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나말여초 청자 제작과 전통기술 = The Korean Traditional Manufacturing Techniques of the Koryo Celadon during the period of the late Unified Silla and the early Koryo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960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나말여초에 이루어진 대중도자교섭과 청자 발굴 성과 등을 바탕으로 발생 초기와 이후 변천 과정에서 나타는 고려청자 제작의 전통기술에 대해 고찰한 논문이다. 먼저 통일신라시...

      본고는 나말여초에 이루어진 대중도자교섭과 청자 발굴 성과 등을 바탕으로 발생 초기와 이후 변천 과정에서 나타는 고려청자 제작의 전통기술에 대해 고찰한 논문이다.
      먼저 통일신라시대에는 왕궁과 주요 사지, 성지 등지에서 다양한 중국도자가 출토되어 다양한 수요층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소비계층을 배경으로 중국장인의 기술지도에 의해 제작된 청자는 중국 남․북방 청자의 양식과 기술을 많이 참고하였다. 반면 통일신라시대 고화도 경질도기는 인공적인 시유 여부를 떠나 서남해안을 중심으로 강력한 도자 전통이 존재했음을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청자 제작 기술을 몇 가지로 분류하고 중국 도자 기술과의 비교, 고찰을 통해 전통 기술을 파악하였다. 먼저 가마 구조에서 진흙 가마는 측면 출입구 등 중국 청자 가마와 유사한 면을 부인하기 어렵지만 벽돌 가마를 제치고 조선시대까지 이어진 것은 한국적 전통의 하나로 고려하였다. 다음 나무 재를 사용한 유약은 고려 초기 “고칼슘 저규소” 성분이라는 중국 월주요 청자 유약 성분과 유사성을 띠지만 발색제와 발색 메카니즘은 중국 청자와 다른 것으로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유약의 발색제 중 티타늄보다는 망간의 양이 더 많고, 얇은 유층과 적당한 기포 생성으로 태토가 은은히 들여다보이도록 한 것은 고려만의 특성으로 간주하였다. 또한 고려 초기 강진을 중심으로 행해지던 초벌구이 역시 중국과 다른 원료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경제적 고비용에도 불구하고 고려 전 지역으로 퍼져 전통기술로 정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Korean traditional manufacturing technique of Koryo celadon during the period of the late Unified Silla and the early Koryo dynasty. First the imported Chinese wares were investigated to study the backgrou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Korean traditional manufacturing technique of Koryo celadon during the period of the late Unified Silla and the early Koryo dynasty.
      First the imported Chinese wares were investigated to study the background of celadon production during the late Unified Silla and the early Koryo dynasty. During that period, various Chinese celadons and white wares such as Chinese Yue, Ding, Xing and Tongguan wares were excavated in the palace, temples and castles of Kyungju and other places in Korea. Owing to the sponsor of them, the Koryo celadon potters were supposed to be guided to copy the Chinese southern and northern ceramic style and technique by the Chinese potter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trong tradition of Korean ceramic Producing techniques in the earthen ware kilns which especially located along the south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Next the celadon producing techniques were classified into several types and surveyed to study the traditional ones. There were two kiln types-brick and clay-in Korea. A clay kiln which was primarily used in southern pant of Korea, different from Chinese brick one, became the prime kiln type of Koryo dynasty while it was rare in China. And the ash glaze of Koryo celadon was supposed to have the different mechanism of coloring from Chinese Yue wares even though their chemical composition were very similar in the high calcium and low silica structure. But Koryo celadon glaze contained more manganese than Chinese Sung celadon glaze which contained relatively more titanium. It would make the Koryo celadon glaze more greyish green than the Chinese one. The thin glaze and the proper number of bubbles in the Koryo celadon glaze made the day more visible than the Chinese celadon. So it could bring forth brilliant new color by the combination of reflecting color of the body and the glaze of celadon.
      Finally, the biscuit firing was done around the Gangjin kilns in the initial stage of Koryo dynasty. But it soon spreaded to the whole kils in Koryo because the Koryo potters might think that it would be very useful to strengthen the material's hardness in spite of the high cost.
      In conclusion, the clay kiln, the glaze coloring mechanism and the biscuit firing were developed as the Korean traditional techniqu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나말여초 청자 생산 배경
      • Ⅲ. 청자 제작 기술의 분류와 변천
      • Ⅳ. 결론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나말여초 청자 생산 배경
      • Ⅲ. 청자 제작 기술의 분류와 변천
      • Ⅳ. 결론
      • 參考文獻
      • 영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湖岩美術館, "龍仁西里高麗白磁窯 發掘調査報告書Ⅱ" 2002

