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육상경기에서 선수의 수행만족 개념 정립 =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Athlete Performance Satisfaction in Track and Field Competi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057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육상경기에서 선수의 수행만족 개념 정립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방법: 2024년 대한육상연맹에 등록된 육상선수 고등학생 3명, 대학생 33명, 실업팀 9명 총 남⋅여 45명을 대상으로 개방형설문지를 활용해 자 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해 개념을 정립하였다. 결과: 첫째, 육상선수는 경기에서 수행만족을 위한 노력으로 성실한 훈련, 심리기술 강화, 기술 안정화 도모, 사고조절을 경험한다. 성실한 훈련은 훈련량 증가, 훈련 태도 변화, 신체 컨디션 관리, 심리기술 강화는 심리기법 적용, 집중력 강화, 정서조절, 긴장 완화, 기술 안정화 도모는 기술 보완, 문제점 수정, 사고조절은 긍정적 사고가 자리한다. 둘째, 육상선수는 경기에 서 수행만족으로 경기목표 달성, 경기운영 탁월성, 기술 고도화, 펀더멘틀 극대화, 컨디션 최적화를 경험한다. 경 기목표 달성은 기록 향상, 목표 성취, 성과달성, 경기운영 탁월성은 실천지능 발현, 경기 흐름 주도, 경기 분위기 조성, 기술 고도화는 기술 안정화, 기술 자동화, 펀더멘틀 극대화는 긴장 조절, 자신감 고조, 집중력 향상, 도전정 신 함양. 컨디션 최적화는 컨디션 최적화가 자리한다. 셋째, 육상선수는 경기에서 수행만족의 결과로 사회적 성과 달성, 정시지지, 경기운영 성취, 성과 불만족을 경험한다. 사회적 성과달성은 목표 기록 달성, 메달획득, 정서지지 는 행복감 형성, 타인의 인정, 경기운영 성취는 기술 안정화, 수월한 경기운영, 최적의 컨디션, 성과 불만족은 결 과 아쉬움, 평범한 결과가 자리한다. 결론: 육상경기에서 선수의 수행만족은 노력, 경험, 결과를 토대로 내용이 구 성되고, 이는 내적자원 강화에 기여하며 선수의 경기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본 연구가 육상선수의 경기력 향상 에 도움이 되길 기대해본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육상경기에서 선수의 수행만족 개념 정립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방법: 2024년 대한육상연맹에 등록된 육상선수 고등학생 3명, 대학생 33명, 실업팀 9명 총 남⋅여 45명을 대...

      목적: 본 연구는 육상경기에서 선수의 수행만족 개념 정립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방법: 2024년 대한육상연맹에 등록된 육상선수 고등학생 3명, 대학생 33명, 실업팀 9명 총 남⋅여 45명을 대상으로 개방형설문지를 활용해 자 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해 개념을 정립하였다. 결과: 첫째, 육상선수는 경기에서 수행만족을 위한 노력으로 성실한 훈련, 심리기술 강화, 기술 안정화 도모, 사고조절을 경험한다. 성실한 훈련은 훈련량 증가, 훈련 태도 변화, 신체 컨디션 관리, 심리기술 강화는 심리기법 적용, 집중력 강화, 정서조절, 긴장 완화, 기술 안정화 도모는 기술 보완, 문제점 수정, 사고조절은 긍정적 사고가 자리한다. 둘째, 육상선수는 경기에 서 수행만족으로 경기목표 달성, 경기운영 탁월성, 기술 고도화, 펀더멘틀 극대화, 컨디션 최적화를 경험한다. 경 기목표 달성은 기록 향상, 목표 성취, 성과달성, 경기운영 탁월성은 실천지능 발현, 경기 흐름 주도, 경기 분위기 조성, 기술 고도화는 기술 안정화, 기술 자동화, 펀더멘틀 극대화는 긴장 조절, 자신감 고조, 집중력 향상, 도전정 신 함양. 컨디션 최적화는 컨디션 최적화가 자리한다. 셋째, 육상선수는 경기에서 수행만족의 결과로 사회적 성과 달성, 정시지지, 경기운영 성취, 성과 불만족을 경험한다. 사회적 성과달성은 목표 기록 달성, 메달획득, 정서지지 는 행복감 형성, 타인의 인정, 경기운영 성취는 기술 안정화, 수월한 경기운영, 최적의 컨디션, 성과 불만족은 결 과 아쉬움, 평범한 결과가 자리한다. 결론: 육상경기에서 선수의 수행만족은 노력, 경험, 결과를 토대로 내용이 구 성되고, 이는 내적자원 강화에 기여하며 선수의 경기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본 연구가 육상선수의 경기력 향상 에 도움이 되길 기대해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onceptualization of performance satisfaction in track and field athlet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open-ended questionnaire targeting 45 male and female track and field athletes registered with the Korea Association of Athletics Federations in 2024 (3 high school students, 33 college students, and 9 professional teams).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through content analysis. Results: First, track and field athletes experience sincere training, strengthening psychological skills, stabilizing skills, and controlling thoughts as efforts to achieve performance satisfaction in games. Sincere training involves increasing training volume, changing training attitudes, managing physical condition, strengthening psychological skills involves applying psychological techniques, enhancing concentration, controlling emotions, and relieving tension, stabilizing skills involves supplementing skills, correcting problems, and controlling thoughts involves positive thinking. Second, track and field athletes experience achieving game goals, excellence in game management, technological advancement, maximizing fundamentals, and optimizing condition as performance satisfaction in games. Achieving game goals is improving records, achieving goals, achieving results, excellence in game management is expressing practical intelligence, leading the game flow, creating game atmosphere, advancing technology is stabilizing