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은, "호남지방 신석기시대 생업활동에 대한 연구 -패총 출토 유물을 중심으로-" 호남고고학회 49 : 43-67, 2015
2 박지선, "한국의 풍화혈 연구 성과와 과제- 타포니·나마를 중심으로 -" 한국지형학회 20 (20): 37-50, 2013
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의 지질유산 지질노두 160선" ㈜STN 367-, 2013
4 환경부, "한국의 지질유산"
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의 지질노두 150선" ㈜성인문화사 344-, 2004
6 지건길, "충남해안지방의 백제고분 이예와 출토유물"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10 : 7-16, 1977
7 환경부,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지형)"
8 최완규, "전북서해안지방 백제고분의 일고찰 - 웅포리 고분을 중심으로 -" 호남고고학회 1 : 51-77, 1995
9 전라남도, "전남의 섬"
10 강봉원, "울릉도 고분에 관한 일 고찰" 호남사학회 (48) : 1-35, 2012
1 이은, "호남지방 신석기시대 생업활동에 대한 연구 -패총 출토 유물을 중심으로-" 호남고고학회 49 : 43-67, 2015
2 박지선, "한국의 풍화혈 연구 성과와 과제- 타포니·나마를 중심으로 -" 한국지형학회 20 (20): 37-50, 2013
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의 지질유산 지질노두 160선" ㈜STN 367-, 2013
4 환경부, "한국의 지질유산"
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의 지질노두 150선" ㈜성인문화사 344-, 2004
6 지건길, "충남해안지방의 백제고분 이예와 출토유물"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10 : 7-16, 1977
7 환경부,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지형)"
8 최완규, "전북서해안지방 백제고분의 일고찰 - 웅포리 고분을 중심으로 -" 호남고고학회 1 : 51-77, 1995
9 전라남도, "전남의 섬"
10 강봉원, "울릉도 고분에 관한 일 고찰" 호남사학회 (48) : 1-35, 2012
11 안덕임, "우리나라 남해안지역 신석기시대 패총 출토 패류" 한국패류학회 10 (10): 1-9, 1994
12 목포대학교 박물관, "신안 안산성지․상서고분군"
13 김준, "섬문화 답사기(신안편)" 보누스 711-, 2012
14 한국환경정책, "보존 가치가 있는 지형, 지질의 대상 설정에 관한 연구" 159-, 2003
15 문안식, "백제의 해상활동과 신의도 상서고분의 축조 배경" 백제문화연구소 1 (1): 77-113, 2014
16 오강호, "무인도서 관리를 위한 평가방법의 개선방안" 한국도서(섬)학회 23 (23): 137-150, 2011
17 김석훈, "무덤으로 사용된 신석기시대 패총" 충북대학교 사학회 18 : 259-268, 2007
1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목포·여수도폭 지질보고서(1:250,000)" 45-, 2002
19 한국자원연구소, "도서․폐광 현황 및 활용성 연구" 221-, 1991
20 김영심, "고흥 안동고분 축조의 역사적 배경" 백제문화연구소 1 (1): 51-76, 2014
21 이민홍, "고대 나주권역의 역사와 압해도의 고분군"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2 : 63-85, 2002
22 김낙중, "5~6세기 남해안 지역 倭系古墳의 특성과 의미" 호남고고학회 45 : 157-203,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