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일반고의 교사 행복지수 비교 = A Comparative analysis study on the Happiness index of teacher in Vocational high school, Meister high school, and General high schoo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645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establishing teacher policies to increase the happiness of teachers by high school type. The research problem for this is to analyze the happiness index of high school teachers and the difference in the happiness index of teachers by high school type. The questionnaire was used as a research tool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review by five experts. The survey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online to specialized high school, Meister High School, and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and 553 copies collected were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happiness index of high school teachers was 74.79 points, and the happiness index of high school teachers reflecting the weight was 75.68 points on average. Second, Meister High School had the highest happiness index of teachers by high school type with 75.54 points, followed by 73.00 points for general high school and 71.58 points for specialized high school, which is judged to be relatively less happy. In addi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differences by area,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oal-seeking and growth efforts, belonging and contribution areas, teaching conditions, growth support, cooperative school culture, autonomous school culture, and stability and protection area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establishing teacher policies to increase the happiness of teachers by high school type. The research problem for this is to analyze the happiness index of high school teachers and the 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establishing teacher policies to increase the happiness of teachers by high school type. The research problem for this is to analyze the happiness index of high school teachers and the difference in the happiness index of teachers by high school type. The questionnaire was used as a research tool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review by five experts. The survey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online to specialized high school, Meister High School, and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and 553 copies collected were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happiness index of high school teachers was 74.79 points, and the happiness index of high school teachers reflecting the weight was 75.68 points on average. Second, Meister High School had the highest happiness index of teachers by high school type with 75.54 points, followed by 73.00 points for general high school and 71.58 points for specialized high school, which is judged to be relatively less happy. In addi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differences by area,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oal-seeking and growth efforts, belonging and contribution areas, teaching conditions, growth support, cooperative school culture, autonomous school culture, and stability and protection area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유형별 교사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교사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고등학교 교사 행복지수 분석, 고등학교 유형별 교사 행복지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한 조사 도구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설문지는 문헌 연구 및 5명의 전문가 검토를 통하여 개발하였다. 설문 조사는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일반고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배부 및 수집하였고, 수집된 553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교사의 일반 행복지수는 74.79점이고, 가중치를 반영한 고등학교 교사 행복지수는 평균 75.68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교 유형별 교사의 일반 행복지수는 마이스터고가 75.54점으로 가장 높았고, 일반고가 73.00점, 특성화고가 71.58점으로 확인되어 상대적으로 특성화고 교사가 행복감을 덜 느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영역별 차이검증을 통해 확인한 결과 교사 개인 요인 중 목표추구 및 성장노력, 소속감 및 기여도 영역, 교사 환경 요인 중 수업여건, 성장지원, 협력적 학교문화, 자율적 학교문화, 교권의 안정과 보호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유형별 교사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교사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고등학교 교사 행복지수 분석, 고등학교 유...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유형별 교사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교사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고등학교 교사 행복지수 분석, 고등학교 유형별 교사 행복지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한 조사 도구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설문지는 문헌 연구 및 5명의 전문가 검토를 통하여 개발하였다. 설문 조사는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일반고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배부 및 수집하였고, 수집된 553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교사의 일반 행복지수는 74.79점이고, 가중치를 반영한 고등학교 교사 행복지수는 평균 75.68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교 유형별 교사의 일반 행복지수는 마이스터고가 75.54점으로 가장 높았고, 일반고가 73.00점, 특성화고가 71.58점으로 확인되어 상대적으로 특성화고 교사가 행복감을 덜 느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영역별 차이검증을 통해 확인한 결과 교사 개인 요인 중 목표추구 및 성장노력, 소속감 및 기여도 영역, 교사 환경 요인 중 수업여건, 성장지원, 협력적 학교문화, 자율적 학교문화, 교권의 안정과 보호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영안, "행복의 조건 - 레비나스와 더불어 ‘행복’을 생각함" 한국현상학회 (66) : 1-25, 2015

      2 Noddings, N, "행복과 교육" 학이당 2008

      3 김명소 ; 한영석, "한국인의 행복지수 공식 개발" 한국조사연구학회 7 (7): 1-38, 2006

      4 김창환, "한국의 교육지표・지수 개발 연구(Ⅱ): 학생역량지수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3

      5 김종백 ; 김태은, "학교행복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259-279, 2008

