증가되었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모발 내의 아미노산 함유량은 자연모인 건강모발, 탈색모발, 염색모발, 세정 견
      뢰도 실험 20회 모발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건강모발의 아미노산 총 조성률을 90.3%로 측정되었으며, 시스틴의 함량은 11.9 mmole/mL, 메티오닌 함량 0.7 mmole/mL로 측정되었고, 검정색 산성염모제로 염색한 염색모발의 아미노산 총 조성률은 90.71%이었으며, 시스틴 함량은 10.31 mmole/mL, 메티오닌 함량은 0.68 mmole/mL로 감소율을 보였다. 견뢰도 실험 후의 아미노산 총 조성률은 83.3%로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감소한 결과를 보였으며, 시스틴 함량 10.39 mmole/mL, 메티오닌 함량 0.51 mmole/mL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 모발 안에 단백질 및 간충 물질이 유실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모발의 손상도를 보다 정밀하게 관찰하기 위해 SEM과 AFM측정을 통하여 모발 표면의 형태학적 분석을 관찰한 결과, 실험 진행에 따른 모표피는 스케일의 들뜸과 거칠기가 증가하였고 산성 땀 액에 노출된 시료모발은 박리현상이 증가하여 모피질층이 드러나 보일만큼 울퉁불퉁하게 패여 있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AFM의 측정 결과에서 건강모발의 거칠기는 90.5 nm로 측정되었고 탈색모는 151.84 nm, 염색모는 112.43 nm으로 탈색모의 거칠기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세정견뢰도 실험의 거칠기는 195.19 nm, 일광견뢰도 실험은 179.67nm, 산성 땀 액 176.2 nm, 알칼리성 땀 액 163.18 nm로 세정 실험에 의한 모발 거칠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다른 실험에서는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일상생활에서 많이 행하는 반복적인 샴푸와 태양광 노출, 땀 액에 대한 노출이 염색모발의 색 소실과 모발의 손상을 가중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복적인 물리․ 화학적 시행에 있어 보다 관심을 갖고 모발 보호와 관리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다양한 염모제와 다양한 조건에서의 견뢰도 실험에 대한 연구와 그 결과에 따른 염색 지속성과 모발손상 방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최근 젊은 층에서 개성을 강조하는 여러 가지 색상의 헤어컬러 시술이 많아지고 있고 염색 횟수도 과거에 비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모발 손상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

