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유형과 메타포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Types and Metaphors of Korean Movies in Pandemic Subje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388311

      • 저자
      • 발행사항

        청주 :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청주대학교 대학원 , 영화언론콘텐츠학과 , 2022. 8

      • 발행연도

        2022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688 판사항(5)

      • 발행국(도시)

        충청북도

      • 형태사항

        99 p. : 삽화, 도표; 26 cm.

      • 일반주기명

        청주대학교 학위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 Study on the Types and Metaphors of Korean Movies in Pandemic Subjects
        지도교수:어일선
        참고문헌 수록: p. 93-97

      • UCI식별코드

        I804:43007-200000623590

      • 소장기관
        • 청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류의 발전 역사는 또한 팬데믹과 투쟁한 역사이다. 14세기에 유럽에서 발생한 흑사병과 20세기에 스페인에서 발생한 스페인독감 등은 모두 인류 문명 발전에 심각한 타격을 주었다. 21세에 인류는 사스(SARS), 신종 인플루엔자 A(H1N1),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등을 겪었으며, 현재 인류도 여전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2019-nCoV)와 싸우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 환경에서 팬데믹과 관련한 영화 연구가 학계의 관심을 받고 있으며,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가 현실 사회에 빈번하게 나타나 팬데믹 위기와 대응하여 30여 년의 발전을 거쳐 마침내 한국영화의 한 유형 스타일을 형성하게 되었다.
      팬데믹 소재의 한국영화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깊은 민족적 흔적과 문화 기호가 담겨 있다는 것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팬데믹 소재의 한국영화는 독특한 영화 언어를 통해 관객의 영상 체험을 만족시키고, 또한 예술과 현실을 새롭게 고찰한다. 본 연구는 유형학, 사회학, 심리학의 종합적인 응용을 통해 팬데믹 소재의 한국영화 유형과 메타포에 대해 연구하고, 특징적인 유형 구조와 심층적인 메타포를 탐색하여 팬데믹 소재 영화의 이론적 연구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총 6장으로 나뉜다. 제1장은 서론 부분으로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연구 범위와 방법 등에 대해 설명하였다. 선행연구 부분에서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유형과 메타포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정리한 후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연구 현황과 본 연구의 내용 구상을 소개하였다.
      제2장은 기존 관련 자료와 결합하여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에 대한 개념 정의를 진행하는 동시에 팬데믹 소재의 한국영화가 등장한 원인을 분석하였다. 각 시기별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발전 특징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석 및 정리하고, 마지막에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유형 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팬데믹 병원(病源)에 따라 팬데믹 소재의 한국영화를 좀비 팬데믹 소재 영화, 바이러스 팬데믹 소재 영화, 그리고 과학기술 팬데믹 소재 영화로 나누고, 각 유형의 대표적인 특징을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제4장은 서사학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메타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서사 이미지, 서사 공간, 서사 주제 등 3가지 측면에서 출발하며, 각각의 측면이 대표하는 심층적인 메타포를 살펴보고, 현실 측면의 의미를 지적하였다.
      제5장은 영상학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영상 언어를 분석하였다. 주로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서사 미학, 영화의 시각 및 청각과 관련한 요소를 구체적으로 연구하고 정리하였다.
      제6장은 본 연구의 요약과 의의이며, 또한 본 연구의 한계와 미래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인류의 발전 역사는 또한 팬데믹과 투쟁한 역사이다. 14세기에 유럽에서 발생한 흑사병과 20세기에 스페인에서 발생한 스페인독감 등은 모두 인류 문명 발전에 심각한 타격을 주었다. 21세에 ...

