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의 원활한 경영승계를 지원하기 위하여 회사분할을 활용하는 방안은 현 경영자가 하나의 기업 내에 2개 이상의 영업부문을 경영하고 있고 후계자가 복수인 경우에 적절한 경영 승...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949556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29-157(29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중소기업의 원활한 경영승계를 지원하기 위하여 회사분할을 활용하는 방안은 현 경영자가 하나의 기업 내에 2개 이상의 영업부문을 경영하고 있고 후계자가 복수인 경우에 적절한 경영 승...
중소기업의 원활한 경영승계를 지원하기 위하여 회사분할을 활용하는 방안은 현 경영자가 하나의 기업 내에 2개 이상의 영업부문을 경영하고 있고 후계자가 복수인 경우에 적절한 경영 승계의 방법이다.
현 경영자는 회사분할과 회사전환주식을 결합하여 주주 가운데 분할회사를 경영할 후계자를 제외한 주주를 분할회사로부터 배제할 수 있다. 즉, 분할회사가 회사전환주식을 발행한 다음 회사전환주식과 교환으로 분할회사의 후계자에게는 보통주식을 교부하고, 그 이외의 주주에게는 분할대가로 받은 승계회사나 신설회사의 주식을 교부함으로써 분할회사와의 주주관계를 소멸시킬 수 있다. 분할회사의 기타 주주는 분할회사의 주주에서 승계회사나 신설회사의 주주로 법적 지위가 변경되어 분할회사와의 관계가 단절된다. 이를 통해 분할회사는 승계회사나 신설회사와 주주관계를 갖지 않게 되며, 회사분할에 의해 2개 회사는 완전히 독립된다. 분할회사의 주식을 대부분 보유한 자는 현 경영자이므로, 분할대가로 받은 승계회사 또는 신설회사의 주식도 경영자가 보유하게 된다. 경영자는 이러한 주식을 승계회사나 신설회사를 경영하게 될 다른 후계자에게 상속시킴으로서 경영승계를 완성할 수 있다.
경영승계를 목적으로 회사분할을 추진하는 경우 가장 중요한 문제는 분할하는 사업단위를 정하는 것이다. 분할에 의해 각 영업실적이 명확하게 되고 향후 자립적인 경영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회사분할의 대상이 영업단위로 분할해야 하는지 개별 재산단위로도 분할할 수 있는지 여부가 문제된다. 현실적으로 적격분할의 요건을 충족해야만 세제상의 혜택을 볼 수 있기 때문에 개별 재산만을 분할하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것이지만, 세금을 부담하면서도 그 필요성이 있는 경우 이를 허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자기주식을 분할대상으로 인정하면 신주의 제3자배정에 관한 상법의 규정을 회피하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입법적 보완이 필요하다.
경영승계를 위해 회사전환주식을 발행하는 경우 전환사유는 확정성, 객관성 및 명확성이 보장되어야 할 것이다. 전환사유가 문제되는 경우는 해제조건의 성취에 의해 보통주식으로 전환하는 때인데 남용 가능성이 큰 전환조건을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취급하면서 폐해가 생긴 경우에만 개별적 해석에 의해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사분할을 할 때 채권자보호의 필요성은 높지만 이를 너무 강화하면 기업의 탄력적인 구조 조정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분할당사회사와 채권자의 이해관계를 적절하게 조정하기 위한 채권자보호의 수준과 방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나라는 분할당사회사의 연대책임에 관하여 책임을 부담하는 재산의 한도나 기간에 대하여 제한을 두지 않음으로써 상대적으로 채권자보호가 너무 강하다는 비판이 제기되는데, 이에 대한 입법적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utilization of corporate division in order to support business succession of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is appropriate in case a business owner operates more than two business units under one company and has multiple heirs. By making use ...
The utilization of corporate division in order to support business succession of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is appropriate in case a business owner operates more than two business units under one company and has multiple heirs.
By making use of convertible shares current business owner eliminates shareholder relation with divided company by providing common stocks to heir and stocks of succeeded company or newly established company which were received for compensation as to corporate division to other shareholders. As a result, the legal status of other shareholders of divided company changes from divided company’s shareholder to succeeded company or newly established company’s shareholder. By this scheme the divided company does not have shareholder relation with succeeded company or newly established company, therefore, two companies become completely independent. Since current business owner has majority shares of divided company, the owner will also have majority shares of succeeded company or newly established company which will be provided for the compensation for corporate division. The owner completes business succession by transferring those shares to other heir who will manage succeeded company or newly established company.