      최근 젊은 층에서 개성을 강조하는 여러 가지 색상의 헤어컬러 시술이 많아지고 있고 염색 횟수도 과거에 비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모발 손상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더불어 염색모발의 색소유실에 대한 관리와 유지력을 지속시킬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활 속의 모발 관리 행동과 유사한 물리적, 화학적 작용으로 발생될 수 있는 염색모발의 색상변화와 손상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염색견뢰도 및 모발의 역학적⋅형태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검정색 산성염모제로 염색한 모발에 5회, 10회, 15회, 20회로 각각 횟수를 다르게 하여 샴푸로 세정, 햇볕과 땀 액에 노출을 반복하였을 때 나타나는 색상변화를 색차계로 측정하여 표면색상 및 염색 지속력을 알아보았으며, 모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모발의 인장강도와 신장률, 수분흡수량의 변화, 단백질 유출성, 메틸렌블루 염색법, 알칼리 용해도 측정, 모발 아미노산 분석, 주사전자현미경, 원자현미경의 관찰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모발의 손상도를 측정하였다.
      염색견뢰도의 염색성 실험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p<0.001), 세정횟수와 일광, 땀 액에 대한 노출빈도를 반복할수록 모든 처리군에서 색차(∆E)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염착농도 또한 실험진행에 따라 감소값을 나타내어 염색모발의 색 빠짐 현상이 나타나 염료의 유지력이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특히 땀 실험에서의 색차(∆E)값과 염착량이 큰 폭으로 차이를 보여 산성과 알칼리성 땀 액에 의한 색 소실이 큰 것으로 나타나 본 실험에서의 염색모발의 색상 차는 알칼리성 땀 견뢰도>산성 땀 견뢰도>세정 실험>일광실험 순으로 나타났다.
      실험모발의 역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진행한 실험에서는 인장강도와 신장률 실험에서 횟수에 따라서 유의한 값의 차이가 나타나 반복횟수에 따라 모발손상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발의 수분함유량을 나타내는 보습력 또한 5회에서 79.75%으로 보습력이 가장 높았으며, 10회는 66.50%, 15회는 64.25%, 20회는 61.50%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실험횟수가 반복될수록 손상과 비례하여 모발의 수분흡수력이 낮았고 각 실험에 의한 보습력은 세정 63%, 일광실험은 70%, 산성 땀 액 55%, 알칼리성 땀 액 58%로 땀 액에 대한 수분보유력이 가장 낮았다.
      수분에 대한 모발 팽윤도는 알칼리성 땀 견뢰도 실험에서 29.6%으로 가장 높았으며, 세정견뢰도는 8.9%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모발의 팽윤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알칼리성 땀 실험>산성 땀 실험>일광 실험>세정 실험 순으로 팽윤도로 인한 손상정도가 나타났다. 또한, 반복 실험에 대한 횟수가 20회에서 36.1%로 가장 높았으며, 15회에서 32.7%으로 통계적으로 비슷한 그룹으로 나타났다. 10회에서 7.2%이었으며, 5회는 2.9%으로 실험횟수에 따라서도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모발의 단백질용출량을 측정한 결과 실험방식에 따른 단백질 유출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p<0.05) 일광실험에서 0.804 ㎎/㎖로 단백질 유출량이 가장 많았으며, 세정실험에서는 0.676 ㎎/㎖, 산성 땀 견뢰도는 0.658 ㎎/㎖, 알칼리성 땀 견뢰도는 0.652 ㎎/㎖으로 낮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단백질 유출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일광실험에 대한 염색모발의 단백질 유출성이 가장 컸으며, 그 다음으로 세정실험>산성 땀 실험>알칼리성 땀 실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외선이 모발의 모피질 층까지 침투하여 모발안의 단백질을 분해한 것으로 사료된다.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모발 손상도 실험을 실시한 결과, 세정실험에서 0.651 nm, 일광 0.495 nm, 산성 땀 0.472 nm, 알칼리성 땀 0.443 nm 순으로 나타나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모발 손상도 측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알칼리 용해도 실험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세정과 일광실험 땀 액의 실험에서 모표피 탈락과 간충 물질 등의 유출로 인해 모발이 손상되어 알칼리 용해도가 증가되었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모발 내의 아미노산 함유량은 자연모인 건강모발, 탈색모발, 염색모발, 세정 견
