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의미 전달을 위한 진동 신호, 즉 “진동 아이콘”을 설계하는 데 있어서, 음악의 악상 기호 중 셈여림표의 개념을 적용하여, 진동의 세기의 변화를 위주로 하는 16가지의 다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707481
201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4-34(11쪽)
2
학회 요청에 의해 무료로 제공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의미 전달을 위한 진동 신호, 즉 “진동 아이콘”을 설계하는 데 있어서, 음악의 악상 기호 중 셈여림표의 개념을 적용하여, 진동의 세기의 변화를 위주로 하는 16가지의 다양...
이 연구에서는 의미 전달을 위한 진동 신호, 즉 “진동 아이콘”을 설계하는 데 있어서, 음악의 악상 기호 중 셈여림표의 개념을 적용하여, 진동의 세기의 변화를 위주로 하는 16가지의 다양한 진동 아이콘을 설계하였다. 이렇게 설계한 진동 아이콘의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모바일 기기의 모형(Mockup)을 사용하여 왼손과 오른쪽 허벅지에 재생시킬 때의 정보 전달 (Information Transfer, IT)을 구하는 인지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로 얻어낸 혼동행렬을 이용하여 각각 진동 아이콘의 정확률 및 진동 아이콘간의 유사성을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 왼손과 오른쪽 허벅지에서 평균 3 비트(bit) 이상의 정보 전달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손과 허벅지의 각 부위에서 약 8~9개 정도의 진동 아이콘을 구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각 아이콘의 유사성을 확인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휴대 전화와 같은 모바일 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설계함으로써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created 16 “tactile icons” for mobile devices with variations of amplitude, which was analogous to dynamics in music. For investigating these icon's usability, we conducted an identification experiment, measuring their informatio...
In this paper, we created 16 “tactile icons” for mobile devices with variations of amplitude, which was analogous to dynamics in music. For investigating these icon's usability, we conducted an identification experiment, measuring their information transfer(IT) with a mockup of mobile devices. The two possible locations of a mockup were participants' left hand and right thigh in this experiment. As the results, hit ratio of each tactile icon was calculated and similarities between tactile icons were investigated by building confusion matrices. The average information transfer(IT) was above 3 bits in both stimulus locations of left hand and right thigh. This result says that we can discriminate 8 to 9 tactile icons at human hand or at human thigh. We also derived a scenario which is applicable to current mobile devices in order to verify the usability of these tactile icon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Appie Inc, "iPhone Spec"
2 Immersion Corp, "TouchSense tactile feedback system"
3 E. B. Goldstein, "Sensation and Perception, 7th Ed" Thomson Wadsworth 2007
4 J. Ryu, "Perceptually Transparent Vibration Rendering Using a Vibration Motor for Haptic Interaction" 310-315, 2007
5 K. E. MacLean, "Perceptual Design of Haptic Icons" 351-363, 2003
6 L. M. Brown, "Multidimensional Tactons for Non-Visual Information Presentation in Mobile Device" 231-238, 2006
7 D. Ternes, "Designing Large Sets of Haptic Icons with Rhythm" 199-208, 2008
8 J. Ryu, "Benefits of Perceptually Transparent Vibration Rendering in Mobile Device" 5024 : 706-711, 2008
9 C. E. Shannon, "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27 : 379-423, 1948
10 B. Swerdfeger, "A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Study of Haptic Icon Learnability" Univ. of British Columbia 2009
1 Appie Inc, "iPhone Spec"
2 Immersion Corp, "TouchSense tactile feedback system"
3 E. B. Goldstein, "Sensation and Perception, 7th Ed" Thomson Wadsworth 2007
4 J. Ryu, "Perceptually Transparent Vibration Rendering Using a Vibration Motor for Haptic Interaction" 310-315, 2007
5 K. E. MacLean, "Perceptual Design of Haptic Icons" 351-363, 2003
6 L. M. Brown, "Multidimensional Tactons for Non-Visual Information Presentation in Mobile Device" 231-238, 2006
7 D. Ternes, "Designing Large Sets of Haptic Icons with Rhythm" 199-208, 2008
8 J. Ryu, "Benefits of Perceptually Transparent Vibration Rendering in Mobile Device" 5024 : 706-711, 2008
9 C. E. Shannon, "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27 : 379-423, 1948
10 B. Swerdfeger, "A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Study of Haptic Icon Learnability" Univ. of British Columbia 2009
11 L. M. Brown, "A First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iveness of Tactons" 167-176, 2005
International Workshop on Exascale Supercomputing 개최
간섭 검출 및 회피를 위한 주파수영역 희생 시스템 검출 기법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8 | 0.68 | 0.6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6 | 0.51 | 0.557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