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남북한 의료제도의 통합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The) studies on the unification of medical systems of South & North Korea & the plans of its practical u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009084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한국한의학연구원, 1998

      • 발행연도

        1998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619.0951 판사항(21)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남북한 의료제도의 통합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ies on the unification of medical systems of South & North Korea & the plans of its practical uses / 한국한의학연구원 [편].

      • 기타서명

        제1차년도 최종보고서

      • 형태사항

        xxxiv, 372 p.; 27 cm.

      • 일반주기명

        별책부록으로 '남북한 의료제도의 통합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가 있음
        연구기관 : 대전대학교
        책임연구 : 윤창열
        공동연구 : 김선호, 조학준, 이승교
        참고문헌 : p.367-372
        북한의 보건정책과 고려의학정책. - 고려의학의 실상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제1장 서론 = 1
      • 제2장 선행연구 현황 = 4
      • 제3장 연구 수행내용 및 결과 = 7
      • 제1절 북한의 전반적인 의료제도에 관한 고찰 = 7
      • 목차
      • 제1장 서론 = 1
      • 제2장 선행연구 현황 = 4
      • 제3장 연구 수행내용 및 결과 = 7
      • 제1절 북한의 전반적인 의료제도에 관한 고찰 = 7
      • 1. 북한 보건의료의 발전과정 = 7
      • 가. '국영보건의료제도의 기반구축기(1945-1956년)' = 8
      • (1) 사회경제적 배경 = 8
      • (2) 보건의료정책 = 9
      • (가) 기본방침 = 9
      • (나) 보건의료 정책의 성격 = 10
      • (다) 주요 보건활동의 연도별 검토 = 10
      • 나. '사회주의 예방의학제도 정착기(1957-1970)' = 15
      • (1) 사회경제적 배경 = 15
      • (2) 보건의료정책 = 16
      • (가) 기본방침 = 16
      • (나) 보건 의료정책의 성격 = 17
      • (다) 주요 보건의료활동의 연도별 검토 = 17
      • 다. '주체적 인민보건제도 성숙기(1971-현재)' = 20
      • (1) 사회경제적 배경 = 20
      • (2) 보건의료정책 = 22
      • (가) 기본방침 = 22
      • (나) 보건의료 정책의 성격(주체의학화 및 근대화) = 23
      • (다) 주요 보건의료활동의 연도별 검토 = 24
      • 2. 북한 보건의료의 주요 정책 = 27
      • 가. 무상치료제 = 27
      • (1) 사회보험법에 의한 무상치료제의 실시 = 27
      • (2) 전반적인 무상치료제의 실시 = 28
      • (3) 완전하고 전반적인 무상치료제의 실시 = 28
      • 평가 = 29
      • 나. 의사담당구역제 = 30
      • 평가 = 32
      • 다. 예방의학의 중시 = 33
      • (1) 정연한 국가적 위생방역체계의 수립 = 34
      • (2) 대중위생선전사업의 강화 = 35
      • (3) 군중적인 위생방역운동의 조직적인 전개 = 37
      • 평가 = 38
      • 라. 주체적인 의학과학기술 발전정책 = 40
      • 평가 = 43
      • 3. 북한의 보건 행정조직 = 43
      • 가. 북한의 보건 행정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 입법, 행정조직 = 44
      • (1) 노동당 = 44
      • (2) 입법부 = 45
