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대중가요 가사를 살펴보면 대부분이 사랑과 이별, 그 중에서도 한을 주제로 하는 이별 곡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과거 민요에서도 볼 수 있는 한의 정서와 맥을 같이 하며 이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384418
서울 :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 응용언어문화학협동과정 , 2014. 2
2014
한국어
서울
vii, 109 p. : 삽화 ; 26 cm
지도교수: 유영대
참고문헌: p. 107-10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대중가요 가사를 살펴보면 대부분이 사랑과 이별, 그 중에서도 한을 주제로 하는 이별 곡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과거 민요에서도 볼 수 있는 한의 정서와 맥을 같이 하며 이러...
한국의 대중가요 가사를 살펴보면 대부분이 사랑과 이별, 그 중에서도 한을 주제로 하는 이별 곡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과거 민요에서도 볼 수 있는 한의 정서와 맥을 같이 하며 이러한 맥락은 대중가요 곳곳에서 나타난다. 이별의 정서는 시대상과 맞물려 변화하였으며 실상 그 속에 보이는 가사와 음률의 변화는 단순한 개인의 이별을 넘어 사회상이 다각적으로 담겨있음을 볼 수 있다.
이에 연구자는 대중가요의 정서적 측면에 중점을 두어 한국 대중음악의 흐름을 읽고자 하였다. 본고는 193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808곡의 대중가요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그중에서도 특히 가사에 나타난 한국인의 이별정서를 유형화하고 이를 통해 시대별로 변화하는 양상들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 대중가요 가사를 횡적으로 분석, 이별의 정서를 심리학적 관점으로 유형화시켜 슬픔과 탄식, 욕망과 현실부정, 원망과 분노, 관조와 역설 4가지로 나눠 이를 어떻게 표출했는가를 분석해 보았다. 또한 대중가요 가사를 종적으로 분석해 시대적 상황이 어떤 식으로 이별정서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 특징은 무엇인지 살펴보았으며 가창자에 따른 남녀의 이별양상과 시대에 따라 달라진 남녀의 이별자세를 분석해 보았다.
시대가 변하면 문화도 변하고 문화가 변하면 사람들의 심리도 변한다. 이별의 정서는 시대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며 시대상과 대중을 반영하는 반증이 된다. 본고는 이별에 관해 보다 심층적, 체계적으로 연구된 문학 분야에 비해 이론적 체계가 부족한 대중가요 가사의 이별정서를 심리학적인 입장에서 체계적으로 유형화하고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대중과 밀접한 대중가요라는 장르를 분석함으로서 서민예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개인의 이별이 시대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증명한 구체적인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