      뢰도 실험 20회 모발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건강모발의 아미노산 총 조성률을 90.3%로 측정되었으며, 시스틴의 함량은 11.9 mmole/mL, 메티오닌 함량 0.7 mmole/mL로 측정되었고, 검정색 산성염모제로 염색한 염색모발의 아미노산 총 조성률은 90.71%이었으며, 시스틴 함량은 10.31 mmole/mL, 메티오닌 함량은 0.68 mmole/mL로 감소율을 보였다. 견뢰도 실험 후의 아미노산 총 조성률은 83.3%로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감소한 결과를 보였으며, 시스틴 함량 10.39 mmole/mL, 메티오닌 함량 0.51 mmole/mL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 모발 안에 단백질 및 간충 물질이 유실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모발의 손상도를 보다 정밀하게 관찰하기 위해 SEM과 AFM측정을 통하여 모발 표면의 형태학적 분석을 관찰한 결과, 실험 진행에 따른 모표피는 스케일의 들뜸과 거칠기가 증가하였고 산성 땀 액에 노출된 시료모발은 박리현상이 증가하여 모피질층이 드러나 보일만큼 울퉁불퉁하게 패여 있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AFM의 측정 결과에서 건강모발의 거칠기는 90.5 nm로 측정되었고 탈색모는 151.84 nm, 염색모는 112.43 nm으로 탈색모의 거칠기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세정견뢰도 실험의 거칠기는 195.19 nm, 일광견뢰도 실험은 179.67nm, 산성 땀 액 176.2 nm, 알칼리성 땀 액 163.18 nm로 세정 실험에 의한 모발 거칠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다른 실험에서는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일상생활에서 많이 행하는 반복적인 샴푸와 태양광 노출, 땀 액에 대한 노출이 염색모발의 색 소실과 모발의 손상을 가중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복적인 물리․ 화학적 시행에 있어 보다 관심을 갖고 모발 보호와 관리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다양한 염모제와 다양한 조건에서의 견뢰도 실험에 대한 연구와 그 결과에 따른 염색 지속성과 모발손상 방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List of figures ⅳ
      • List of tables ⅷ
      • 국문초록 ⅺ
      • 목 차
      • List of figures ⅳ
      • List of tables ⅷ
      • 국문초록 ⅺ
      • Ⅰ. 서론 1
      • Ⅱ. 연구방법 12
      • 1. 실험재료 12
      • 1.1 시료모발 12
      • 1.2 실험제품 및 시약 12
      • 2. 실험 및 측정 13
      • 2.1 모발 염색 13
      •  2.2 모발의 색도 및 염착량 측정 14
      • 2.2.1 표면색 측정 14
      • 2.2.2 염착량 측정 15
      • 2.3 염색견뢰도 16
      • 2.3.1 세정견뢰도 16
      • 2.3.2 일광견뢰도 16
      • 2.3.3 산성 땀 견뢰도 16
      •    2.3.4 알칼리성성 땀 견뢰도 17
      • 2.4 염색모발의 물리적 특성 측정 18
      • 2.4.1 인장강도 및 신장률 18
      • 2.4.2 보습력 19
      • 2.4.3 팽윤도 변화 19
      • 2.4.4 단백질 유출성 측정 20
      • 2.4.5 Methylene blue 염색법을 이용한 분석 20
      • 2.4.6 알칼리용해도 측정 21
      • 2.4.7 아미노산 측정 21
      •   2.5 염색모발의 형태학적 특성 22
      • 2.5.1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분석 22
      • 2.5.2 AFM(Atomic Force Microscope) 분석 22
      • 3. 통계처리 25
      • Ⅲ. 결과 및 고찰 26
      • 1. 염색모발의 염색성 26
      • 1.1 세정견뢰도 26
      • 1.2 일광견뢰도 32
      • 1.3 산성 땀 견뢰도 36
      • 1.4 알칼리성 땀 견뢰도 41
      • 1.5 염색견뢰도의 차이성 검증 45
      • 2. 염색모발의 물리적 특성 47
      • 2.1 인장강도 47
      • 2.2 신장률 52
      • 2.3 모발 보습성 56
      • 2.4 모발 팽윤성 61
      • 2.5 단백질 유출성 66
      • 2.6 Methylene blue 측정 73
      • 2.7 알칼리 용해도 측정 80
      • 2.8 아미노산 분석 86
      • 3. 형태학적 특성 90
      • 3.1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90
      • 3.2 AFM(Atomic Force Microscope) 97
      • Ⅳ. 결론 110
      • 참고문헌 113
      • ABSTRACT 120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순희, 최정명, 최에스더, 정현숙, 정지영, 이근광, 유유정, 서원숙, "모발과학", 수문사, 155-158, 2014

