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효소적 생물전환을 이용한 토종오가피와 가시오가피의 Eleutheroside B, E의 추출 함량 최적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868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효소적 생물전환을 이용하여 오가피의 생리 활성 물질인 eleutheroside B와 E의 추출 함량을 증대시키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효율적인 열수추출 공정을 위해 줄기 분말에 질량대...

      본 연구에서는 효소적 생물전환을 이용하여 오가피의 생리 활성 물질인 eleutheroside B와 E의 추출 함량을 증대시키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효율적인 열수추출 공정을 위해 줄기 분말에 질량대비 가수를 한 결과 14배 가수를 선정하였다. 이후 줄기 분말에 다양한 가수분해 효소를 이용하여 처리한 결과 유효성분의 용출량을 증가시키는 효소로 Novozyme 33095, Viscozyme L을 선정하였다. 효소처리 시간별로 유효성분의 용출량을 비교한 결과 eleutheroside B와 E의 용출량은 가시오가피 줄기에 Novozyme 33095로 3시간 처리하였을 경우 eleutheroside B의 용출량이 대조구 대비 약 13%가 증가하였고, eleutheroside E의 용출량은 대조구 대비 약 26%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효소처리 후 토종오가피와 가시오가피의 줄기의 효과적인 열수추출 조건을 확인해 본 결과 토종오가피를 121°C에서 15분 동안 추출하였을 때 eleutheroside B의 추출 함량은 기존 열수추출 공정대비 약 7%가 증가하였고, eleutheroside E의 추출 함량은 약 17%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가시오가피 줄기를 121°C에서 15분 동안 추출하였을 때 eleutheroside B의 추출 함량은 기존 열수추출 공정대비 약 25%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eleutheroside E의 추출 함량은 약 29%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optimized conditions for extraction of eleutherosides B and E from stem powder of Acanthopanax. To enhance eleutheroside B and E yields, Acanthopanax sessiliflorus Seeman and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im were pre-incubated with t...

      In this study, we optimized conditions for extraction of eleutherosides B and E from stem powder of Acanthopanax. To enhance eleutheroside B and E yields, Acanthopanax sessiliflorus Seeman and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im were pre-incubated with the following enzymes: Celluclast, Viscozyme L, Lactozyme, Lecitase, and Novozyme 33095. Treatment with Novozyme 33095, a commercial pectinase, for 3 h resulted in the highest yields of eleutherosides B and E from A. sessiliflorus and E. senticosus. Compared with extraction at 121°C for 120 min, at 121°C for 15 min after Novozyme 33095 pre-incubation increased eleutheroside B and E yields from A. sessiliflorus by 7% and 17%, respectively. In the case of E. senticosus, eleutheroside B and E yields increased by 25% and 29%, respective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성권, "홍삼·가시오가피·동충하초 혼합수엑스의 항당뇨작용" 한국생약학회 33 (33): 337-342, 2002

      2 김영현, "탐라오가피의 Eleutheroside B, E 및 β-Glucan 함량 분석 및 분석법 검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1419-1425, 2013

      3 이평화, "탄수화물 분해효소 처리에 의한 배 과피와 과심의 항산화 생리활성 증대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404-410, 2014

      4 이정윤, "적포도(MuscatBaileyA)주 발효 중 효소 처리에 의한 Phenol류 추출 및 색도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23 (23): 324-331, 2010

      5 임경란, "오가피 분획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한국생물공학회 23 (23): 329-334, 2008

      6 최재명, "오가피 부위별 50% 메탄올 추출액의 기능적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44 (44): 373-377, 2012

      7 김단비, "버섯균사체를 달리한 발효가시오가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한국식품과학회 46 (46): 205-212, 2014

      8 김영현, "가시오가피와 탐라오가피의 산지별 및 부위별 Eleutheroside B, E 및 β-Glucan 함량 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2082-2087, 2013

      9 박성혜, "가시오가피와 수종 한약자원 혼합 조성물이 고지방 식이에 있어 혈청 지질농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 21 (21): 210-217, 2008

      10 성미선, "가시오가피를 이용한 기능성 건강음료의 제조" 한국생명과학회 24 (24): 959-966, 2014

      1 고성권, "홍삼·가시오가피·동충하초 혼합수엑스의 항당뇨작용" 한국생약학회 33 (33): 337-342, 2002

      2 김영현, "탐라오가피의 Eleutheroside B, E 및 β-Glucan 함량 분석 및 분석법 검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1419-1425, 2013