      2 三星美術文化財團, "龍仁西里高麗白磁窯 發掘調査報告書Ⅰ" 1987

      3 田勝昌, "龍仁 西里窯址 出土遺物 檢討 in : 용인서리 고려백자요지의 재조명" 용인시․용인문화원․용인시사편찬위원회 2001

      4 金載悅, "龍仁 西里 고려백자요지의 발굴조사 내용 및 의의 in : 고려시대의 용인" 학연문화사 1998

      5 金載悅, "龍仁 初期 白磁窯址 發掘調査報告 in : 韓國 磁器 發生에 關한 諸問題"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90

      6 梨花女子大學校博物館, "靈岩鳩林里 陶器窯址-2次發掘調査報告書-" 2001

      7 정양모, "羅末․麗初 靑磁 및 白磁硏究의 諸問題 in : 韓國 磁器 發生에 關한 諸問題"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90

      8 김영진, "황해남도 봉천군 원산리 청자가마터 발굴간략보고" (2) : 1991

      9 김영원, "한반도 출토 중국도자 in : 우리 문화 속의 중국 陶磁器" 국립대구박물관 2004

      10 최건, "한국청자발생에 관한 背景的 考察" 한국박물관협회 31 : 1987

      1 湖岩美術館, "龍仁西里高麗白磁窯 發掘調査報告書Ⅱ" 2002

      2 三星美術文化財團, "龍仁西里高麗白磁窯 發掘調査報告書Ⅰ" 1987

      3 田勝昌, "龍仁 西里窯址 出土遺物 檢討 in : 용인서리 고려백자요지의 재조명" 용인시․용인문화원․용인시사편찬위원회 2001

      4 金載悅, "龍仁 西里 고려백자요지의 발굴조사 내용 및 의의 in : 고려시대의 용인" 학연문화사 1998

      5 金載悅, "龍仁 初期 白磁窯址 發掘調査報告 in : 韓國 磁器 發生에 關한 諸問題"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90

      6 梨花女子大學校博物館, "靈岩鳩林里 陶器窯址-2次發掘調査報告書-" 2001

      7 정양모, "羅末․麗初 靑磁 및 白磁硏究의 諸問題 in : 韓國 磁器 發生에 關한 諸問題"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90

      8 김영진, "황해남도 봉천군 원산리 청자가마터 발굴간략보고" (2) : 1991

      9 김영원, "한반도 출토 중국도자 in : 우리 문화 속의 중국 陶磁器" 국립대구박물관 2004

      10 최건, "한국청자발생에 관한 背景的 考察" 한국박물관협회 31 : 1987

      11 이종민, "한국의 초기청자 연구" 홍익대학교 2002

      12 고경신, "한국 전통 도자기 문화의 과학기술적 연구" 14 (14): 1992

      13 파멜라밴디버, "한국 도기의 제작기법과 유약기술의 발달" 梨花女子大學校博物館․全羅南道靈岩郡 2001

      14 김영원, "통일신라시대 한․중교역과 자기의 출현 in : 『장보고와 21세기』張保皐 대사 해양경영사연구 시리즈3" 혜안 1999

      15 金載悅, "통일신라 도자기의 대외교섭 in : 統一新羅 美術의 對外交涉" 예경 2001

      16 이영은, "조선분청의 성분 및 미세구조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1998