      2 허경택, 허용덕, "와인&커피 용어해설", 백산출판사, 2009

      3 안봉전, 이창언, 이진태, "화장품 생물 신소재", 광문각, p234, 2009

      4 이원수, 피용천, 전수영, "자외선에 의한 모발손상", 대한피부과학회지, 57(2), 133-133, 2005

      5 김한식, 차원미, "홍화를 이용한 모발의 천연염색", 한국두피모발미용학회, 대한미용학회지, 4(2), 177-182, 2008

      6 차원미, "반영구염색이 모발에 미치는 영향", 한국뷰티아트학회지, 13(1), 21-32, 2014

      7 김주섭, "합성염모제에 의한 모발 손상 비교", 한국미용학회지, 12(1), 67-73, 2006

      8 박숙경, "컷팅 기구별 모발 손상에 대한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4(2), 111-119, 2003

      9 강태진, 임성실, 이옥상, 이보름, "손상 모발을 위한 EPA 함유 샴푸 개발", 한국임상약학회, 한국임상학회지, 21(2), 256-269, 2011

      10 백유성, 정지선, 장은진, 이서윤, 서종현, "이미지 관리행동과 심리적 기대효과", 한국경영학회, 한국인사관리학회지, 1218, 2008

      1 김순희, 최정명, 최에스더, 정현숙, 정지영, 이근광, 유유정, 서원숙, "모발과학", 수문사, 155-158, 2014

      2 허경택, 허용덕, "와인&커피 용어해설", 백산출판사, 2009

      3 안봉전, 이창언, 이진태, "화장품 생물 신소재", 광문각, p234, 2009

      4 이원수, 피용천, 전수영, "자외선에 의한 모발손상", 대한피부과학회지, 57(2), 133-133, 2005

      5 김한식, 차원미, "홍화를 이용한 모발의 천연염색", 한국두피모발미용학회, 대한미용학회지, 4(2), 177-182, 2008

      6 차원미, "반영구염색이 모발에 미치는 영향", 한국뷰티아트학회지, 13(1), 21-32, 2014

      7 김주섭, "합성염모제에 의한 모발 손상 비교", 한국미용학회지, 12(1), 67-73, 2006

      8 박숙경, "컷팅 기구별 모발 손상에 대한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4(2), 111-119, 2003

      9 강태진, 임성실, 이옥상, 이보름, "손상 모발을 위한 EPA 함유 샴푸 개발", 한국임상약학회, 한국임상학회지, 21(2), 256-269, 2011

      10 백유성, 정지선, 장은진, 이서윤, 서종현, "이미지 관리행동과 심리적 기대효과", 한국경영학회, 한국인사관리학회지, 1218, 2008

      11 장미화, "밀링형 산성염료에 의한 모발 염색성", 전남대학교 대학원,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2 장경옥, "펌 처리에 의한 모발의 형태학적 변화", 한국인체예술학회지, 3(1), 137-147, 2002

      13 박철호, 이정례, "검정콩 종피를 이용한 모발의 천연염색", 대한미용학회, 대한미용학회지, 8(2), 127-134, 2012

      14 김춘일, 정은영, "모발관리(Hair care)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제주한라대학, 제주한라대학학술지, 25, 129-140, 2001

      15 권세화, 채희옥, 나명석, "세정제에 따른 염색모발의 착색 및 유지",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한국인체예술학회지, 10(2), 45-62, 2009

      16 문재원, 이복자, "치자의 염색지속력과 모발 손상 보호효과", 한국미용학회, 한국미용학회지, 20(1), 73-82, 2014

      17 김윤석, 박수진, "“모발 개선을 위한 Transglutaminase의 적용”", 대한화장품학회, 대한화장품학회지, 39(1), 20-30, 2013

      18 조연수, "잣 오일 트리트먼트가 모발이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9 임순녀, 이진, 이웅의, 최창남, 정남영, "산성염료/모발염색계에 있어서 용매의 효과", 한국염색가공학회, 한국염색가공학회지, 23(4), 250-256, 2011

      20 이종숙, "퍼머넌트제의 웨이브 효율과 모발손상 비교",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1 김경선, 전동원, "아프리칸 매리골드(Tagetes erecta L.) 꽃 추출물(抽出物)로 염색(染色)한 모발(毛髮)과 양모섬유(羊毛纖維) 염색(染色)에서 후매염(後媒染)에 의해서 흡착(吸着)된 금속(金屬)이온 농도(濃度)가 색상(色相)과 견뢰도(堅牢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패션비지니스학회지, 10(5), 45-57, 2006

