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운영 만족에 관한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추론 연구 = Investigation of Factors Affecting General Education Teacher Satisfaction toward Inclusion via a Structural Equation Model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형태, 교직경력, 통합교육 연수, 협력교수, 학교공동체 수용태도를 분석함으로써,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운영 만족도에 미치는 직․간접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K도의 ...

      본 연구는 학교형태, 교직경력, 통합교육 연수, 협력교수, 학교공동체 수용태도를 분석함으로써,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운영 만족도에 미치는 직․간접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K도의 초․중․고등학교 일반교사 445명의 설문 데이터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학교형태로 측정된 초중고의 구분은 통합교육운영 만족도 사이에서 유의미한 총합효과와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중․고등학교의 일반교사 보다,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운영 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
      다. 학교공동체의 수용태도도 초등학교 일반교사가 중․고등학교의 일반교사 보다긍정적이었으며, 이는 통합교육 운영에 대한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 경력은 통합교육 운영 만족도에 대한 직접적인 효과를 보이지 않
      았으나, 학교공동체의 수용태도와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또한, 통합교육 연수는 통합교육 운영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연수를 경험한 교사와 통합교육 만족도 간에서 유의미한 총합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특수교육대상학생들에 대한 학교공동체의 수용 태도 와 통합교육 연수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운영 만족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통합교육 촉진을 위한 효과적인 협력교수 모형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among school type, teacher experience, professional development, co-teaching, school professional groups’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 satisfaction toward inclusion. 44...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among school type, teacher experience, professional development, co-teaching, school professional groups’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 satisfaction toward inclusion.
      445 general education teachers’ survey responses were collected by K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We fi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into the data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lementary school general education teacher was more likely satisfied with inclusion. Elementary school professional groups’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special needs was also more positive than middle and high school gener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 satisfaction. Although co-teaching experienc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had
      no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teachers’ satisfaction toward inclusi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inclusion had the total effect on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 satisfac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rol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bout inclusion and school professional groups’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special needs.
      Developing effective co-teaching models is also in need to promote inclus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I. 서 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혜린, "효율적 통합학급 운영을 위한 행·재정 지원 현황에 대한 교사 만족도 및 요구 분석" 한국학습장애학회 11 (11): 135-153, 2014

      2 최성규,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 실태와 인식 및 지원요구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5 (45): 151-172, 2006

      3 교육부, "특수교육통계"

      4 이경명, "통합교육의 협력교수 유형과 협력정도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 김소영,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간 협력관계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6 김봉세, "통합교육 만족도 측정 모형 및 요인 탐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373-396, 2013

      7 송영달, "초등학교 통합학급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8 우정한, "초·중등학교 일반교육교사의 장애이해교육 실태, 인식 및 요구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9 (9): 359-386, 2008

      9 이희연, "중도・중복장애학생 특수학급에 대한 일반학교 관리자의 인식 및 관리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연구소 16 (16): 111-133, 2017

      10 정귀순, "중도 및 복합장애아동의 통합교육 효과에 대한 문헌분석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3 (3): 57-79, 2004

      1 전혜린, "효율적 통합학급 운영을 위한 행·재정 지원 현황에 대한 교사 만족도 및 요구 분석" 한국학습장애학회 11 (11): 135-153, 2014

      2 최성규,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 실태와 인식 및 지원요구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5 (45): 151-172, 2006

      3 교육부, "특수교육통계"

      4 이경명, "통합교육의 협력교수 유형과 협력정도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 김소영,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간 협력관계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6 김봉세, "통합교육 만족도 측정 모형 및 요인 탐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373-396, 2013

      7 송영달, "초등학교 통합학급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8 우정한, "초·중등학교 일반교육교사의 장애이해교육 실태, 인식 및 요구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9 (9): 359-386, 2008

      9 이희연, "중도・중복장애학생 특수학급에 대한 일반학교 관리자의 인식 및 관리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연구소 16 (16): 111-133, 2017

      10 정귀순, "중도 및 복합장애아동의 통합교육 효과에 대한 문헌분석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3 (3): 57-79, 2004

      11 교육부, "제4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13~’17)" 교육부 2013

      12 교육과학기술부, "제3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08~’12)" 교육과학기술부 2008

      13 교육부, "제2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03~’07)" 교육부 2003

      14 교육부, "제1차 특수교육종합계획(’97~’01)" 교육부 1997

      15 유수옥, "장애유아통합교육에 적합한 유아교사 준비에 대한 유치원장의 인식" 35 (35): 291-316, 2000

      16 이소현, "장애유아 통합교육과정" 학지사 2001

      17 황순자,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태도 연구" 13 (13): 141-160, 2000

      18 이소현, "장애 영유아 통합교육의 동향 및 과제" 25 (25): 79-91, 2003

      19 안영주, "인천지역 초등학교 중도․중복장애학급 학생들의 통합교육 실태 및 특수교사, 통학합급교사, 학부모의 만족도 조사" 34 (34): 23-51, 2014

      20 허유성, "업무강도와 교직경력이 초등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탈진감과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경로 비교" 한국통합교육학회 7 (7): 143-164, 2012

      21 승윤희, "서울시 초등학교 통합교육 실태 및 특수/통합학급 교사들의 의견 조사 - 통합학급 음악교육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 -" 한국예술교육학회 10 (10): 57-82, 2012

      22 "국가법령정보센터"

      23 김남진, "경기지역 통합교육 재구조화에 관한 인식 조사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7 (17): 123-143, 2016

      24 Fisher, D., "Parent and Caregiver Impressions of Different Educational Models" 19 (19): 173-180, 1998

      25 Muthén, L. K., "Mplus User’s Guide" Muthén & Muthén 2012

      26 Larrivee, B., "Effect of Inservice training Intensivity on teacher's attitudes toward mainstreaming" 48 (48): 34-39, 1981

      27 Hu, L. T., "Cutoff criteria for fit indic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6 : 1-55, 1999

      28 Cook,L., "Co-teaching: Principles, Practices and Pragmatics" New Mexico Public Education Department Quarterly Special Education Meeting Albuquerque 2004

      29 교육인적자원부, "2001 특수교육실태조사서" 교육인적자원부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