      인류의 발전 역사는 또한 팬데믹과 투쟁한 역사이다. 14세기에 유럽에서 발생한 흑사병과 20세기에 스페인에서 발생한 스페인독감 등은 모두 인류 문명 발전에 심각한 타격을 주었다. 21세에 인류는 사스(SARS), 신종 인플루엔자 A(H1N1),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등을 겪었으며, 현재 인류도 여전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2019-nCoV)와 싸우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 환경에서 팬데믹과 관련한 영화 연구가 학계의 관심을 받고 있으며,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가 현실 사회에 빈번하게 나타나 팬데믹 위기와 대응하여 30여 년의 발전을 거쳐 마침내 한국영화의 한 유형 스타일을 형성하게 되었다.
      팬데믹 소재의 한국영화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깊은 민족적 흔적과 문화 기호가 담겨 있다는 것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팬데믹 소재의 한국영화는 독특한 영화 언어를 통해 관객의 영상 체험을 만족시키고, 또한 예술과 현실을 새롭게 고찰한다. 본 연구는 유형학, 사회학, 심리학의 종합적인 응용을 통해 팬데믹 소재의 한국영화 유형과 메타포에 대해 연구하고, 특징적인 유형 구조와 심층적인 메타포를 탐색하여 팬데믹 소재 영화의 이론적 연구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총 6장으로 나뉜다. 제1장은 서론 부분으로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연구 범위와 방법 등에 대해 설명하였다. 선행연구 부분에서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유형과 메타포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정리한 후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연구 현황과 본 연구의 내용 구상을 소개하였다.
      제2장은 기존 관련 자료와 결합하여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에 대한 개념 정의를 진행하는 동시에 팬데믹 소재의 한국영화가 등장한 원인을 분석하였다. 각 시기별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발전 특징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석 및 정리하고, 마지막에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유형 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팬데믹 병원(病源)에 따라 팬데믹 소재의 한국영화를 좀비 팬데믹 소재 영화, 바이러스 팬데믹 소재 영화, 그리고 과학기술 팬데믹 소재 영화로 나누고, 각 유형의 대표적인 특징을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제4장은 서사학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메타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서사 이미지, 서사 공간, 서사 주제 등 3가지 측면에서 출발하며, 각각의 측면이 대표하는 심층적인 메타포를 살펴보고, 현실 측면의 의미를 지적하였다.
      제5장은 영상학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영상 언어를 분석하였다. 주로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서사 미학, 영화의 시각 및 청각과 관련한 요소를 구체적으로 연구하고 정리하였다.
      제6장은 본 연구의 요약과 의의이며, 또한 본 연구의 한계와 미래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history of human development is also the history of fighting pandemics. The Black Death in Europe in the 14th century and the Spanish Flu in Spain in the 20th century both severely affected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At the age of 21, humans suffered from SARS, H1N1, and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and humans are still fighting the novel coronavirus (2019-nCoV). In the COVID-19 pandemic environment, film research related to pandemics is attracting academic attention, and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s frequently appear in real society, and after more than 30 years of development in response to the pandemic crisis, they finally formed a type of Korean film.  
      If you look at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 as a whole, it is easy to find that they contain deep ethnic traces and cultural symbols.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 satisfy the audience's video experience through unique film language, and also review art and reality anew. This study studied the types and metaphors of Korean films in Pandemic material through the comprehensive application of typology, sociology, and psychology, and attempted to enrich the theoretical research of Pandemic material films by exploring characteristic tangible structures and in-depth metaphors.  
      This study is divided into six chapters. Chapter 1 is an introduction and explain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th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etc. After systematically analyzing and organizing the types and metaphors of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s in the previous research section, the research status of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s and the content concept of this study were introduced.
      Chapter 2 combines with existing related data to define the concept of Korean films in Pandemic material, while analyzing the cause of the emergence of Korean films in Pandemic material. It systematically analyzed and organiz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 and finally, the tangible elements of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 were analyzed in detail.
      Chapter 3 analyzed the types of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s.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andemic Hospital,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 were divided into zombie Pandemic, virus Pandemic, and science and technology Pandemic, and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analyzed and studied.
      Chapter 4 analyzed the metaphors of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s, starting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This study starts from three aspects: narrative image, narrative space, and narrative theme, and examines the in-depth metaphors represented by each aspect, and points out the meaning of the reality aspect.
      Chapter 5 analyzed the video language of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 starting from the perspective of imaging. Mainly, elements related to the narrative aesthetics of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s and the visual and hearing of films were specifically studied and organized.
      Chapter 6 is a summary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also suggeste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번역하기

      The history of human development is also the history of fighting pandemics. The Black Death in Europe in the 14th century and the Spanish Flu in Spain in the 20th century both severely affected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At the age of 21, ...