      22 정선주, "복분자의 염색성과 염색 지속력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3 박철호, 서종철, "포도껍질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의 염색 특성", 대한피부미용학회,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13(5), 689-694, 2015

      24 이명희, "손상된 모발의 SEM imaging 및 FT-IR 분광학적 평가", 한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25 백두현, 이옥섭, 김정환, 한지숙, 하병조, 신성연, "자외선 조사에 의한모발구조의 형태학적 변화", 대한화장품학회, 대한화장품학회지, 16(3), 894-900, 2008

      26 장미화(Chang, Mi Haw), "자외선A에 의한 모발 성질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2(2), 561-568, 2016

      27 임순녀, 장미화, 양혜연, 이웅의, 최창남, 정남영, "천연염료에 의한 모발 염색에서 용매의 효과 2", 한국염색가공학회, 한국염색가공학회지, 22(2), 110-117, 2010

      28 장애선, 박철호, "오디(Mulberry) 추출물의 모발 염색 및 견뢰도 연구", 코리아뷰티디자인학회지, 8(1), 33-39, 2005

      29 강주진, 왕혜자, "샴푸 시술이 산성코팅한 염색모발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7(3), 89-100, 2006

      30 이미선, "반영구 염모제의 색상에 따른 염색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31 정남영, 정인경, "염모제 처리 시의 모발손상도 및 모발색도의 변화", 한국미용학회, 한국미용학회지, 14(1), 187-209, 2008

      32 신임순, "Hair Pack과 LPP제품의 처리가 손상모발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예술학회, 한국미용예술학회지, 9(4), 15-24, 2015

      33 왕혜자, 이성자, "국내 산성칼라 제품의 세정횟수에 따른 착색도 변화", 한국미용예술학회, 한국미용예술학회지, 1(3), 49-56, 2007

      34 나윤영, 정민주, 노영복, "양파 외피 추출물이 모발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효과", 한국전자현미경학회지, 38(1), 35-41, 2008

      35 김상은, 이진희, "여성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헤어스타일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3(4), 339-348, 2007

      36 신임순, 이주영 ( Ju Young Lee ), "손상모발에 있어서 PPT제 처리후의 물리, 화학적 변화", 한국미용학회, 한국미용학회지, 15(2), 689-699, 2009

      37 배선향, "염색제 적용에 따른 모발의 굵기와 모발 손상의 관계", 한국미용학회지, 9(2), 84-96, 2003

      38 김한식, 박주아, "자외선 조사에 의한 모발의 색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 한국미용학회지, 14(4), 1175-1186, 2008

      39 장병수, 오명숙, "Thioglycolic acid와 열펌에 의해 손상된 모발에 관한 연구", 대한미용학회(구 대한미용과학회), 대한미용학회지, 4(2), 163-170, 2008

      40 김란, 장미화, "계면활성제가 모발 염모제의 산성염료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1(2), 9-17, 2015

      41 이윤희, 한지은, 한주희, 정명훈, "20대 여성의 모발염색 경험 유무에 따른 인식과 만족도",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한국미용예술학회지, 9(1), 25-35, 2015

      42 임순녀, 최창남, 정남영, "산화형 영구염모제 종류에 따른 염색성과 모발의 손상", 한국염색가공학회, 한국염색가공학회지, 24(4), 305-312, 2012

      43 임태희, "염모제의 알칼리 성분에 따른 모발손상도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예술학회지, 2(1), 125-141, 2008

      44 최희진, "천연모발 염색 소재인 남천잎 추출물의 생리활성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21(1), 126-130, 2015

      45 박호준, "원자현미경을 이용한 모발 큐티클층 및 모발 손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46 이정태, "반영구 염모제의 pH가 염색손상모의 시술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47 강갑연, 최태부, "탈색제에 의한 모발 손상 측정 및 모발 보호제 처리 효과", 한국미용학회, 한국미용학회지, 27(3), 955-963, 2007

