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임기만료로 인한 국회 폐회의 경우에 발생하는 특수문제를 중심으로 - = Problems and Improvement Alternatives of Presidential Veto Power Institution - Focusing on Special issues that arise when the National Assembly closes due to expiration of the ter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362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난 19대 국회의 임기만료에 따른 국회 폐회 2일 전인 2016. 5. 27. 「상시청문회법률안」에 대한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가 있었다. 이에 대해 사실상 국회 재의결의 불가능한 시기에 법률안거...

      지난 19대 국회의 임기만료에 따른 국회 폐회 2일 전인 2016. 5. 27. 「상시청문회법률안」에 대한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가 있었다. 이에 대해 사실상 국회 재의결의 불가능한 시기에 법률안거부권이 행사된 것이므로 20대 국회에서 재의결을 할 수 있다는 견해도 제기되었지만, 국회는 명확한 입장정리나 법리적 결론 도출 없이 유야무야 넘어가 버렸다. 그런데 향후 유사한 사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 문제는 현재 진행 중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인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의 행사와 비교할 때 임기만료로 인한 국회 폐회에 근접한 시기에 행사되는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은 국회의 재의결이 가능한지 여부, 법률안이 자동 폐기되는지 또는 자동 확정되는지 여부 등이 문제되는 특수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법률안거부권에 대하여 살펴보고, 임기만료의 특수문제에 관해 분석한 후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은 의미 있는 연구일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고에서는 현행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제도 운용에서 대통령과 국회 간의 견제와 균형이 잘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살펴보았고, 특히 임기만료로 인한 국회 폐회의 경우에 발생하는 특수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입법적 보완을 주장하였다.
      먼저, 우리 헌법상 인정되고 있는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은 제헌국회 이래 66회 행사되었고 최근까지도 행사된 바 있는 대통령의 실질적 권한인 바, 법률안거부권의 제도적 의미와 목적, 그 법적 성격을 알아보았다(Ⅱ), 그리고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 행사가 활발하여 비교법적으로 상당한 의의가 있는 미국 헌법상 법률안거부권을 소개하고 우리의 법률안거부권제도와 미국의 법률안거부권제도를 비교․분석하였다(Ⅲ).
      다음으로, 임기만료로 인한 국회 폐회가 임박하여 법률안이 정부에 이송된 경우 발생하는,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 행사 및 법률안의 운명에 관한 몇 가지 특수문제를 제기한 후 그 해결책을 강구해 보았고, 지난 19대 국회 폐회 직전 발생한 「상시청문회법률안」에 대한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 행사와 관련된 문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Ⅳ).
      마지막으로, 법률안거부권에 대한 현재의 통제수단이 실효적이지 못하므로 헌법 학계에서 논의되는 일반적 개선방안의 타당성을 검토해 보고, 새로운 실효적 수단 및 임기만료의 특수 상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도 모색해 보았다(Ⅴ). 구체적으로는 법률안 재의결 정족수의 조정 문제, 정부의 법률안제출권과 관련된 문제, 그리고 미국의 법률안비서명의견서(nonsigning statement)제도의 도입 가능성을 살펴보았고, 나아가 임기만료의 특수 상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새로 구성된 국회에서 재의결하도록 헌법 개정을 하는 방안을 검토한 후 실효적 수단으로 임기만료로 인한 국회 폐회 전 법률안의 의결 및 이송 시한의 법정화를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ebruary 27, 2016 Two days before the conclu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due to the expiration of the term of the 19th National Assembly, the president exercised veto power on the "Regular Hearings Act". In response to the case that the presidential ...

      February 27, 2016 Two days before the conclu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due to the expiration of the term of the 19th National Assembly, the president exercised veto power on the "Regular Hearings Act". In response to the case that the presidential veto power of the bill was exercised at a time when the revoting of the National Assembly was virtually impossible, some members suggested that the 20th National Assembly may re-vote, but the National Assembly did not give a clear statement about this situation.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imilar issues will occur in the future, so this problem is underway. Compared with the general veto, the veto, which is exercised during the close of the National Assembly due to the expiration of the term, occurred special problems such as whether the 20th National Assembly can be re-elected or the legislative bill is automatically abolished or established. Therefore, it is a meaningful study to explore the veto power in this case, to analyze special problems of expiration of the term and to find solutions.
      In this study, I have studied the policing strategies to ensure the checks and balances between the Presid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In particular, I insisted some legislative amendments to solve specific problems arising in the case of the closing of the National Assembly due to the expiration of the term.
      First of all, the veto power recognized in the Constitution has been exercised 66 times since 1948 and has been exercised recently. This is the actual authority of the President. Therefore, I examined the institutional meaning, purpose, and legal nature of the veto power (Ⅱ), And this study introduced the veto power of the US Constitution. It is very active and it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comparison. Therefore, I compared and analyzed the veto system of the Korean legislation and the veto system of the US bill (Ⅲ).
      Next, I came up with some specific questions about the presidential veto power of the legislation and the fate of the bill (for example, if the legislation was brought to the government due to the close of the National Assembly due to the expiration of the term). In addition, I examined the issues related to the veto of the President's veto of the “Constitutional Hearing Legislation Act” just before the 19th National Assembly closed (Ⅳ).
      Finally, since the current control measures for the veto are not effectiv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general improvement measures discussed in the constitutional academy and to find way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the new effective means and expiration of the term (Ⅴ). Specifically, I looked at the issue of reconciling the quorum of the bill, the issue of the right of the government to submit the bill, and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e nonsigning statement of the US legislation, and furthermore, After reviewing the revised constitutional amendment in the newly constituted National Assembly, I suggested the proposals for the resolution of the bill before expir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due to expiration of term and the legalization of the transfer deadlin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진오, "헌법해의" 명세당 1949