The most important thing in proceeding corporate division for business succession is how to decide divided business units. Corporate division must clarify business performance of divided company and enable it to manage self-dependently. In addition, it matters whether the subject of corporate division shall be separated according to business unit or individual property. Since in order to receive corporate tax immunity corporate division must satisfy qualified corporate division requirements, there seems to be no case to divide only individual property. However, it will be necessary to allow it in case a company wants to do it by bearing burden of taxation. If treasury stocks are allowed as the subject of corporate division, it will result in avoiding the regulation as to allocating newly issued stocks to third party. It needs to amend related regulation in response to those problems.
In case a company issues convertible shares for business succession, requirements for conversion should be definitive, objective and clear. Requirements for conversion becomes problematic when convertible stocks change to common stocks owing to the satisfaction of condition for rescission. Except that requirements for conversion are highly likely to abuse, it will be desirable for conversion requirements to be treated as valid in principle. If harmful effect occurs, it will be necessary to respond it by individual interpretation.
Even though the necessity to protect creditors of divided company becomes high in proceeding corporate division, strengthening the protection of creditors brings about difficulty into flexible corporate restructur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aintain relevant level of standards and methods for creditor protection in order to coordinate interests of targets companies and creditors of those companies. Since Korea does not restrict term of liability and limits of property for liability, it is criticized for allowing excessive protection to creditors. This problem needs to take legislative measures to solv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江頭憲治郞, "論點体系 会社法 5 - 社債, 組織再編Ⅰ" 第一法規 2012
2 윤성조, "회사분할의 제문제" 소화 2013
3 노혁준, "회사분할의 제문제" 소화 2013
4 김성호, "회사분할에 대한 EC 회사법 제 6 지침에 관한 연구 - 독일, 프랑스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경영법률학회 10 (10): 2000
5 이영철, "회사분할시 채권자보호의 적정성과 정합성 등에 관한 고찰" 한국비교사법학회 22 (22): 431-474, 2015
6 김동수, "회사분할세제의 변화와 실무상 쟁점" (76) : 2016
7 노혁준, "회사분할관련 최근 판례들의 비판적 검토" 한국상사판례학회 25 (25): 79-125, 2012
8 황남석, "회사분할과 자기주식" 한국세법학회 21 (21): 117-138, 2015
9 이철송, "회사법강의" 박영사 2019
10 임재연, "회사법Ⅰ, Ⅱ" 박영사 2019
1 江頭憲治郞, "論點体系 会社法 5 - 社債, 組織再編Ⅰ" 第一法規 2012
2 윤성조, "회사분할의 제문제" 소화 2013
3 노혁준, "회사분할의 제문제" 소화 2013