      6 이찬주, "특성화고 교육과정 등의 개선을 위한 학생 설문조사" 국회사무처, 안동대학교 2021

      7 박인서, "초임 체육교사의 교직 생활에 대한 행복 담론" 교육연구소 25 (25): 509-528, 2019

      8 남기윤, "초등교사 직무기준 개발 및 적용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8

      9 박철웅, "지속가능한 학교발전의 관점에서 본 교사 행복의 가치" 교원대학교 2020

      10 이찬주 ; 이병욱, "중등단계 공업계열 직업교육기관 교사의 직무 인식" 대한공업교육학회 42 (42): 30-52, 2017

      1 강영안, "행복의 조건 - 레비나스와 더불어 ‘행복’을 생각함" 한국현상학회 (66) : 1-25, 2015

      2 Noddings, N, "행복과 교육" 학이당 2008

      3 김명소 ; 한영석, "한국인의 행복지수 공식 개발" 한국조사연구학회 7 (7): 1-38, 2006

      4 김창환, "한국의 교육지표・지수 개발 연구(Ⅱ): 학생역량지수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3

      5 김종백 ; 김태은, "학교행복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259-279, 2008

      6 이찬주, "특성화고 교육과정 등의 개선을 위한 학생 설문조사" 국회사무처, 안동대학교 2021

      7 박인서, "초임 체육교사의 교직 생활에 대한 행복 담론" 교육연구소 25 (25): 509-528, 2019

      8 남기윤, "초등교사 직무기준 개발 및 적용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8

      9 박철웅, "지속가능한 학교발전의 관점에서 본 교사 행복의 가치" 교원대학교 2020

      10 이찬주 ; 이병욱, "중등단계 공업계열 직업교육기관 교사의 직무 인식" 대한공업교육학회 42 (42): 30-52, 2017

      11 이수진, "중등교사의 행복지수, 성격강점, 직무만족도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2 이경희, "중등교사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교사효능감, 학습지속성,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13 김영숙 ; 윤분하 ; 이금희 ; 조한익, "중등교사의 성격, 교사갈등,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소진의 구조적 관계" 한국건강심리학회 21 (21): 373-394, 2016

      14 김진실,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 분석 -2007년도 서울대학교 농생대 중등교육연수원 연수 참여자를 중심으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9 (39): 29-57, 2007

      15 김은영, "유치원 교사의 직무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6 한국교육개발원, "연도별 교육통계연보"

      17 장명희,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직무 수행기준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18 손아랑, "민간보육시설의 근무환경이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소진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8) : 81-101, 2009

      19 Aristotle, "니코마코스 윤리학" 길 2011

      20 허난설, "근거 이론을 활용한 초등교사 소진 및 대처 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2 (32): 73-101, 2015

      21 정미경, "교원양성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0

      22 조연갑 ; 함경애 ; 천성문, "교사의 행복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치료학회 8 (8): 19-38, 2016

      23 정광희, "교사의 교직행복지수 제고를 위한 일고찰: 선행연구를 통해 본한국교사의 실태와 헌신의 영향요인" 117-148, 2014

      24 김은주, "교사소진의 원인과 대안 모색" 한독교육학회 22 (22): 1-36, 2017

      25 정현주, "교사로 산다는 것 : 중학교 교사의 행복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6 허연구 ; 오윤주 ; 이찬주 ; 윤지영 ; 소준영, "교사 행복의 개념 및 구성 요인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소 27 (27): 59-84, 2021

      27 이찬주 ; 윤지영 ; 허연구 ; 오윤주 ; 소준영, "경기도 교사 행복지수 개발" 교육연구소 27 (27): 161-186, 2021

      28 허연구, "경기도 교사 행복지수 개발" 경기도교육연구원 2020

      29 文貞恩, "學校組織의 意思流通 類型과 敎師燒盡의 關係" 全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6

      30 박수정 ; CHENPENG, "‘교사가 행복한 학교’를 위한 초·중학교 교사의 요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49-67, 2017

      31 양선향, "PERMA 모델과 현실치료기법을 적용한 교사 행복증진 프로그램 개발" 계명대학교 2018

      32 Diener, E.,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34-43, 2000

      33 Gay, L. R, "Educational research: Competencies for analysis and applications" pearson Education 2006

      34 Barker, C., "Dilemmas in teaching happiness" 6 (6): 1-14, 2009

      35 전예원 ; 김진관 ; 최화영 ; 나승일, "4차 산업혁명 시대 중등직업교육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 구명"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9 (49): 95-120, 2017

      36 한국교원단체연합회, "2018년도 교권회복 및 교직상담 활동 실적 보고서"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2019

      37 경기도교육청, "2013 경기 학교 행복지수 결과 보고서" 경기도교육연구원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4-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9-13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 1.3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4 1.17 1.468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