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평가목적을 고려한 문제은행의 구축과 활용 - 교수·학습 지원을 위한 문제은행과 선발 및 자격 시험을 위한 문제은행- =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Item Bank with Consideration of Evaluation Purpo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14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introduction of computer technology and item response theory into testing practices, many item banks have been developed and are being used. This study examines two types of item banks, ‘item bank for teaching and learning (IT-TL)’ & ‘item bank for selection and qualification(IT-SQ)’, and discusses how each item bank is constructed and utilized.
      The purpose of IT-TL is to facilitate effective teaching-learning process. Thus it is critical that the IT-TL is easy to use with diverse items that is based on the current curriculum. A user-friendly search function is very helpful in this context so that the user draw items, select and review them, then download items to user's computer for assembly. More time and resources should be committed to expanding the size and quality of item bank.
      On the other hand, IT-SQ is basically designed to develop a valid and fair test in high-risk evaluation situations such as selection. Thus the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difficulty, discrimination, and reliability of test items are very important. IT-SQ provides substantial savings of time and energy over test development as well as security maintenance of test items. It is time to think about introducing item banking system in test situations such as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in our country.
      This study describes and illustrates two types of item bank. The most crucial step in developing an item bank is planning. This study explains some important points to consider at the planning stage of each item bank.
      번역하기

      With the introduction of computer technology and item response theory into testing practices, many item banks have been developed and are being used. This study examines two types of item banks, ‘item bank for teaching and learning (IT-TL)’ & ‘i...

      With the introduction of computer technology and item response theory into testing practices, many item banks have been developed and are being used. This study examines two types of item banks, ‘item bank for teaching and learning (IT-TL)’ & ‘item bank for selection and qualification(IT-SQ)’, and discusses how each item bank is constructed and utilized.
      The purpose of IT-TL is to facilitate effective teaching-learning process. Thus it is critical that the IT-TL is easy to use with diverse items that is based on the current curriculum. A user-friendly search function is very helpful in this context so that the user draw items, select and review them, then download items to user's computer for assembly. More time and resources should be committed to expanding the size and quality of item bank.
      On the other hand, IT-SQ is basically designed to develop a valid and fair test in high-risk evaluation situations such as selection. Thus the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difficulty, discrimination, and reliability of test items are very important. IT-SQ provides substantial savings of time and energy over test development as well as security maintenance of test items. It is time to think about introducing item banking system in test situations such as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in our country.
      This study describes and illustrates two types of item bank. The most crucial step in developing an item bank is planning. This study explains some important points to consider at the planning stage of each item ban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평가의 목적에 따라 문제은행의 유형을 ‘교수학습 지원을 위한 문제은행’과 ‘선발 및 자격 시험을 위한 문제은행’으로 개념적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문제은행이 어떻게 구축되며 활용될 수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교수학습 지원을 위한 문제은행’은 교수학습 과정에 유용한 평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에 근거한 문항을 충분히 확보하고 교사나 학생들이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강조점이 주어지며, 반면에 ‘선발 및 자격 시험을 위한 문제은행’은 시험의 목적에 부합되는 양질의 검사를 안정적, 효율적으로 개발하고 시험의 보안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게 고려된다. 이들 두 유형의 문제은행이 갖는 특징과 차이점들을 문항 개발, 문제은행 시스템 구축, 문제은행의 활용 측면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논의하였고, 이를 토대로 문제은행의 구축과 활용을 위한 몇 가지 제언과 함께 문제은행의 개발과 활용이 더욱 활성화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에서는 평가의 목적에 따라 문제은행의 유형을 ‘교수학습 지원을 위한 문제은행’과 ‘선발 및 자격 시험을 위한 문제은행’으로 개념적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문제은행이 어떻게 ...