      48 김정운, 제갈미옥, 손아름, 박선우, 김진아, "열처리와 비열처리 퍼머넌트 웨이브에 의한 모발손상 비교", 한국미용학회, 한국미용학회지, 5(2), 494-501, 2009

      49 이귀영, 나수경, 장병수, "자외선 조사에 따른 모발의 물리.화학적 변화에 관 한 연구", 韓國電子顯微鏡學會, 한국전자현미경학회지, 36(2), 109-118, 2006

      50 김주덕, 서윤경, "여대생의 성격유형에 따른 헤어스타일과 헤어컬러와의 관계", 한국미용학회지, 9(2), 194-213, 2013

      51 최환호, "백년초 열매 열수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 염색 및 견뢰도 분석", 광주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52 하병조, "과산화수소에 의한 모발의 화학적 손상에 대한 분광학적 평가", 한국공업화학회, 22(5), 579-581, 2011

      53 라채숙, 권수애, 이옥규, "복합시술 모발의 자외선 보호처리에 따른 손상도와 색상 변화",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17(1), 131-147, 2016

      54 이귀영, 장병수, "“영구염색 모발의 외부형태에 관한 주사전자현미경적 연구”", 대한미용학회, 대한미용학회지, 5(2), 81-85, 2009

      55 이수경, "산성염모제 시술 후 두발세정제에 따른 모표피변화와 퇴색정도",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56 장병수, "미용을 위한 일상적인 열처리에 의해서 손상된 모발의 미세구조", 韓國電子顯微鏡學會, 한국전자현미경학회지, 33(3), 215-222, 2003

      57 김정숙, "보말의 반영구 염색에서 컨디셔너가 염색력 지속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품학회지, 39(1), 20-30., 2008

      58 양진모, "울금 전 후 처리가 펌 중복 시술로 인한 손상모발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59 김기영, 문재원, "소목으로 염색한 모발의 물리적 성상 변화와 모표피의 형태 관찰",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16(2), 59-73, 2012

      60 손해경, "헤어 시술시 모발 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헤어샵을 중심으로",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6(4), 53-66, 2009

      61 김동표, "모발의 이하학적 성상과 형태학적 변화관찰에 의한 손상도의 분류",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62 정인찬, 주용영, "산화영구 염색시 Ampoule 사용에 따른 염색 유지력 증강에 관한 연구", 한국염색가공학회지, 27(3), 219-227, 2011

      63 박혜연, 신은경, 백정원, "여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헤어태도 및 헤어스타일 선호도",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한국미용예술학회지, 9(3), 121-128, 2015

      64 정해란, 정원지, 나명석, 김신미, "적색 산성염모제를 이용한 염색모발의 염색견뢰도 및 물리적 특성", 한국미용학회, 한국미용학회지, 17(1), 65-71, 2011

      65 허유미, "퍼머넌트 웨이브의 반복시술이 모발 아미노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66 홍수경, "화학적 시술에 의한 모발손상과 트리트먼트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67 이보미, "염모제 주성분의(Ammonia, MEA-PPD, TDS) 모발 손상에 관한 원료실험 연구",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68 최태부, 김정숙, "반영구염색 시 헤어메니큐어와 컨디셔너가 모발염색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 한국미용학회지, 16(3), 894-900, 2010

      69 이근광, 이수경, "산성염모제 시술 후 모발세정에 따른 모표피 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 한국미용학회지, 16(4), 1017-1027, 2010

      70 김정해, 전연, 유태순,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방법에 따른 모발의 물리적, 역학적 특성 변화",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4), 441-448, 2006

      71 김기영, 임태희, 김복환, "백모에 대한 천연 헨나와 산화염모제의 염색력과 모발보호효과 비교", 한국미용학회, 한국미용학회지, 18(3), 685-705, 2012