      17 홍희유, "조선 중세 수공업사 연구" 지양사 1979

      18 강경인, "전남지역의 고대 토기 및 도자기에 관한 자연과학적 연구" 전남대학교 1997

      19 박순발, "유물에 대한 고찰/土器․磁器 in : 聖住寺" 보령시·충남대학교박물관 1998

      20 吉岡完祐, "월주요갈래 청자의 형태분류를 통해 본 고려청자의 분석 in : 장보고와청해진" 혜안 1996

      21 국립대구박물관, "우리 문화속의 中國 陶磁器" 2004

      22 한영순, "여러 가지 나무재를 이용한 도자기용 유약제조와 색상 특성" 41 (41): 2004

      23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안압지 發掘調査報告書" 1978

      24 이종민, "시흥 방산동 초기청자 요지 출토품을 통해 본 중부지역 전축요의 운영시기" 한국미술사학회 228 : 2001

      25 李喜寬, "시흥 방산대요의 생산집단과 개시시기 문제-방산대요 출토 명문자료의 검토" 경주시․신라문화선양회․동국대신라문화연구소 23 : 2002

      26 이형원, "보령 진죽리 유적 발굴조사 개보" 1999

      27 최건, "고려청자의 발생문제-고려청자 언제 어떻게 만들어졌나-" 한국미술연구소 (1) : 1994

      28 윤용이, "고려청자의 기원과 발전 in : 한국도자사연구" 문예출판사 1993

      29 방병선, "고려청자의 기술사적 고찰 in : 미술사학연구" 한국미술사학회 1993

      30 장남원, "고려중기 청자 연구" 혜안 2006

      31 강경숙, "고려전기 도자의 대중 교섭 in : 고려미술의 대외교섭" 한국미술사학회 2004

      32 장남원, "고려시대의 도기와 靑瓷 in : 제3의 전통, 옹기의 원류를 찾아서"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2000

      33 윤용이, "고려시대 질그릇 in : 고려시대질그릇" 연세대박물관 1991

      34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黃龍寺 遺蹟發掘調査報告書Ⅰ" 1984

      35 최건, "高麗靑磁의 色과 形, 그의 특징" 조선관요박물관 2005

      36 吉岡完祐, "高麗靑磁의 發生에 관한 硏究" 숭전대학교 1979

      37 임진아, "高麗靑磁에 보이는 北宋․遼代 磁器의 영향" 홍익대학교 2005

      38 윤용이, "高麗陶瓷의 변천" 한국민족미술연구소 31 : 1986

      39 金載悅, "高麗白磁의 發生과 編年" 한국미술사학회 177 : 1988

      40 박지영, "高麗 陽刻靑磁의 性格"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9 (29): 45-86, 2007

      41 李喜寬, "高麗 翡色靑磁의 出現과 초벌구이(素燒) in : 對外交涉으로 본 高麗靑磁" 강진청자자료박물관 2003

      42 圓光大學校, "高敞雅山댐水沒地區發掘調査報告書" 1985

      43 김영원, "韓國과 中國의 陶磁交流, 10-19세기 in : 국립중앙박물관소장 中國陶磁" 국립중앙박물관 2007

      44 이종민, "韓國初期靑磁의 形成과 傳播 -塼築窯와 土築窯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사학회 240 : 2003