      3 이평화, "탄수화물 분해효소 처리에 의한 배 과피와 과심의 항산화 생리활성 증대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404-410, 2014

      4 이정윤, "적포도(MuscatBaileyA)주 발효 중 효소 처리에 의한 Phenol류 추출 및 색도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23 (23): 324-331, 2010

      5 임경란, "오가피 분획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한국생물공학회 23 (23): 329-334, 2008

      6 최재명, "오가피 부위별 50% 메탄올 추출액의 기능적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44 (44): 373-377, 2012

      7 김단비, "버섯균사체를 달리한 발효가시오가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한국식품과학회 46 (46): 205-212, 2014

      8 김영현, "가시오가피와 탐라오가피의 산지별 및 부위별 Eleutheroside B, E 및 β-Glucan 함량 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2082-2087, 2013

      9 박성혜, "가시오가피와 수종 한약자원 혼합 조성물이 고지방 식이에 있어 혈청 지질농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 21 (21): 210-217, 2008

      10 성미선, "가시오가피를 이용한 기능성 건강음료의 제조" 한국생명과학회 24 (24): 959-966, 2014

      11 윤택준,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알코올 분해 및 항염증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 23 (23): 542-548, 2010

      12 허수진, "가시오가피 잎․뿌리․줄기․열매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21 (21): 1052-1059, 2011

      13 류혜숙, "가시오가피 물 추출물에 의한 마우스 비장세포 및 대식세포 활성의 항진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 28 (28): 253-257, 2015

      14 Szotomicki S., "The influence of active component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on cellular defence and physical fitness in man" 14 : 30-35, 2000

      15 Kim YH.,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ir major antioxidant compounds from Acanthopanax senticosus and A. koreanum" 20 : 13281-13295, 2015

      16 Brekhman II., "Pharmacological investigation of glycosides from Ginseng and Eleutherococcus" 32 : 46-51, 1969

      17 Brekhman II., "New substances of plant origin which increase nonspecific resistance" 9 : 419-430, 1969

      18 Jung HJ., "In vivo anti-inflammatory and antinociceptive effects of liriodendrin isolated from the stem bark of Acanthopanax senticosus" 69 : 610-616, 2003

      19 Hirata F.,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sesame lignan in humans" 122 : 135-136, 1996

      20 최영해, "HPLC-ESI/MS를 이용한 Eleutheroside B와 E의 정량" 한국생약학회 33 (33): 88-91, 2002

      21 Kim HJ., "Extract from Acanthopanax senticosus prevents LPS-induced monocytic cell adhesion via suppression of LFA-1 and Mac-1" 92 : 278-284, 2014

      22 Lee YS., "Effects of the water extract from the stem bark of Acanthopanax senticosus on hyperlipidemia in rats" 32 : 103-107, 2001

      23 Hwang JT., "Effect of heating condition on eleutheroside B, E content in hydrothermal extract of Eleutherococcus stem bark" Korea University 2006

      24 Choi JM.,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materials from domestic Acanthopanax sessilifloru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010

      25 Heinemann T., "Comparison of intestinal absorption of cholesterol with different plant sterols in man" 23 : 827-831, 1993

      26 Umeyama A., "Ciwujianosides D1 and C1 : powerful inhibitors of histamine release induced by anti-immunoglobulin E from rat peritoneal mast cells" 81 : 661-662, 1992

      27 Xiaodan Zhang, "Chemical constituents and their acetyl cholinesterase inhibi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from leaves of Acanthopanax henryi: potential complementary source against Alzheimer’s disease" 대한약학회 37 (37): 606-616, 2014

      28 박민경, "Cellulase와 Pectinase를 이용한 사과껍질 폴리페놀 추출 및 항산화 활성 평가"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535-540, 2009

      29 Jin ML., "Acanthopanax senticosus exerts neuroprotective effects through HO-1 signaling in hippocampal and microglial cells" 35 : 335-346, 2013

      30 Hahn DR., "A study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Acanthopanax koreanum Nakai and its pharmaco-biological activities" 29 : 357-361,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