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간세포암 환자의 경간동맥화학색전술 이후의 영상의학적/혈청학적 치료 반응의 관계에 대한 분석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933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간세포암 환자의 경간동맥화학색전술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이하 TACE) 이후의 영상의학적 치료 반응과 혈청태아단백 (α-fetoprotein, 이하 AFP), protein induced by vitamin K absence of antagonist–II (PIVKA–II) 수치에 기반한 혈청학적 치료 반응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보고자 한다.

      방법

      간세포암으로 진단된 환자들 중 일차적 치료로 TACE 를 시행한 13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간세포암의 TACE 이후의 영상의학적 반응은 modified Response Evaluation Criteria In Solid Tumors (mRECIST) 에 따라 분류하였고, 혈청 AFP, PIVKA–II 수치에 따른 치료 반응 또한 완전 관해 (이하 CR), 부분 관해 (이하 PR), 안정 반응 (이하 SD), 진행 (이하 PD) 으로 분류하여 관계와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영상의학적 치료 반응의 범주에 따라 TACE 전후의 혈청 AFP, PIVKA-II 수치의 평균값을 구하여 영상의학적 치료 반응의 범주와 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각각 분석하였다.

      결과

      총 131명의 환자 중에서 영상의학적 치료 반응의 경우 43명 (32.8%) 이 CR, 23명 (17.6%) 이 PR, 22명 (16.8%) 이 SD, 43명 (32.8%) 이 PD 소견을 보였다. 영상의학적 CR인 43명 중에서 4명 (9.3%) 이 혈청 AFP 치료 반응 평가 기준상 CR이었으며, 이외에 30명 (69.8%) 이 PR, 9명이 SD (20.1%) 였다. 또한 영상의학적 PR 인 23 명 중에서는 1명 (4.3%) 이 혈청 AFP 치료 반응 평가 기준상 PR 이었으며, 이외에 16명 (69.6%) 이 CR, 2명 (8.7%) 이 SD, 4명 (17.4%) 이 PD 였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p-value = 0.495) 일치도는 ‘거의 일치하지 않음’ 의 결과를 보였다. 한편 혈청 PIVKA-II 의 경우에는 영상의학적 CR 인 43명 중에서 30명 (69.8%) 이 혈청 PIVKA-II 치료 반응 평가 기준상 CR이었으며, 13명 (30.2%) 이 PR이었다. 영상의학적 PR 인 23명 중에서는 18명 (78.3%) 이 혈청 PIVKA-II 치료 반응 평가 기준 상PR 이었으며, 3명 (13.0%) 이 CR, 2명 (8.7%) 이 SD 였다. 영상의학적 PD 인 43 명 중에서는 30명 (69.8%) 이 혈청 PIVKA-II 치료 반응 평가 기준상 PD 였으며, 13명 (30.2%) 이 SD였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으며 (p-value = 0.004) 일치도는 ‘보통의 일치’ 의 결과를 보였다. 영상의학적 치료반응의 범주에 따른 TACE 이후의 혈청학적 종양표지자 수치의 변화는 영상의학적 CR인 환자군의 경우 혈청 AFP 수치의 평균값이 TACE 이후 35.7% 로 감소하였고 (p-value =0.15), PR 의 경우 23.2% (p-value =0.23), SD 의 경우 21.8% 로 감소하였으며 (p-value =0.19), PD 의 경우에는 12.5% 로 증가하였다 (p-value =0.34). 반면에 혈청 PIVKA-II 수치의 평균값은 영상의학적 CR 인 환자군의 경우 TACE 이후 88.4%로 감소하였고 (p-value =0.03), PR 의 경우 70.7% (p-value =0.04), SD 의 경우 23.8% 로 감소하였으며 (p-value =0.10), PD 의 경우 53.1% 로 증가하였다 (p-value =0.01).

      결론

      본 연구에서 간세포암 환자의 TACE 에 대한 영상의학적 치료 반응은 혈청 PIVKA-II 수치의 치료 반응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한편 혈청 AFP 수치와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번역하기

      목적 간세포암 환자의 경간동맥화학색전술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이하 TACE) 이후의 영상의학적 치료 반응과 혈청태아단백 (α-fetoprotein, 이하 AFP), protein induced by vitamin K absence of antagonist–I...

      목적
      간세포암 환자의 경간동맥화학색전술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이하 TACE) 이후의 영상의학적 치료 반응과 혈청태아단백 (α-fetoprotein, 이하 AFP), protein induced by vitamin K absence of antagonist–II (PIVKA–II) 수치에 기반한 혈청학적 치료 반응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보고자 한다.

