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팬데믹시대 요양보호사 돌봄노동과 사회적 소통에 관한 질적연구: 지오르지(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 A Qualitative Study on Care Work and the Social Communication for Caregivers in the Pandemic Era: Focusing on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889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from a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what caring labor experiences and social communication are perceived by caregivers in long-term care institutions such as nursing facilities, daytime protection, and home visits in the COVID-19 environment ahead of the entry into a super-aged society. This is to promote the health of the social community through research on the socio-cultural context and health communication level of caregiver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9 caregivers residing in W city of K province of ROK.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data analysis, 64 central meanings of the semantic units, which are vivid statements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discovered, and 16 situational structures, each unique experience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derived from this. Then, in the experience of the study participants, the common situation was connected to a general structure of 5 stages, and finally, care labor and social communication experiences were described to identify the final 7 essential topic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more strengthened care and support are needed for the health underprivileged in the era of the pandemic. Second, active communication efforts for care work sites should be supported. Third, it was found that education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for caregivers were necessary. Fourth, it was found that a social campaign is needed to make it possible to recognize the valuable role of caregivers. Lastly, the suggestion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media should pay attention to the public role of caregivers in the health of the community, improving qualification and training courses, improving the treatment of caregivers, and reinforcing refresher training, etc.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from a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what caring labor experiences and social communication are perceived by caregivers in long-term care institutions such as nursing facilities, daytime protection, and home v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from a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what caring labor experiences and social communication are perceived by caregivers in long-term care institutions such as nursing facilities, daytime protection, and home visits in the COVID-19 environment ahead of the entry into a super-aged society. This is to promote the health of the social community through research on the socio-cultural context and health communication level of caregiver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9 caregivers residing in W city of K province of ROK.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data analysis, 64 central meanings of the semantic units, which are vivid statements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discovered, and 16 situational structures, each unique experience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derived from this. Then, in the experience of the study participants, the common situation was connected to a general structure of 5 stages, and finally, care labor and social communication experiences were described to identify the final 7 essential topic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more strengthened care and support are needed for the health underprivileged in the era of the pandemic. Second, active communication efforts for care work sites should be supported. Third, it was found that education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for caregivers were necessary. Fourth, it was found that a social campaign is needed to make it possible to recognize the valuable role of caregivers. Lastly, the suggestion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media should pay attention to the public role of caregivers in the health of the community, improving qualification and training courses, improving the treatment of caregivers, and reinforcing refresher training, et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둔 상황에서 코로나19 위기 속에서 요양시설 과 주간보호, 재가방문 등 노인장기요양기관에 종사하는 요양보호사가 인식하는 돌봄노 동 경험과 사회적 소통의 실태가 어떠한지, 그리고 대안이 무엇이 있는지를 현상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요양보호사의 노인돌봄 노동에 대해 사회문화적 맥락과 헬 스커뮤니케이션 차원의 연구를 통해 사회공동체의 건강증진을 도모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K도 W시에 거주하는 요양보호사 아홉 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 했다. 분석결과, 연구참여자의 생생한 진술인 의미단위 가운데 64개의 중심의미를 발굴 하였고, 이로부터 연구참여자 각각의 독특한 경험인 16개의 상황구조를 도출하였다. 이 어 연구참여자의 경험 속에서 공통상황을 5단계의 일반적 구조로 연결했고, 최종적으로 돌봄노동과 사회적 소통 경험을 기술해 최종 일곱 개의 본질적 주제를 파악할 수 있었 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팬데믹 시대 건강 소외계층에 대한 더욱 강화된 돌봄과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돌봄 노동 현장에 대한 지원과 적극적인 소통 노력이 뒷받침돼 야 한다. 셋째, 요양보호사에 대한 교육과 심리상담이 필요하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소 중한 역할을 인식할 수 있도록 사회적 여건을 만들기 위한 사회적 캠페인이 필요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돌봄 노동자의 자격취득 및 양성과정의 전문화 강화, 이들의 처 우향상과 보수교육강화 등 근무조건 개선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고령화사회로 진입 하는 과정에서 개인과 공동체의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돌봄노동자의 공적 역할에 대한 미디어와 캠페인을 통한 적극적인 소통 노력이 요구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둔 상황에서 코로나19 위기 속에서 요양시설 과 주간보호, 재가방문 등 노인장기요양기관에 종사하는 요양보호사가 인식하는 돌봄노 동 경험과 사회...

      본 연구의 목적은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둔 상황에서 코로나19 위기 속에서 요양시설 과 주간보호, 재가방문 등 노인장기요양기관에 종사하는 요양보호사가 인식하는 돌봄노 동 경험과 사회적 소통의 실태가 어떠한지, 그리고 대안이 무엇이 있는지를 현상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요양보호사의 노인돌봄 노동에 대해 사회문화적 맥락과 헬 스커뮤니케이션 차원의 연구를 통해 사회공동체의 건강증진을 도모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K도 W시에 거주하는 요양보호사 아홉 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 했다. 분석결과, 연구참여자의 생생한 진술인 의미단위 가운데 64개의 중심의미를 발굴 하였고, 이로부터 연구참여자 각각의 독특한 경험인 16개의 상황구조를 도출하였다. 이 어 연구참여자의 경험 속에서 공통상황을 5단계의 일반적 구조로 연결했고, 최종적으로 돌봄노동과 사회적 소통 경험을 기술해 최종 일곱 개의 본질적 주제를 파악할 수 있었 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팬데믹 시대 건강 소외계층에 대한 더욱 강화된 돌봄과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돌봄 노동 현장에 대한 지원과 적극적인 소통 노력이 뒷받침돼 야 한다. 셋째, 요양보호사에 대한 교육과 심리상담이 필요하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소 중한 역할을 인식할 수 있도록 사회적 여건을 만들기 위한 사회적 캠페인이 필요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돌봄 노동자의 자격취득 및 양성과정의 전문화 강화, 이들의 처 우향상과 보수교육강화 등 근무조건 개선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고령화사회로 진입 하는 과정에서 개인과 공동체의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돌봄노동자의 공적 역할에 대한 미디어와 캠페인을 통한 적극적인 소통 노력이 요구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