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아의 사회도덕성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perceived by mother on the social morality of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74962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5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60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 69 p. : 삽도, 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 조남억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광운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perceived by mother on the social morality of children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morality of children and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factors.
      We set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follows.
      Is there any difference in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by the characteristics of father and characteristic variables of family? Is there any correlation of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perceived by mother with the social morality of children? Does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perceived by mother affect the social morality of children?
      228 children at ages of 3-5 enrolled in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daycare center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Nowon-gu, Seoul and Yangpyeong-gun, Gyeonggi Province, their mothers and teachers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26 questions were selected from the scale of ‘generative roles of fathers who have children’ developed on the basis of results of studies of Snarey (1993) and Palkovits (1997) by Yee, Young Hwan, Lee, Jin Sook and Cho, Bok Hee (1999) in order to measure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Questionnaires used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morality of children developed by Morisige Satosi (1998) and studies on Japanese mother’s parenting attitudes in some scenes from the daily life conducted by Shuto Satoshimoto and Ninomiya Katsumi (2002) modified by Choi, Soon Ja (2005) were used to examine the social morality of children.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perform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by characteristics of fathers. For income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activities together with their children. For working hour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developmental support, caring and guidance of children and activities together with children that were sub-factors of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Second,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morality including developmental support, caring and guidance for children and activities together with children, and moral areas such as sanctity of life, honesty, sharing and cooperation. I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violent actions. In addition, i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ventional areas such as order, rules, etiquette and frugality.
      Third, the effects of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on the social morality of children were significant in morality areas which were sub-factors of social morality. The sanctity of life was significant in activities together with children.
      Honesty and violent actions were significant in developmental support.
      Sharing and cooperation were significant in developmental support and activities together with children. These factors were also significant in conventional areas. Order and courtesy were significant in activities together with children. Order was significant in developmental support.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helps peopl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father’s roles and provides basic materials of the program for parents and teachers by examining the effects of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on the social morality of children by increasing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perceived by mother on the social morality of children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morality of children and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perceived by mother on the social morality of children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morality of children and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factors.
      We set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follows.
      Is there any difference in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by the characteristics of father and characteristic variables of family? Is there any correlation of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perceived by mother with the social morality of children? Does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perceived by mother affect the social morality of children?
      228 children at ages of 3-5 enrolled in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daycare center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Nowon-gu, Seoul and Yangpyeong-gun, Gyeonggi Province, their mothers and teachers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26 questions were selected from the scale of ‘generative roles of fathers who have children’ developed on the basis of results of studies of Snarey (1993) and Palkovits (1997) by Yee, Young Hwan, Lee, Jin Sook and Cho, Bok Hee (1999) in order to measure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Questionnaires used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morality of children developed by Morisige Satosi (1998) and studies on Japanese mother’s parenting attitudes in some scenes from the daily life conducted by Shuto Satoshimoto and Ninomiya Katsumi (2002) modified by Choi, Soon Ja (2005) were used to examine the social morality of children.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perform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by characteristics of fathers. For income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activities together with their children. For working hour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developmental support, caring and guidance of children and activities together with children that were sub-factors of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Second,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morality including developmental support, caring and guidance for children and activities together with children, and moral areas such as sanctity of life, honesty, sharing and cooperation. I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violent actions. In addition, i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ventional areas such as order, rules, etiquette and frugality.
      Third, the effects of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on the social morality of children were significant in morality areas which were sub-factors of social morality. The sanctity of life was significant in activities together with children.
      Honesty and violent actions were significant in developmental support.