      2 김학성, "헌법학원론" 피앤씨미디어 2017

      3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8

      4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0

      5 김철수, "헌법학신론" 박영사 2013

      6 이준일, "헌법학강의" 홍문사 2015

      7 홍성방, "헌법학(下)" 박영사 2014

      8 문광삼, "헌법학" 삼영사 2015

      9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7

      10 한태연, "헌법학" 법문사 1973

      1 유진오, "헌법해의" 명세당 1949

      2 김학성, "헌법학원론" 피앤씨미디어 2017

      3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8

      4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0

      5 김철수, "헌법학신론" 박영사 2013

      6 이준일, "헌법학강의" 홍문사 2015

      7 홍성방, "헌법학(下)" 박영사 2014

      8 문광삼, "헌법학" 삼영사 2015

      9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7

      10 한태연, "헌법학" 법문사 1973

      11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8

      12 한국헌법학회, "헌법주석[국회, 정부]" 경인문화사 2018

      13 양정윤, "헌법과 입법" 피앤씨미디어 2018

      14 김하열, "헌법강의" 박영사 2018

      15 양 건, "헌법강의" 법문사 2018

      16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18

      17 전형철, "한국 대통령의 법률안 거부권에 관한 연구:영향요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3 (43): 63-93, 2005

      18 김철수, "학설판례 헌법학(中)" 박영사 2009

      19 전학선, "프랑스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8 (18): 309-331, 2012

      20 김철수, "세계비교헌법" 박영사 2014

      21 양정윤, "법률안거부권 제도의 개선방안"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22 강승식, "미국헌법상 법률안거부권행사의 정당화사유" 한국공법학회 36 (36): 325-354, 2007

      23 이용재, "미국연방헌법과 한국헌법상의 법률안거부권제도 비교" 부설법학연구소 30 : 337-374, 2010

      24 김선화, "미국 대통령 법률안거부권 제도와 사례" 국회입법조사처 (1177) : 2016

      25 박진우,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에 관한 새로운 헌법학적 고찰" 법학연구소 8 (8): 107-132, 2015

      26 김승열,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에 관한 고찰"

      27 강승식, "대통령의 법률안 통제방안 -미국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비교공법학회 14 (14): 195-219, 2013

      28 전찬희, "대통령의 법률안 거부권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한ㆍ미 헌법상 법률안거부권 규정을 중심으로 -" 미국헌법학회 27 (27): 289-316, 2016

      29 김선화, "대통령 법률안거부권의 의의와 사례" 국회입법조사처 (593) : 2013

      30 양정윤, "국회와 대통령 간의 입법갈등 - 권력분립의 이해와 그에 기초한 유형별 개선방안-" 고려대학교 2017

      31 崔哲榮, "美國의 Line Item Veto Act 硏究" 미국헌법학회 13 : 245-270, 2002

      32 Saikrishna B. Prakash, "Why the President Must Veto Unconstitutional Bills" 16 : 81-, 2007

      33 Gary W. Copeland, "When Congress and the president Collide: Why Presidents Veto Legislation" 45 (45): 1983

      34 Robert J. Spitzer, "The ‘Protective Return’ Pocket Veto : Presidential Aggrandizement of Constitutional Power" 31 : 2001

      35 Clarence A. Berdahl, "The President’s Veto of Private Bills" 52 (52): 1937

      36 Richard A. Watson, "The President’s Veto Power" 499 : 1988

      37 Matthew Thomas Kline, "The Line Item Veto Case and Separation of Powers" 88 (88): 2000

      38 Kevin R. Kosar, "Regular Vetoes and Pocket Veto: An Overview"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4

      39 Danial E. Ingberman, "Presidential Commitment and the Veto" 35 (35): 1991

      40 Brent Powell, "Line Item Veto" 37 (37): 2000

      41 Edward M. kennedy, "Congress, the president, and the pocket Veto" 63 (63): 1977

      42 Ross A. Wilson, "A Third Way: The Presidential Nonsigning Statement" 96 : 1503-,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8 1.07 1.097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