      • (3) 행정부 = 45
      • 나. 북한의 보건행정조직 = 46
      • (1) 보건행정기구 = 47
      • (가) 정무원 보건부 = 47
      • (나) 지방보건행정조직 = 49
      • (2) 위생방역기관의 조직 및 운영체계 = 51
      • (가) 위생방역체계 = 51
      • (나) 위생방역사업 = 52
      • (다) 의료전달체계 = 53
      • 4. 북한의 의학교육 기관 및 연구기관 현황 = 53
      • 가. 의학대학 = 54
      • 나. 약학대학 = 56
      • 다. 도 보건 간부학교 = 56
      • 라. 의학 연구기관 현황 = 58
      • (1) 의학과학원 = 59
      • 5. 북한의 의료시설 현황 = 62
      • 가. 보건시설의 종류 = 62
      • (1) 일반의료시설 = 62
      • (2) 특수병원 = 63
      • (3) 동의과 = 63
      • (4) 후생방역기관 = 64
      • (5) 기타 보건시설 = 64
      • 나. 병원의 조직 및 운영체계 = 69
      • (1) 도 의학대학병원 = 70
      • (2) 도 동의병원 = 72
      • (3) 시(지방시)인민병원 = 73
      • (4) 군인민병원 = 73
      • (5) 리 인민병원 = 74
      • 6. 남북한 의료제도의 비교 = 76
      • 가. 보건의료제도 발전과정의 비교 = 77
      • (1) 해방 후부터 1950년대 말까지 = 77
      • (2) 1960년대 = 78
      • (3) 1970년대 = 78
      • 나. 보건관계 법령 및 보건의료 행정조직 = 79
      • 다. 보건의료인력 = 80
      • 라. 보건의료시설 = 82
      • 마. 의료기술 = 83
      • 바. 보건수준 = 84
      • 제2절 북한의 고려의학에 대한 고찰 = 88
      • 1. 고려의학의 개황 = 88
      • 가. 고려의학의 정의 = 88
      • 나. 북한의 고려의학 발전을 위한 기본 방향 = 90
      • 다. 북한의 고려의학 행정조직 = 91
      • 라. 고려의학 발전을 위한 구체적 사례 = 91
      • 마. 북한의 고려의학교육과 양성기관 = 94
      • 바. 고려의학에 의한 진료업무 = 96
      • 사. 고려의학연구기관과 그 임무 = 99
      • (1) 연구소 = 100
      • (2) 연구부 = 103
      • (3) 고려의학연구부 = 103
      • (4) 부속병원 = 105
      • (가) 개황 = 105
      • (나) 조직 및 진료 상황 = 105
      • (다) 연구현황 = 108
      • 자. 고려약재의 생산과 공급 = 109
      • 차. 고려의학 의료기기의 발전과 그 생산 및 공급 = 113
      • 카. 기타 의학활동 = 114
      • 2. 조선노동당의 보건정책과 고려의학 = 115
      • 가. 개요 = 116
      • 나. 주체의학건설의 일환으로 파악 = 116
      • 다. 간략한 정책변천사 = 117
      • 라. 동의학과 현대의학의 배합 = 118
      • 마. 동의학의 과학화 = 121
      • 바. 동약 개발 = 122
      • 3. 동의학 발전에 대한 김일성의 교시 = 123
      • 가. 내용 = 124
      • 나. 의의 = 126
      • 4. 동의학의 발전역사 = 126
      • 가. 조선시대 이전 동의학의 발전역사 = 127
      • (1) 삼국시대 이전의 동의학 = 128
      • (2) 고려시대 동의학 = 129
      • (3) 조선시대 동의학 = 131
      • 나. 일제시대 동의학의 발전 = 135
      • 다. 해방후 동의학의 발전 = 136
      • (1) 6·25이전시기(45∼49) = 136
      • (2) 전후복구시기(53∼60년) = 138
      • (3) 7개년 계획시기(61∼70년) = 143
      • (4) 6개년 계획시기(71∼79년) = 145
      • (5) 80년 이후의 시기(1980∼현재) = 150
      • (6) 북한의 동의학 정책의 연도별 검토 = 152
      • 5. 북한에서 간행한 동의학 서적 = 152
      • 고려의학과학연구논문제목(1945∼1991년) = 203
      • 6. 북한에서 번역출판한 동의한 고전 = 247
      • 7. 북한의 음양오행(陰陽五行) 및 오운육기(五運六氣)에 대한 견해 = 257
      • 8. 북한의 사상의학(四象醫學) = 262