      이 연구에서는 평가의 목적에 따라 문제은행의 유형을 ‘교수학습 지원을 위한 문제은행’과 ‘선발 및 자격 시험을 위한 문제은행’으로 개념적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문제은행이 어떻게 구축되며 활용될 수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교수학습 지원을 위한 문제은행’은 교수학습 과정에 유용한 평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에 근거한 문항을 충분히 확보하고 교사나 학생들이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강조점이 주어지며, 반면에 ‘선발 및 자격 시험을 위한 문제은행’은 시험의 목적에 부합되는 양질의 검사를 안정적, 효율적으로 개발하고 시험의 보안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게 고려된다. 이들 두 유형의 문제은행이 갖는 특징과 차이점들을 문항 개발, 문제은행 시스템 구축, 문제은행의 활용 측면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논의하였고, 이를 토대로 문제은행의 구축과 활용을 위한 몇 가지 제언과 함께 문제은행의 개발과 활용이 더욱 활성화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태제, "현대교육평가" 학지사 2002

      2 부재율, "컴퓨터활용검사" 교육과학사 2002

      3 채선희, "컴퓨터를 이용한 학력검사 개발 연구(II)." 2001

      4 "컴퓨터를 이용한 학력검사 개발 연구" 1998

      5 "컴퓨터를 이용한 학력 검사 지원체제 구축" 1999

      6 채선희, "컴퓨터를 이용한 중학교 학력검사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0

      7 "문제은행의 운영과 중앙교육평가원의 역할" 문제은행의 운영현황과 발전방향 1988

      8 채선희, "문제은행의 본질적 가치와 효율적 이용방안" 한국교육평가연구회 9 (9): 59-72, 1996

      9 중앙교육평가원, "문제은행 설치 운영에 관한 기초 연구" 1986

      10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문제은행식 출제,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관리방안 연구위원회 1996

      1 성태제, "현대교육평가" 학지사 2002

      2 부재율, "컴퓨터활용검사" 교육과학사 2002

      3 채선희, "컴퓨터를 이용한 학력검사 개발 연구(II)." 2001

      4 "컴퓨터를 이용한 학력검사 개발 연구" 1998

      5 "컴퓨터를 이용한 학력 검사 지원체제 구축" 1999

      6 채선희, "컴퓨터를 이용한 중학교 학력검사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0

      7 "문제은행의 운영과 중앙교육평가원의 역할" 문제은행의 운영현황과 발전방향 1988

      8 채선희, "문제은행의 본질적 가치와 효율적 이용방안" 한국교육평가연구회 9 (9): 59-72, 1996

      9 중앙교육평가원, "문제은행 설치 운영에 관한 기초 연구" 1986

      10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문제은행식 출제,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관리방안 연구위원회 1996

      1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대학수학능력시험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12 조난심, "국민공통 기본 교과별 평가도구 개발연구" 2002

      13 "교수,학습활동을 돕기 위한 문제은행의 구축 및 운영 방안: 초중고교 문제은행을 중심으로" 10 (10): 105-127, 1997

      14 Mills, C, "The GRE computer adaptive test: operational issues,Computerized adaptive testing: theory and practice" 2000

      15 Raggett, "Testing the Question-The Rasch model and item banking In M Assessment and Testing of Reading" 1979

      16 "Techniques and problems of assessment" 208-220, 1974

      17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331-345, 1984

      18 "Item banking,Advances in Measurement in Educational Research and Assessment" 1999

      19 "Item banking" 6 (6): 1998

      20 Anzaldua, R M, "Item Banks: What, Where, Why and How" 2002

      21 Millman, "Issues in item banking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315-330, 1984

      22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item banks" 34-39, 1994

      23 Mills, C, "Development and introduction of a computer adaptive Graduate Record Examinations General Test,Innovations in computerized assessment" 1999

      24 "Designing item pools for computerized adaptive testing,Computerized adaptive testing: theory and practice" 2000

      25 Davey, T, "Controlling item exposure and maintaining item security" 1998

      26 Booth, "Computerization of Trade Examinations" -1, 1983

      27 Mead, "Basic ideas in item banking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National Council on Measurement in Education" 1981

      28 Gronlund, N. E, "Assessment of Student Achievement(6th Ed.)" Allyn and Bacon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과정평가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Curriculum & Evalu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7 1.353 0.8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