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武屹精舍> 題詠詩를 통해 본 空間과 학적 家族의 관계와 그 의미 = The relationship and meaning of space and school register family analyzed through "Mu-Heul-Jung-Sa" a poem about the landscap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56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tends to research on aspects of a poem about the landscape created with focus on <Mu-Heul-Jung-Sa> and trace the meaning of this phenomenon. <Mu-Heul-Jung-Sa> is important because of its roles as center of Han gang academic line from Han gang to writers in the later time. <Mu-Heul-Jung-Sa> used to be recognized as secluded space but later in time the meaning of solidarity space was more highlighted. Han gang writers created a poem about the landscape within certain space called <Mu-Heul-Jung-Sa> and tried to encourage emotional share and solidarity between older scholars and younger scholars. At the same time, <Mu-Heul-Jung-Sa> a poem about the landscape did not stay as the role of re-experiencing certain space and remember it. It made further progress and importance as starting point of developing unifying school register families through remorse and veneration towards the older scholars.
      Emotional share of an academic line centered within certain space especially could be called as an extended meaning family formed though unrelated human networking in terms of pursuing strong bonds sustaining through eras. A poem about the landscape needs to be magnified as a solidifying method of school register family because of its role as catalyst for emotional bonds between scholars and connection of different eras.
      It would contribute to create new perspectives to regard the traditional academic lines as the transformed version of the unrelated families by magnifying the meaning of bonds and share of academic line formed by <Mu-Heul-Jung-Sa> Families in the traditional times are based on the space of home and ties of blood with relatives. Applying this relationship to academic lines, the ties of blood could be replaced by strong bond between teachers and followers and the space of home could be substituted by the space called Jung-Sa.
      This point shows that the existence and meaning of academic line has strong importance in extension of traditional families. This paper has its values of naming the academic lines compared to school register families which is unrelated family network in traditional era and analyzing the meaning of it though <Mu-Heul-Jung-Sa> a poem about the landscape.
      번역하기

      This paper intends to research on aspects of a poem about the landscape created with focus on <Mu-Heul-Jung-Sa> and trace the meaning of this phenomenon. <Mu-Heul-Jung-Sa> is important because of its roles as center of Han gang academic li...

      This paper intends to research on aspects of a poem about the landscape created with focus on <Mu-Heul-Jung-Sa> and trace the meaning of this phenomenon. <Mu-Heul-Jung-Sa> is important because of its roles as center of Han gang academic line from Han gang to writers in the later time. <Mu-Heul-Jung-Sa> used to be recognized as secluded space but later in time the meaning of solidarity space was more highlighted. Han gang writers created a poem about the landscape within certain space called <Mu-Heul-Jung-Sa> and tried to encourage emotional share and solidarity between older scholars and younger scholars. At the same time, <Mu-Heul-Jung-Sa> a poem about the landscape did not stay as the role of re-experiencing certain space and remember it. It made further progress and importance as starting point of developing unifying school register families through remorse and veneration towards the older scholars.
      Emotional share of an academic line centered within certain space especially could be called as an extended meaning family formed though unrelated human networking in terms of pursuing strong bonds sustaining through eras. A poem about the landscape needs to be magnified as a solidifying method of school register family because of its role as catalyst for emotional bonds between scholars and connection of different eras.
      It would contribute to create new perspectives to regard the traditional academic lines as the transformed version of the unrelated families by magnifying the meaning of bonds and share of academic line formed by <Mu-Heul-Jung-Sa> Families in the traditional times are based on the space of home and ties of blood with relatives. Applying this relationship to academic lines, the ties of blood could be replaced by strong bond between teachers and followers and the space of home could be substituted by the space called Jung-Sa.
      This point shows that the existence and meaning of academic line has strong importance in extension of traditional families. This paper has its values of naming the academic lines compared to school register families which is unrelated family network in traditional era and analyzing the meaning of it though <Mu-Heul-Jung-Sa> a poem about the landscap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武屹精舍를 중심으로 창작된 題詠詩의 양상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추적해 보고자 작성된 것이다. 무흘정사는 寒岡부터 후대 문인에 이르기까지 한강 학맥의 구심적 역할을 한 공간으로 중요하다. 무흘정사는 둔세의 공간으로 인식되었으나 후대로 내려올수록 연대의 공간으로 의미가 더 부각되었다. 한강 문인들은 무흘정사라는 특정 공간을 중심으로 제영시를 창작하였으며, 이를 통해 선학과 후학이 정서적 공유와 연대를 이루고자 하였다. 이때 무흘정사 제영시는 특정 공간을 추체험하여 회상하는 역할에 그치는 게 아니라 선현에 대한 회한과 존숭을 통해 학적 家族으로 일체화하는 詩적 발현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제영시는 학인들의 정서적 친밀감을 끈끈하게 견인하면서 통시간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학적 가족의 연대 방식으로 그 의미가 새롭게 부각될 필요가 있다.
      전통시대 가족은 家庭이라는 空間과 親姻戚의 血緣關係를 기본으로 한다. 이를 학맥에 적용시켜 본다면 精舍라는 공간과 師承이라는 학연관계로 대치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특정 공간을 중심으로 한 학맥의 정서적 공유는 시간을 초월한 견실한 연대를 지향한다는 측면에서 비혈연적 관계망 속에 형성된 廣義의 家族이라 불릴 수 있을 것이다. 이점은 전통시대 가족의 외연에 있어 학적 가족의 존재와 의미가 새롭게 조명될만한 것임을 의미한다.
      본고는 무흘정사 제영시를 통해 학맥을 전통시대 비혈연적 가족의 관계망인 학적 가족이라 지칭하고 그 의미를 천착해 본 것에 의미가 있다. 무흘정사를 통해 형성된 학적 공유와 연대의 의미를 확장시켜 전통시대 학맥을 비혈연적 가족이 전변된 형태로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번역하기

      본고는 武屹精舍를 중심으로 창작된 題詠詩의 양상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추적해 보고자 작성된 것이다. 무흘정사는 寒岡부터 후대 문인에 이르기까지 한강 학맥의 구심적 역할을 한 공간...