      72 민명자, 최선화, 신현재, "“참깨 단백질과 오일의 전처리가 탈색모 손상 방지에 미치는 영향”", 대한미용학회,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73 강평미, "선호헤어스타일의 이미지 차이 및 앞머리 디자인 요소의 선호도 연구", 한국피부과학연구원, 대한피부미용학회지, 12(3), 371-380, 2014

      74 김수영, 정원지, 나명석, "소목(Caesalpinia sappan L.) 열수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염색 및 견뢰도 분석", 한국미용학회, 한국미용학회지, 19(4), 607-612, 2013

      75 임순녀, 주연빈, "트리트먼트 처리 조건에 따른 모발손상 및 형태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염색가공학회, 한국미용학회지, 17(5), 922-930, 2015

      76 강지영, "반영구 산성염모제에 의한 모발 염색 시 착색도에 미치는 pH조정제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구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77 박은준, "헨나(Lowsonia inermis) 처리 시 모발의 물리적 성상과 형태학적 구조의 변화",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78 반효정 ( Hyo Jeong Ban ), 고경숙(Kyoung-Sook Ko), "염색 시술 시 포공영 샴푸 처리에 따른 모발 손상도 및 색상도 변화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16(4), 73-83, 2015

      79 장경옥, 진인순, "“영구 염모제에 의한 모발 염색 시 앰플 도포시기에 따른 모발의 변화”",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한국인체예술학회지, 5(1), 203-214, 2004

      80 김혜정, 최정숙, "모발의 염색관리 후 무색 헤어매니큐어의 관리 시점에 따른 모발 보호효과", 한국패션뷰티학회, 한국패션뷰티학회지, 4(2), 15-21, 2006

      81 김기영, 박은준, "Henna(Lawsonia intermis)염색이 모발의 색도변화와 큐티클 형태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 한국미용학회지, 14(4), 677-688, 2008

      82 당수민, 홍성희, "신체적 헤어스타일 결정요인과 유행하는 헤어스타일 모방 수준의 관련성 연구", 대한피부미용학회, 대한피부미용학회지, 11(6), 1155-1162, 2013

      83 신수정, "하이힐을 착용한 20대 여대생의 외모관심도, 스트레스, 피로도와 건강상태 연구", 한국미용예술학회, 한국미용예술학회지, 7(2), 153-161, 2013

      84 하병조, 전동원, 김경선, "복숭아(Impatiens balsamina L.) 건조꽃잎 추출물로 염색한 모발의 염색 특성과 견뢰도", 한국두피모발미용학회지, 2(3), 101-110, 2006

      85 최원화, "산화염색과 천연염색이 모발에 미치는 영향:저알칼리성 염모제 헤나를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86 함미영, 한지숙, 하병조, 신성연, 백두현,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가 함유된 자 외선 차단제품의 모발 보호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두피모발미용학회, 한국두피모발미용학회지, 3(2), 59-67, 2007

      87 송연숙, 이근광, 심상희, "염색 시술 시 모발 보호제 처리에 따른 모표피의 구조 및 인장강도와 신장도의 변화", 한국미용학회, 한국미용학회지, 19(4), 707-711, 2013

      88 안현경, "산성컬러 염색제로 모발 염색 시 열처리에 따른 세척 전과 세척 후 색차 및 색 변화에 관한 연구", 패션비지니스학회지, 16(1), 69-83, 2012

      89 강하영, 최인규, 최돈하, 조현진, "천연염료자원 탐색 및 염색특성(Ⅱ) : 염색조건에 따른 거북꼬리(Boehmeria tricuspis Makino)추출물의 염색 특성", 한국산림바이오에너지학회지, 25(5), 22-27, 2015

      90 배영주, "대학생이 선호하는 외적이미지 유형과 외적이미지 관리에 대한 연구  :한국교통대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교통대학교논문집, 50, 29-39, 2015

      91 강상모(Sang Mo Kang), 최묘선(Myo Sun Choi), "염색 모발을 산성 웨이브 펌으로 시술 시 지렁이 자가분해물이 모발의 손상과 형태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16(1), 167-179,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