      45 金寅圭, "韓國出土の越州窯靑磁についての考察" 東洋陶磁學會 31 : 2002

      46 金寅圭, "韓國出土の中國陶磁" 貿易陶磁硏究會 19 : 1999

      47 이희관, "韓國 靑磁製作의 開始時期問題에 대한 諸說의 檢討" 백산학회 (70) : 389-462, 2004

      48 윤용이, "韓國 靑瓷의 成立" 韓國美術硏究所 15 : 2002

      49 김영원, "韓國 陶磁의 發生과 中國 陶磁의 영향 in : 광동성 박물관 소장 - 중국역대도자전" 경기도박물관 2000

      50 조은정, "韓半島 南西部 地域 土築窯 硏究 - 海南 新德里를 中心으로 -" 홍익대학교 2003

      51 林士民, "靑瓷與越窯" 上海古籍出版社 1999

      52 大西政太郞, "陶藝の釉藥" 理工學社 1976

      53 長沙窯編輯委員會課, "長沙窯" 湖南美術出版社 2004

      54 長沙窯課題組, "長沙窯" 紫禁城出版社 1996

      55 劉新園, "蔣祈陶記著作年代考弁-兼論景德鎭南宋與元代瓷器工藝市場及稅制等方面的差異" 景德鎭陶瓷館 10 : 1981

      56 海剛陶磁美術館, "芳山大窯" 2001

      57 김영원, "統一新羅時代 鉛釉의 발달과 磁器의 출현" 국립중앙박관 62 : 1999

      58 최건, "統一新羅時代 硬質陶器의 傳統繼承과 中國 陶磁文化의 受容에 關하여"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90

      59 최건, "統一新羅․高麗時代의 陶器에 관하여-특히 器種別 材料와 質의 변천을 중심으로- in : 統一新羅․高麗 질그릇"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1987

      60 충남대학교박물관, "神衿城" 1994

      61 이정호, "湖南地方의 土器窯" 한국상고사학회 2003

      62 목포대학교박물관, "海南의 靑磁窯址" 2002

      63 국립광주박물관, "海南新德里靑磁陶窯址精密地表調査報告書" 2000

      64 矢部良明, "日本陶磁の一万二千年" 平凡社 1994

      65 李熙濬, "慶州 錫杖洞 東國大 構內出土 藏骨器-中國靑磁가 伴出된 例" 영남고고학회 11 : 1992

      66 강경숙, "慶州 拜里出土 土器骨壺 小考 in : 三佛 金元龍敎授 停年退任紀念論叢Ⅱ" 일지사 1987

      67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彌勒寺 遺蹟發掘調査報告書Ⅱ" 1996

      68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彌勒寺 遺蹟發掘調査報告書Ⅰ" 1989

      69 국립중앙박물관, "康津龍雲里靑磁窯址發掘報告書" 1997

      70 海剛陶瓷美術館, "康津의 靑磁窯址" 1992

      71 방병선, "康津 靑磁 釉藥에 대한 실험적 고찰 in : 康津의 靑磁窯址" 해강도자미술관 1992

      72 국립광주박물관, "康津 三興里窯址 Ⅱ" 2004

      73 강경인, "康津 三興里窯址 E, F地區 土器․靑磁의 科學的 分析" 국립광주박물관․호남문화재연구원․농업기반공사강진완도지사 2 : 2004

      74 浙江省文物管理委員會, "寺龍口越窯" 文物出版社 2002

      75 海剛陶磁美術館, "始興芳山洞陶器窯址發掘調査報告書" 2004

      76 강경인, "始興 芳山洞 窯址 出土 窯業製品의 技術的 硏究" 2004

      77 박순발, "唐代 玉壁底의 變遷과 韓半島 해무리굽磁器의 出現 in : 용인서리 고려백자요지의 재조명" 용인시․용인문화원․용인시사편찬위원회 2001

      78 李鍾玟, "南部地域 初期靑磁의 系統과 特徵" 미술사연구회 (16) : 199-228, 2002

      79 강경인, "全南 靈岩 鳩林里 土器窯址 出土 土器片의 自然科學的 分析" 梨花女子大學校博物館․全羅南道靈岩郡 2001

      80 국립중앙박물관, "中國陶磁" 2007

      81 愛宕松男, "中國陶瓷産業史" 三一書房 1987

      82 慈溪市博物館, "上林湖越窯" 科學出版社 2002

      83 Pamela B. Vandiver, "The Technology of Celadon Glazes" Ceramics Monthly 1987

      84 Nigel Wood, "Chinese Glazes" A&C Black 1999

      85 Pamela B. Vandiver, "Carol A.Handwerker in : Variations In The Practice Of Ceramic Technology In Different Cultures: A Composition Of Korean and Chinese Celadon Glazes" American Ceramic Society 1989

      86 A.L. Hetherington, "CHINESE CERAMIC GLAZ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37

      87 정신옥, "11세기 말-12세기 전반 高麗靑瓷에 보이는 中國陶瓷의 영향"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1 : 41-85,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6 1.438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