      방법

      간세포암으로 진단된 환자들 중 일차적 치료로 TACE 를 시행한 13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간세포암의 TACE 이후의 영상의학적 반응은 modified Response Evaluation Criteria In Solid Tumors (mRECIST) 에 따라 분류하였고, 혈청 AFP, PIVKA–II 수치에 따른 치료 반응 또한 완전 관해 (이하 CR), 부분 관해 (이하 PR), 안정 반응 (이하 SD), 진행 (이하 PD) 으로 분류하여 관계와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영상의학적 치료 반응의 범주에 따라 TACE 전후의 혈청 AFP, PIVKA-II 수치의 평균값을 구하여 영상의학적 치료 반응의 범주와 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각각 분석하였다.

      결과

      총 131명의 환자 중에서 영상의학적 치료 반응의 경우 43명 (32.8%) 이 CR, 23명 (17.6%) 이 PR, 22명 (16.8%) 이 SD, 43명 (32.8%) 이 PD 소견을 보였다. 영상의학적 CR인 43명 중에서 4명 (9.3%) 이 혈청 AFP 치료 반응 평가 기준상 CR이었으며, 이외에 30명 (69.8%) 이 PR, 9명이 SD (20.1%) 였다. 또한 영상의학적 PR 인 23 명 중에서는 1명 (4.3%) 이 혈청 AFP 치료 반응 평가 기준상 PR 이었으며, 이외에 16명 (69.6%) 이 CR, 2명 (8.7%) 이 SD, 4명 (17.4%) 이 PD 였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p-value = 0.495) 일치도는 ‘거의 일치하지 않음’ 의 결과를 보였다. 한편 혈청 PIVKA-II 의 경우에는 영상의학적 CR 인 43명 중에서 30명 (69.8%) 이 혈청 PIVKA-II 치료 반응 평가 기준상 CR이었으며, 13명 (30.2%) 이 PR이었다. 영상의학적 PR 인 23명 중에서는 18명 (78.3%) 이 혈청 PIVKA-II 치료 반응 평가 기준 상PR 이었으며, 3명 (13.0%) 이 CR, 2명 (8.7%) 이 SD 였다. 영상의학적 PD 인 43 명 중에서는 30명 (69.8%) 이 혈청 PIVKA-II 치료 반응 평가 기준상 PD 였으며, 13명 (30.2%) 이 SD였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으며 (p-value = 0.004) 일치도는 ‘보통의 일치’ 의 결과를 보였다. 영상의학적 치료반응의 범주에 따른 TACE 이후의 혈청학적 종양표지자 수치의 변화는 영상의학적 CR인 환자군의 경우 혈청 AFP 수치의 평균값이 TACE 이후 35.7% 로 감소하였고 (p-value =0.15), PR 의 경우 23.2% (p-value =0.23), SD 의 경우 21.8% 로 감소하였으며 (p-value =0.19), PD 의 경우에는 12.5% 로 증가하였다 (p-value =0.34). 반면에 혈청 PIVKA-II 수치의 평균값은 영상의학적 CR 인 환자군의 경우 TACE 이후 88.4%로 감소하였고 (p-value =0.03), PR 의 경우 70.7% (p-value =0.04), SD 의 경우 23.8% 로 감소하였으며 (p-value =0.10), PD 의 경우 53.1% 로 증가하였다 (p-value =0.01).

      결론

      본 연구에서 간세포암 환자의 TACE 에 대한 영상의학적 치료 반응은 혈청 PIVKA-II 수치의 치료 반응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한편 혈청 AFP 수치와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radiologic treatment response and serological treatment response on the levels of α-fetoprotein (AFP) and protein induced by vitamin K absence of antagonist–II (PIVKA–II) of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following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Materials and Methods
      Our study included 131 patients who diagnosed with HCC and performed TACE as primary treatment. The post-TACE radiologic response of HCC was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modified Response Evaluation Criteria In Solid Tumors (mRECIST), and serologic treatment response according to the serum AFP and PIVKA-II levels was also analyzed in complete response (CR), partial response (PR), stable disease (SD), and progressive disease (PD). The relationship and concordance of the categorical variables were analyzed. The average values of serum AFP and PIVKA-II levels before and after TACE were obtained according to the category of radiologic treatment respons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was analyzed respectively.