      The history of human development is also the history of fighting pandemics. The Black Death in Europe in the 14th century and the Spanish Flu in Spain in the 20th century both severely affected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At the age of 21, humans suffered from SARS, H1N1, and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and humans are still fighting the novel coronavirus (2019-nCoV). In the COVID-19 pandemic environment, film research related to pandemics is attracting academic attention, and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s frequently appear in real society, and after more than 30 years of development in response to the pandemic crisis, they finally formed a type of Korean film.  
      If you look at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 as a whole, it is easy to find that they contain deep ethnic traces and cultural symbols.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 satisfy the audience's video experience through unique film language, and also review art and reality anew. This study studied the types and metaphors of Korean films in Pandemic material through the comprehensive application of typology, sociology, and psychology, and attempted to enrich the theoretical research of Pandemic material films by exploring characteristic tangible structures and in-depth metaphors.  
      This study is divided into six chapters. Chapter 1 is an introduction and explain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th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etc. After systematically analyzing and organizing the types and metaphors of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s in the previous research section, the research status of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s and the content concept of this study were introduced.
      Chapter 2 combines with existing related data to define the concept of Korean films in Pandemic material, while analyzing the cause of the emergence of Korean films in Pandemic material. It systematically analyzed and organiz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 and finally, the tangible elements of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 were analyzed in detail.
      Chapter 3 analyzed the types of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s.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andemic Hospital,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 were divided into zombie Pandemic, virus Pandemic, and science and technology Pandemic, and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analyzed and studied.
      Chapter 4 analyzed the metaphors of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s, starting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This study starts from three aspects: narrative image, narrative space, and narrative theme, and examines the in-depth metaphors represented by each aspect, and points out the meaning of the reality aspect.
      Chapter 5 analyzed the video language of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 starting from the perspective of imaging. Mainly, elements related to the narrative aesthetics of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s and the visual and hearing of films were specifically studied and organized.
      Chapter 6 is a summary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also suggeste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 목적과 필요성 1
      • 1. 연구의 목적 1
      • 2. 연구의 필요성 2
      • 제 2 절 선행 연구 4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 목적과 필요성 1
      • 1. 연구의 목적 1
      • 2. 연구의 필요성 2
      • 제 2 절 선행 연구 4
      • 1.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유형 연구 4
      • 2.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메타포 연구 6
      • 제 3 절 연구 범위와 방법 7
      • 1. 연구 범위 7
      • 2. 연구 방법 9
      • 제 2 장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이론적 논의 11
      • 제 1 절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정의와 출현 원인 11
      • 1. 팬데믹에 대한 정의 11
      • 2.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정의 14
      • 3.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출현 원인 16
      • 제 2 절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역사 맥락 18
      • 1. 초창기 18
      • 2. 발전기 19
      • 3. 성숙기 21
      • 제 3 절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유형화 22
      • 1. 스토리의 유형화 23
      • 2. 인물의 유형화 23
      • 3. 장면의 유형화 25
      • 제 3 장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유형 분석 26
      • 제 1 절 좀비 소재 한국영화 26
      • 1. 폭력의 시각화 27
      • 2. 스토리의 주관적 상상과 허구성 31
      • 3. 사회 문제의 폭로와 비판 32
      • 제 2 절 바이러스 소재 한국영화 34
      • 1. 영화와 현실의 융합 34
      • 2. 사실과 진실 36
      • 3. 인간성의 재인식 38
      • 제 3 절 과학기술 소재 한국영화 40
      • 1. 인류 종말의 재현 40
      • 2. 현실과 상상의 융합 44
      • 3. 환경 변화의 위기의식 45
      • 제 4 장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메타포 47
      • 제 1 절 서사 이미지와 메타포 48
      • 1. 서사 이미지 설정 48
      • 2. 페이션트 제로의 메타포 51
      • 3. 좀비의 메타포 53
      • 제 2 절 서사 공간의 메타포 54
      • 1. 서사 공간의 구분 55
      • 2. 격리 공간의 메타포 56
      • 3. 공공 공간의 메타포 58
      • 제 3 절 서사 주제의 메타포 59
      • 1. 서자 주제 이론 59
      • 2. 재난의 메타포 61
      • 3. 구원의 메타포 63
      • 제 5 장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영상미학 65
      • 제 1 절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시각 요소 65
      • 1. 몽타주: 한국식 사유가 담긴 도구 65
      • 2. 색채: 인류 종말의 부각 67
      • 3. 구도: 영상 미학의 시각적 특징 69
      • 제 2 절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청각 요소 73
      • 1. 음악: 긴장과 공포 74
      • 2. 음향: 사실적 체험 76
      • 3. 음성: 창의적 언어 전달 77
      • 제 3 절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서사 미학 79
      • 1. 선형 구조의 연속과 발전 79
      • 2. 서사 시간의 연장과 압축 80
      • 3. 서사 시각의 다양성 82
      • 제 6 장 결론 85
      • 제 1 절 연구 요약 및 의미 85
      • 1. 연구의 요약 85
      • 2. 연구의 의의 88
      • 제 2 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90
      • 1. 연구의 한계 90
      • 2. 연구의 제언 91
      • 참고 문헌 93
      • ABSTRACT AND KEY WORDS 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