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유도선수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입상경험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 고, 입상경험별 진로상담 요구를 확인하여 고등학교 유도선수를 대상으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05723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9-46(1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유도선수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입상경험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 고, 입상경험별 진로상담 요구를 확인하여 고등학교 유도선수를 대상으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유도선수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입상경험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 고, 입상경험별 진로상담 요구를 확인하여 고등학교 유도선수를 대상으로 하는 진로상담 시에 활용 가능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방법: 대한유도회 고등부(19세 이하부)에 등록되어 있는 유도선수 227명을 대상으로 진 로결정자기효능감 단축형 척도(CDMSES-SF)와 진로상담 요구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SPSS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교차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Scheffe 사 후분석, Cronbach’α, 탐색적 요인분석,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고등학교 유도선수는 입상경험이 많 을수록 유의한 수준으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목표선택, 직업정보, 미래계획 요인이 더욱 높았다. 고등학교 유도 선수들의 대다수는 선수를 대상으로 하는 진로상담 및 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있었다. 단체(팀)상담보다는 개인상 담의 형태로 1∼3회의 단기상담을 선호하였고, 진로상담을 받는다고 가정할 때 ‘미비한 상담효과’, ‘상담과정의 어려움’, ‘지도자의 인식’과 같은 문제를 주로 염려하고 있었다. 입상경험이 있는 선수들은 진로문제를 더욱 자주 경험하고 진로에 대한 걱정을 더 많이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진로상담 시 함께 다루고 싶은 주제로 경기력 과 관련한 ‘불안 및 긴장’, ‘슬럼프’, ‘자신감’ 문제를 주요 분야로 선정하였다. 반면 입상경험이 없는 선수들은 진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당 15분 미만의 시간만을 할애하는 빈도와 혼자서 걱정하는 방법을 택한 빈도가 높 았다. 또한 입상경험이 있는 선수들보다 진로상담을 ‘꼭 받아보고 싶다’고 답한 비중이 높았으며, 더 많은 상담 비용을 지불할 의향이 있었다. 결론: 고등학교 유도선수의 입상경험에 따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었고 진로상담 요구 또한 다양하게 나타나, 입상경험별로 진로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접근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i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DMSE) according to winning experience among high school judo athletes, and to identify career counseling needs based on these experiences. This stu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i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DMSE) according to winning experience among high school judo athletes, and to identify career counseling needs based on these experienc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career counseling targeted at high school judo athlete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27 high school judo athletes registered with the Korea Judo Association, utiliz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Short Form (CDMSES-SF) and a career counseling needs assessment.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SPSS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one-way ANOVA, Scheffe post-hoc tes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and content validity testing. Results: High school judo athletes with more winning experience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goal selection, career information, and future planning factors related to CDMSE. Most athletes had prior experience with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targeted at athletes. They preferred individual over group counseling, favoring short-term counseling of one to three sessions. When considering counseling, athletes expressed concerns about potential ‘limited effectiveness’, ‘difficulties in the counseling process’, and ‘coaches perceptions’ of counseling. Athletes with winning experience tended to report more frequent career-related concerns, with a greater awareness of these worries. In terms of desired counseling topics, they prioritized issues such as ‘anxiety and tension’, ‘slumps’ and ‘confidence’ related to performance. Conversely, athletes without winning experience allocated less than 15 minutes per week to address career issues, often relying on solitary reflection. They were also more inclined to express a strong interest in receiving career counseling and showed a higher willingness to invest in it. Conclusion: Differences in CDMSE and career counseling needs were observed based on winning experience among high school judo athletes, highlighting the need for varied approaches in career problem-solving according to athletes’ winning backgrounds.
대학운동선수의 스포츠인권 침해 경험 측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