4 김성호, "회사분할에 대한 EC 회사법 제 6 지침에 관한 연구 - 독일, 프랑스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경영법률학회 10 (10): 2000
5 이영철, "회사분할시 채권자보호의 적정성과 정합성 등에 관한 고찰" 한국비교사법학회 22 (22): 431-474, 2015
6 김동수, "회사분할세제의 변화와 실무상 쟁점" (76) : 2016
7 노혁준, "회사분할관련 최근 판례들의 비판적 검토" 한국상사판례학회 25 (25): 79-125, 2012
8 황남석, "회사분할과 자기주식" 한국세법학회 21 (21): 117-138, 2015
9 이철송, "회사법강의" 박영사 2019
10 임재연, "회사법Ⅰ, Ⅱ" 박영사 2019
11 최준선, "회사법" 삼영사 2019
12 김건식, "회사법" 박영사 2018
13 노혁준, "회사 분할시의 채권자 보호" 서울대학교 금융법센터 (38) : 2009
14 정준혁, "합병 및 분할 관련 채권자보호제도 개정 제안" 한국법학원 174 : 179-228, 2019
15 김순석, "중소기업의 경영권 승계 원활화를 위한 회사법제의 개선방안 - 종류주식의 활용을 중심으로 -" 한국비교사법학회 20 (20): 229-272, 2013
16 황남석, "중소기업승계에 관한 세법상 문제와 개선방안" 한국기업법학회 29 (29): 35-76, 2015
17 중소기업중앙회, "중소기업 가업승계 실태조사 보고서" 2018
18 金聖虎, "주식회사의 분할에 관한 연구 : 비교법적 고찰을 중심으로"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9
19 김순석, "주식회사법대계Ⅰ" 한국상사법학회 2019
20 노혁준, "주식회사법대계 Ⅲ" 한국상사법학회 2019
21 김순석, "주식 및 자본금 제도" 전남대학교출판부 2015
22 권기범, "제7판 현대회사법론" 삼영사 2017
23 권기범, "제4판 기업구조조정법" 삼영사 2011
24 김순석, "신탁을 활용한 중소기업의 경영권 승계 방안에 관한 연구 ― 유언대용신탁 및 수익자연속신탁의 활용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36 (36): 371-406, 2016
25 강현구, "상장회사의 분할의 대상에 관한 연구 -개별 ʻ자산ʼ만의 회사분할이 가능한지 여부를 중심으로-" 한국증권법학회 11 (11): 341-364, 2010
26 정찬형, "상법강의(상)" 박영사 2019
27 송옥렬, "상법강의" 홍문사 2018
28 김순석, "사업신탁을 활용한 중소기업의 경영권 승계 방안" 법학연구소 38 (38): 101-138, 2018
29 박태현, "분할의 유형에 따른 법적 쟁점" (38) : 2009
30 윤용준, "분할시 채권자보호의 실무상 쟁점" 서울대학교 금융법센터 (49) : 2011
31 김동수, "법인세법상 합병 및 분할 세제의 최근 쟁점" (73) : 2015
32 황남석, "미국 회사법상의 회사분할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증권법학회 12 (12): 261-298, 2011
33 이강, "기업의 가업상속에 대한 세법상 새로운 접근" 한국기업법학회 31 (31): 531-552, 2017
34 노혁준, "기업구조조정과 자기주식의 쟁점 및 입법적 개선방안" 법학연구원 28 (28): 111-142, 2018
35 金子登志雄, "親子兄弟會社の組織再編の實務" 中央經濟社 2014
36 相澤哲, "組織再編行爲(上)" (1752) : 2005
37 江頭憲治郞, "株式會社法" 有斐閣 2017
38 江頭憲治郞, "會社法大系4 -組織再編ㆍ會社訴訟ㆍ會社非訟ㆍ解散ㆍ淸算" 靑林書院 2008
39 參本 滋, "會社法コンメンタ-ル17 - 組織變更, 合倂, 會社分割, 株式交換等(2)" 商事法務 2010
40 新谷勝, "新しい事業承繼と企業再生の法務 - 事業承繼の圓滑化ㆍ事業再生ADR -" (株)稅務經理協會 2010
41 木俣貴光, "持株會社ㆍグループ組織再編ㆍM&Aを活用した事業承繼スキー厶- 後繼者ㆍ稅務ㆍ株式評價から考える" 中央經濟社 2016
42 大江橋法律事務所, "實務解說平成26年會社法改正" 商事法務 2014
43 大杉謙一, "優先株の實務的問題(Ⅱ)" (1443) : 1996
44 鈴木祥克, "会社を分割して2人の後継者にそれぞれ承継させる" 税務経理協会 69 (69):
45 丸山秀平, "事業承繼特例法と事業承繼の法務ㆍ稅務" 三協法規出判 2009
46 今川嘉文, "事業承繼法の理論と實際" 信山社 2009
47 髙田 剛, "事業承継における組織再編の活用" 2017
48 太田 洋, "ファイナンス法大全(上)" 商事法務 2003
49 吉川 純, "エクイティㆍファイナンスの新展開⑻-多樣化をめぐる法的論点(その2)" (1555) : 2000
50 Reinier Kraakman, "The Anatomy of Corporate Law" 2009
51 Dustin G. Willey, "Tax Free Division - Family Business Succession Planning" 2016
52 高井章光, "M&Aを利用する場合の法的問題" (804) : 2016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7 | 0.87 | 0.8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2 | 0.89 | 0.843 | 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