      Results
      Radiologic treatment responses were CR in 43 (32.8%), PR in 23 (17.6%), SD in 22 (16.8%) and PD in 43 (32.8%), in the total 131 patients. Serologic treatment responses on the basis of serum AFP level were CR in 4 (9.3%), PR in 30 (69.8%) and SD in 9 (20.1%), in the 43 patients of radiologic CR. In addition, in the 23 patients of radiologic PR, serologic treatment responses on the basis of serum AFP level were 1 (4.3%) in PR, 16 (69.6%) in CR, 2 (8.7%) in SD and 4 (17.4%) in PD. It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p-value = 0.495) and the consistency was the result of ‘nearly inconsistent’. On the other hand, serologic treatment responses on the basis of serum PIVKA-II level were CR in 30 (69.8%) and PR in 13 (30.2%), in the 43 patients of radiologic CR. In the 23 patients of radiologic PR, serologic treatment responses on the basis of serum PIVKA-II level were 18 (78.3%) in PR, 3 (13.0%) in CR and 2 (8.7%) in SD. In addition, in the 43 patients of radiologic PD, serologic treatment responses on the basis of serum PIVKA-II level were 30 (69.8%) in PD and 13 (30.2%) in SD.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p-value = 0.004) and the consistency was the result of ‘moderate consistent’. The changes of post-TACE serum AFP average values according to the categories of radiologic treatment response were a reduction of 35.7% in radiologic CR (p-value =0.15), 23.2% in radiologic PR (p-value =0.23), 21.8% in radiologic SD (p-value =0.19) and an increase of 40.4% in radiologic PD (p-value =0.34). On the other hand, the changes of post-TACE serum PIVKA-II average values according to the categories of radiologic treatment response were a reduction of 88.4% in radiologic CR (p-value =0.03), 70.7% in radiologic PR (p-value =0.04), 23.8% in radiologic SD (p-value =0.10) and an increase of 53.1% in radiologic PD (p-value =0.01).

      Conclusion
      Radiologic treatment responses after TACE in HCC patients tend to be similar to serologic treatment response of PIVKA-II. Meanwhile, it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erum AFP figures.
      번역하기

      Purpos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radiologic treatment response and serological treatment response on the levels of α-fetoprotein (AFP) and protein induced by vitamin K absence of antagonist–II (PIVKA–II) of hepatocellular carcinoma (HC...

      Purpos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radiologic treatment response and serological treatment response on the levels of α-fetoprotein (AFP) and protein induced by vitamin K absence of antagonist–II (PIVKA–II) of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following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Materials and Methods
      Our study included 131 patients who diagnosed with HCC and performed TACE as primary treatment. The post-TACE radiologic response of HCC was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modified Response Evaluation Criteria In Solid Tumors (mRECIST), and serologic treatment response according to the serum AFP and PIVKA-II levels was also analyzed in complete response (CR), partial response (PR), stable disease (SD), and progressive disease (PD). The relationship and concordance of the categorical variables were analyzed. The average values of serum AFP and PIVKA-II levels before and after TACE were obtained according to the category of radiologic treatment respons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was analyzed respectively.

      Results
      Radiologic treatment responses were CR in 43 (32.8%), PR in 23 (17.6%), SD in 22 (16.8%) and PD in 43 (32.8%), in the total 131 patients. Serologic treatment responses on the basis of serum AFP level were CR in 4 (9.3%), PR in 30 (69.8%) and SD in 9 (20.1%), in the 43 patients of radiologic CR. In addition, in the 23 patients of radiologic PR, serologic treatment responses on the basis of serum AFP level were 1 (4.3%) in PR, 16 (69.6%) in CR, 2 (8.7%) in SD and 4 (17.4%) in PD. It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p-value = 0.495) and the consistency was the result of ‘nearly inconsistent’. On the other hand, serologic treatment responses on the basis of serum PIVKA-II level were CR in 30 (69.8%) and PR in 13 (30.2%), in the 43 patients of radiologic CR. In the 23 patients of radiologic PR, serologic treatment responses on the basis of serum PIVKA-II level were 18 (78.3%) in PR, 3 (13.0%) in CR and 2 (8.7%) in SD. In addition, in the 43 patients of radiologic PD, serologic treatment responses on the basis of serum PIVKA-II level were 30 (69.8%) in PD and 13 (30.2%) in SD.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p-value = 0.004) and the consistency was the result of ‘moderate consistent’. The changes of post-TACE serum AFP average values according to the categories of radiologic treatment response were a reduction of 35.7% in radiologic CR (p-value =0.15), 23.2% in radiologic PR (p-value =0.23), 21.8% in radiologic SD (p-value =0.19) and an increase of 40.4% in radiologic PD (p-value =0.34). On the other hand, the changes of post-TACE serum PIVKA-II average values according to the categories of radiologic treatment response were a reduction of 88.4% in radiologic CR (p-value =0.03), 70.7% in radiologic PR (p-value =0.04), 23.8% in radiologic SD (p-value =0.10) and an increase of 53.1% in radiologic PD (p-value =0.01).

      Conclusion
      Radiologic treatment responses after TACE in HCC patients tend to be similar to serologic treatment response of PIVKA-II. Meanwhile, it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erum AFP figur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표 목차 (List of Tables)
      • 그림 목차 (List of Figures)
      • 국문 초록 ............................................................................... i
      • 목차
      • 표 목차 (List of Tables)
      • 그림 목차 (List of Figures)
      • 국문 초록 ............................................................................... i
      • 영문 초록 .............................................................................. iv
      • 본문
      • I. 서 론 .................................................................................. 1
      • II. 연구재료(대상) 및 방법 ........................................................ 3
      • III. 연구결과 ........................................................................... 7
      • IV. 고 찰 ............................................................................... 9
      • I. 결 론 ............................................................................... 12
      • 참고문헌 ............................................................................. 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