      Sharing and cooperation were significant in developmental support and activities together with children. These factors were also significant in conventional areas. Order and courtesy were significant in activities together with children. Order was significant in developmental support.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helps peopl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father’s roles and provides basic materials of the program for parents and teachers by examining the effects of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on the social morality of children by increasing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아의 사회도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아버지의 양육참여 요인에 따라 유아의 사회도덕성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위와 같은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아버지의 특성 및 가족 특성 변인에 따라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차이가 있는가? 그리고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유아의 사회도덕성과 상관관계가 있는가? 또한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유아의 사회도덕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노원구와 경기도 양평군내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어린이집,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만3~5세의 유아 228명과 그들의 어머니와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검사하기 위해 이영환과 이진숙과 조복희(1999)가 Snarey(1993)와 Palkovits(1997)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개발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생산적인 아버지 노릇’척도에서 양육참여 요인에 해당하는 26문항을 추출하여 사용하였고, 유아의 사회도덕성을 검사하기 위한 측정도구는 森重敏(1988)가 유아의 도덕의식 발달 실태조사를 실시하기 위하여 사용한 질문지와 首藤敏元와 二宮克美(2002)가 일본 어머니들이 유아와의 일상생활 속에서 어떤 장면에서 어떤 양육 태도를 나타내는지를 조사한 내용을 최순자(2005)가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 분석은 빈도분석과 신뢰도 분석, T-test와 분산분석ANOVA를 실시하였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특성에 따른 아버지 양육참여의 차이에서는 수입에서는 자녀와 함께하는 활동에서 차이를 나타냈고 근무시간에서는 아버지 양육참여 하위요인인 발달적 지지, 자녀 돌보기 및 지도, 자녀와 함께 하는 활동에서 모두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아버지의 참여도가 유아의 사회도덕성과의 관계에서는 발달적 지지, 자녀돌보기 및 지도, 자녀와 함께하는 활동에서 도덕적 영역인 생명 존엄성, 정직, 나누기 및 협조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난폭한 행동에서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인습적 영역인 질서, 규칙, 예의, 절약과도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아의 사회도덕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아버지 양육참여가 사회도덕성의 하위요인인 도덕적 영역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요인별에서 생명존엄성은 자녀와 함께하는 활동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직과 난폭한 행동에서는 발달적 지지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나누기 및 협조에서는 발달적 지지와 자녀와 함께하는 활동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습적 영역에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 보면 질서와 예의에서 자녀와 함께하는 활동에서 유의하게 나타났고, 규칙에서는 발달적 지지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의의는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늘어남에 따라서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아의 사회도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봄으로써 아버지의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부모뿐 아니라 교사를 위한 프로그램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아의 사회도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아버지의 양육참여 요인에 따라 유아의 사회도덕성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아의 사회도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아버지의 양육참여 요인에 따라 유아의 사회도덕성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위와 같은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아버지의 특성 및 가족 특성 변인에 따라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차이가 있는가? 그리고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유아의 사회도덕성과 상관관계가 있는가? 또한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유아의 사회도덕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노원구와 경기도 양평군내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어린이집,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만3~5세의 유아 228명과 그들의 어머니와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검사하기 위해 이영환과 이진숙과 조복희(1999)가 Snarey(1993)와 Palkovits(1997)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개발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생산적인 아버지 노릇’척도에서 양육참여 요인에 해당하는 26문항을 추출하여 사용하였고, 유아의 사회도덕성을 검사하기 위한 측정도구는 森重敏(1988)가 유아의 도덕의식 발달 실태조사를 실시하기 위하여 사용한 질문지와 首藤敏元와 二宮克美(2002)가 일본 어머니들이 유아와의 일상생활 속에서 어떤 장면에서 어떤 양육 태도를 나타내는지를 조사한 내용을 최순자(2005)가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 분석은 빈도분석과 신뢰도 분석, T-test와 분산분석ANOVA를 실시하였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특성에 따른 아버지 양육참여의 차이에서는 수입에서는 자녀와 함께하는 활동에서 차이를 나타냈고 근무시간에서는 아버지 양육참여 하위요인인 발달적 지지, 자녀 돌보기 및 지도, 자녀와 함께 하는 활동에서 모두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아버지의 참여도가 유아의 사회도덕성과의 관계에서는 발달적 지지, 자녀돌보기 및 지도, 자녀와 함께하는 활동에서 도덕적 영역인 생명 존엄성, 정직, 나누기 및 협조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난폭한 행동에서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인습적 영역인 질서, 규칙, 예의, 절약과도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아의 사회도덕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아버지 양육참여가 사회도덕성의 하위요인인 도덕적 영역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요인별에서 생명존엄성은 자녀와 함께하는 활동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직과 난폭한 행동에서는 발달적 지지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나누기 및 협조에서는 발달적 지지와 자녀와 함께하는 활동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습적 영역에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 보면 질서와 예의에서 자녀와 함께하는 활동에서 유의하게 나타났고, 규칙에서는 발달적 지지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의의는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늘어남에 따라서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아의 사회도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봄으로써 아버지의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부모뿐 아니라 교사를 위한 프로그램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문제 6
      • 3. 용어 정리 7
      • Ⅱ. 이론적 배경 8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문제 6
      • 3. 용어 정리 7
      • Ⅱ. 이론적 배경 8
      • 1. 아버지의 양육참여 13
      • 1)아버지의 역할과 양육참여
      • 2)아버지의 양육참여의 중요성
      • 2. 유아의 사회도덕성 13
      • 1)유아의 도덕성
      • 2)유아의 사회도덕성
      • 3)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유아의 사회도덕성과의 관계
      • Ⅲ. 연구방법 22
      • 1. 연구가설 및 모형 23
      • 2. 연구대상 및 조사방법 24
      • 3. 측정도구 25
      • 4. 분석방법 28
      • Ⅳ. 연구결과 29
      •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9
      •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참여의 차이 33
      • 3. 가족관련 특성에 따른 아버지 양육참여의 차이 36
      • 4.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유아의 사회도덕성간의 상관 관계 37
      • 5.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아의 사회도덕성에 미치는 영향 40
      • Ⅴ. 결론 및 제언 46
      • 1. 결론 46
      • 2. 제언 및 한계점 51
      • 참고문헌 53
      • 부 록 6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