technology, automating technology, maximizing fundamentals is controlling tension, increasing confidence, improving concentration, and fostering a challenging spirit. Condition optimization is where condition optimization takes place. Third, track and field athletes experience social achievement, punctual support, game management achievement, and performance dissatisfaction as a result of performance satisfaction in games. Social achievement is achieving target records, winning medals, emotional support is forming a sense of happiness, recognition from others, game management achievement is stabilizing technology, easy game management, and optimal condition, and performance dissatisfaction is regretful of results and mediocre results. Conclusion: Performance satisfaction in track and field athletes’ games is composed of content based on effort, experience, and results, which contributes to strengthening internal resources and helps improve athletes’ performance.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improve the performance of track and field athletes.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onceptualization of performance satisfaction in track and field athlet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open-ended questionnaire targeting 45 male and female track and field athletes registe...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onceptualization of performance satisfaction in track and field athlet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open-ended questionnaire targeting 45 male and female track and field athletes registered with the Korea Association of Athletics Federations in 2024 (3 high school students, 33 college students, and 9 professional teams).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through content analysis. Results: First, track and field athletes experience sincere training, strengthening psychological skills, stabilizing skills, and controlling thoughts as efforts to achieve performance satisfaction in games. Sincere training involves increasing training volume, changing training attitudes, managing physical condition, strengthening psychological skills involves applying psychological techniques, enhancing concentration, controlling emotions, and relieving tension, stabilizing skills involves supplementing skills, correcting problems, and controlling thoughts involves positive thinking. Second, track and field athletes experience achieving game goals, excellence in game management, technological advancement, maximizing fundamentals, and optimizing condition as performance satisfaction in games. Achieving game goals is improving records, achieving goals, achieving results, excellence in game management is expressing practical intelligence, leading the game flow, creating game atmosphere, advancing technology is stabilizing technology, automating technology, maximizing fundamentals is controlling tension, increasing confidence, improving concentration, and fostering a challenging spirit. Condition optimization is where condition optimization takes place. Third, track and field athletes experience social achievement, punctual support, game management achievement, and performance dissatisfaction as a result of performance satisfaction in games. Social achievement is achieving target records, winning medals, emotional support is forming a sense of happiness, recognition from others, game management achievement is stabilizing technology, easy game management, and optimal condition, and performance dissatisfaction is regretful of results and mediocre results. Conclusion: Performance satisfaction in track and field athletes’ games is composed of content based on effort, experience, and results, which contributes to strengthening internal resources and helps improve athletes’ performance.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improve the performance of track and field athlet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