      본고는 武屹精舍를 중심으로 창작된 題詠詩의 양상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추적해 보고자 작성된 것이다. 무흘정사는 寒岡부터 후대 문인에 이르기까지 한강 학맥의 구심적 역할을 한 공간으로 중요하다. 무흘정사는 둔세의 공간으로 인식되었으나 후대로 내려올수록 연대의 공간으로 의미가 더 부각되었다. 한강 문인들은 무흘정사라는 특정 공간을 중심으로 제영시를 창작하였으며, 이를 통해 선학과 후학이 정서적 공유와 연대를 이루고자 하였다. 이때 무흘정사 제영시는 특정 공간을 추체험하여 회상하는 역할에 그치는 게 아니라 선현에 대한 회한과 존숭을 통해 학적 家族으로 일체화하는 詩적 발현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제영시는 학인들의 정서적 친밀감을 끈끈하게 견인하면서 통시간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학적 가족의 연대 방식으로 그 의미가 새롭게 부각될 필요가 있다.
      전통시대 가족은 家庭이라는 空間과 親姻戚의 血緣關係를 기본으로 한다. 이를 학맥에 적용시켜 본다면 精舍라는 공간과 師承이라는 학연관계로 대치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특정 공간을 중심으로 한 학맥의 정서적 공유는 시간을 초월한 견실한 연대를 지향한다는 측면에서 비혈연적 관계망 속에 형성된 廣義의 家族이라 불릴 수 있을 것이다. 이점은 전통시대 가족의 외연에 있어 학적 가족의 존재와 의미가 새롭게 조명될만한 것임을 의미한다.
      본고는 무흘정사 제영시를 통해 학맥을 전통시대 비혈연적 가족의 관계망인 학적 가족이라 지칭하고 그 의미를 천착해 본 것에 의미가 있다. 무흘정사를 통해 형성된 학적 공유와 연대의 의미를 확장시켜 전통시대 학맥을 비혈연적 가족이 전변된 형태로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경북대 퇴계연구소, "한강학의 성리학적 재발견" 역락 2018

      2 정우락, "한강 정구와 무흘구곡 이야기" 경인문화사 2014

      3 남명학연구원, "한강 정구" 예문서원 2011

      4 정우락, "한강 정구" 예문서원 2011

      5 정우락, "성주 및 김천 지역의 구곡문화와 무흘구곡 - 무흘구곡의 일부 위치 批正을 겸하여 -" 퇴계연구소 (54) : 213-252, 2014

      6 이세동, "등암(藤庵) 배상룡(裵尙龍)의 생삼사일(生三事一)의 삶" 영남문화연구원 (31) : 117-154, 2016

      7 윤천근, "남인 예학의 선구 – 정구" 한국국학진흥원, 예문서원 2006

      8 배상룡, "국역 등암선생문집" 한국국학진흥원 2014

      9 金聖鐸, "霽山集"

      10 김학수, "鄭逑 文學의 創作現場과 遺跡에 대한 연구"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9) : 137-178, 2008

      1 경북대 퇴계연구소, "한강학의 성리학적 재발견" 역락 2018

      2 정우락, "한강 정구와 무흘구곡 이야기" 경인문화사 2014

      3 남명학연구원, "한강 정구" 예문서원 2011

      4 정우락, "한강 정구" 예문서원 2011

      5 정우락, "성주 및 김천 지역의 구곡문화와 무흘구곡 - 무흘구곡의 일부 위치 批正을 겸하여 -" 퇴계연구소 (54) : 213-252, 2014

      6 이세동, "등암(藤庵) 배상룡(裵尙龍)의 생삼사일(生三事一)의 삶" 영남문화연구원 (31) : 117-154, 2016

      7 윤천근, "남인 예학의 선구 – 정구" 한국국학진흥원, 예문서원 2006

      8 배상룡, "국역 등암선생문집" 한국국학진흥원 2014

      9 金聖鐸, "霽山集"

      10 김학수, "鄭逑 文學의 創作現場과 遺跡에 대한 연구"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9) : 137-178, 2008

      11 鄭墧, "進菴文集"

      12 崔興璧, "蠹窩文集"

      13 鄭煒, "芝厓集"

      14 徐思遠, "樂齋集"

      15 崔轔, "梅窩集"

      16 張顯光, "旅軒集"

      17 정우락, "山中圖書館 ‘武屹精舍 藏書閣’의 藏書 性格과 意味" 영남문화연구원 (20) : 7-52, 2011

      18 鄭逑, "寒岡集"

      19 윤진영, "寒岡 鄭逑의 유거 공간과 《武屹九曲圖》" 한국학중앙연구원 33 (33): 7-47, 2010

      20 정우락, "寒岡 鄭逑의 武屹精舍 建立과 著述活動" 경남문화연구원 28 : 273-324, 2009

      21 정우락, "寒岡 鄭逑의 武屹 경영과 武屹九曲 정착과정" 한국학연구원 (48) : 85-125, 2012

      22 정병호, "寒岡 鄭逑와 武屹時代" 東洋禮學會 36 : 2017

      23 김윤조, "18세기 영남 한문학의 전개" 계명대 출판부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23 통합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66 1.364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