      • 9. 고려의학의 학문적 특정 및 특징적인 연구내용 소개 = 266
      • 가. 고려의분과의 그 내용 = 267
      • 나. 봉한학설 = 284
      • (1) 개요 = 285
      • (2) 제1논문 요약 = 286
      • (3) 제2논문 요약 = 289
      • (4) 제3논문 요약 = 291
      • (5) 제4논문 요약 = 293
      • (6) 제5논문 요약 = 295
      • 다. 북한에서 사용하는 특이한 치료법 = 295
      • (1) 뜸요법 = 295
      • (2) 부항요법 = 296
      • (3) 감탕찜질 = 297
      • (4) 결찰법 = 297
      • (5) 곤법 = 297
      • (6) 저항운동법 = 298
      • (7) 할치요법 = 298
      • (8) 오징어뼈 마찰술 = 298
      • (9) 침발투출술 = 299
      • 라. 난치나이치료법 = 299
      • (1) 난치나이치료법의 개념 = 300
      • (2) 난치나이치료법의 수단과 이용 = 300
      • (가) 치료수단 = 300
      • (나) 부항단지의 이용 = 301
      • (3) 난치나이치료법 = 301
      • (가) 난치나이치료 준비 = 301
      • (나) 치료부위 = 302
      • (다) 치료조작법 = 302
      • (라) 부항을 붙일 때의 음압 조성(진공도) = 303
      • (마) 부항을 붙이는 시간 = 303
      • (바) 붙이는 부항단지의 개수 = 303
      • (사) 치료 횟수 = 304
      • (아) 난치나이치료의 보사법 = 304
      • (자) 주사부항과 맨 부항 = 304
      • (차) 국소요법과 전신요법 = 304
      • (카) 난치나이치료반응 = 306
      • (타) 난치나이치료의 표준조작법 = 306
      • (4) 난치나이치료법의 적응증과 및 금기증 = 307
      • (가) 난치나이치료법의 적응증 = 307
      • (나) 난치나이치료법의 금기증 = 308
      • (5) 난치나이주사약 제법 = 308
      • 마. 자연치료법 = 309
      • 10. 북한의 주요 고려의학자 소개 = 320
      • 11. 북한의 고려의학과 남한의 한의학(韓醫學) 비교 = 333
      • 가. 고려의학과 한의학(韓醫學)의 실태비교 = 333
      • 나. 고려의학과 한의학(韓醫學)의 차잇점 = 339
      • 제3절 남북한 의료제도의 통합 방안 = 343
      • 1. 남북한 의료 통합의 제도적 정책적 접근 = 343
      • 가. 북한 보건의료의 현주소 = 343
      • 나. 남북한 의료체계의 통일원칙 = 344
      • 다. 남북한의료제도의 동질성 회복과 이질성 극복을 위한 방안 = 346
      • (1) 동질성 확대 정책수단 = 347
      • (가) 남북보건의료인 교류촉진정책 = 347
      • (나) 북녘을 향한 애향심운동 전개 = 347
      • (다) 한의학(韓醫學)의 세계화 = 348
      • (라) 교육훈련 지원정책 = 349
      • (마) 남북 진료협력체계의 수립 = 349
      • (바) 보건학 및 의학정보의 교류 및 남북공동연구의 지원 = 350
      • (2) 이질성 극복 정책수단 = 350
      • (가) 보건의료인 면허 및 자격제도의 도입 = 350
      • (나) 무상치료제의 축소적용 = 350
      • (다) 보건의료서비스 전달체계 확립 = 351
      • 2. 한의학(韓醫學)과 고려의학의 통합 방안 = 352
      • 가. 고려의학과 한의학(韓醫學) 통합의 원칙 = 352
      • (1) 인적교류분야 = 352
      • (2) 물적교류분야 = 353
      • (3) 기술교류분야 = 353
      • (4) 의학정보의 교류 = 353
      • 나. 동의학과 한의학(韓醫學) 교류를 위한 제언 = 355
      • (1) 인적교류 = 355
      • (2) 물적교류 = 356
      • (3) 학술세미나 및 공동연구 시행 = 356
      • (4) 한국한의학(韓醫學)연구원과 북한 고려의학과학원의 상호 인적·물적교류 시행 = 357
      • 제4장 요약 및 결론 = 359
      • 제5장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 366
      • 참고문헌 = 367
      • 남한측 참고문헌 = 367
      • 북한측 참고문헌 = 36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