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주름의 조형성을 이용한 디자인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10744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국민대학교, 200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 의상디자인 전공 , 2007.08

      • 발행연도

        2007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46.92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design study applied by the formativeness of pleats

      • 형태사항

        viii, 63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ld has performed great roles in the formation of clothes design sensation since the dawn of history. Which might be depend on a diversity of fold presentation and a technical development for fold processing. These effects led to induce the culture o...

      Fold has performed great roles in the formation of clothes design sensation since the dawn of history. Which might be depend on a diversity of fold presentation and a technical development for fold processing. These effects led to induce the culture of creative ability in fashion design and satisfied with the comsumer who demanded a high value added clothes with commercial value and an artist. Today, it may be an important element not only in textile design which modifies the surface of textile but also in fashion design. As recently new textile materials and advanced processing technology lead people to choose the fold textile more than ordinary textile, textile designer was in the spotlight as a new job. Therefore, the modern fashion shows a tendency of fold including both textile materials and processing technolog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folds and the method of fold process through literatures and to present some creative clothes proper to a new concept for formative characteristic of folds related with literature survey. For the accomplishment of this study, various fashion photograph album and journals were collected and a concrete work for fashion design was accomplished.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rom literature study:
      Firstly, a historical diverging point existed in the development of fold process; their matter and period was summarized as the compressing of heavy stone in ancient egypt, the starching of clothes in 16 century, the ironing in 19 century, and the advance of press machine in 20 century.
      Secondly, the beginning of pleats was accordion or knife style which was straight. But recent pleats were developed up to the type of naturally flexible waves or irregular form.
      Thirdly, there were continuity, movement, duality, bulkiness i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fold. As the fold lines were connected mutually, fold showed the characteristic of continuous and repetitive formation. Repetition induced the effect of visual direction and emotion. A dual effect of fold was intensified by movement or stop of human body. Its rise and fall expressed an effect of folding and spreading, light and shadow, cubic and volume. Each difference of them was variously shown by its formation change and shadow.
      Motives obtained from ammonites and streaming waters were taken as one of a new formative sensation. Dress of two piece and of one piece were respectively made for the their concreteness. With the design work, duplication of another sides was created by the folding and spreading of originally continuous sides produced a new type of images and formativeness. When chiffon lay one upon another in the process of fold, its clearness and opacity was occurred. The contrast effect made by their relations revealed the configuration of pleats better, the cubic effect could be also well expressive of the formativeness of fold.
      In summarizing, new approaches on the peculiar fold formation which is able to express aesthetics variously should be continued. Therefore, it was thought that a fashion designer have to develop new materials and process method of fold by using high technology and need to extend the diversity of design expression. Eventually, it will be rich in aesthetic sense of human being and affect on function, feeling, and outside appearance of clothes. This will contribute to manufacture a high-valued cloth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주름은 역사이래로 디자인 감각형성에 큰 역할을 하였다. 이것은 주름이 지닌 표현의 다양성과 주름가공기술의 발달에 의한 것이다. 이것의 효과는 의상 디자이너의 창의력을 함양시켰고 ...

      주름은 역사이래로 디자인 감각형성에 큰 역할을 하였다. 이것은 주름이 지닌 표현의 다양성과 주름가공기술의 발달에 의한 것이다. 이것의 효과는 의상 디자이너의 창의력을 함양시켰고 소비자에게는 고부가가 있는 상품성과 예술성의 의복욕구를 충족시켰다. 또한 주름은 복식 디자인뿐만 아니라 직물의 표면을 새롭게 변형시키는 직물 디자인에도 중요한 요소인데 최근 주름자체를 구상하는 디자이너까지 등장하게 되었다.
      지금까지의 주름연구는 부분적인 디테일로 국한되어 주로 주름의 미적 효과나 디자인적 특성, 주름 기법 및 특정 디자이너의 주름형상을 중심으로 해서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주름가공 기법에 관한 연구보고는 그다지 많지 않았다. 이런 점을 착안하여 저자는 주름가공의 역사적 발전 과정을 이론적 측면에서 고찰하였고 주름 가공 발달이 현대 패션에 미치는 영향과 거기에 나타난 주름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름의 조형적 특성과 가공 방법을 문헌적으로 조사하며 문헌조사의 결과에 근거한 적합한 창조적 의상디자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먼저, 문헌조사를 위하여 주름에 관련된 국내외 문헌과 1990이후 현재까지 파리 밀라노 뉴욕 도쿄 컬렉션(collection)과 오뜨 꾸뜨르 (haute couture collection)컬렉션에 수록된 사진집, 국내외 패션 정보지 등이 수집되었고, 의상디자인을 위해서 작품이 제작되었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름가공의 발전에는 역사적 분기점이 있었으며 고대 이집트시대의 중석법, 16C의 호촌법, 19C의 다리미, 20세기의 프레스기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둘째, 플리츠 가공은 간단한 아코디언 플리츠나 나이프 플리츠로 시작하여 나중에는 machine과 핸드의 조합 플리츠로 발전하였다. 초기는 직선적 형태이었으나 최근에는 직선적이고 규칙적인 모양이외에도 자연스런 유연함을 주는 물결무늬나 불규칙한 모양의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었다.
      셋째, 주름의 조형적 특성에는 연속성, 움직임, 이중성, 입체적 양감 등이 있었다. 주름은 선의 결합에 의해 생겨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연속적이며 반복적인 형태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주름의 반복성은 시각적으로는 방향성 효과와 정서적 감정을 유발하였다. 주름의 이중성 효과는 움직임과 정지상태, 접힘과 펼쳐짐, 빛과 그림자에 의해 강화되었다. 입체감과 볼륨감은 주름의 높고 낮음에 의해 생겼고 또한 주름의 높고 낮음의 차이는 계층적 조형 변화와 음영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되었다.
      앵무조개와 물의 흐름을 모티브로 한 조형미가 본 연구의 의상 디자인으로 제시되었으며, 작품 구성은 투피스, 원피스 각각 1벌로 하였다.
      작품제작을 통하여 첫째, 연속된 면의 접힘과 펼쳐짐에 의해 생성된 면의 중첩은 새로운 형태의 이미지와 조형성을 보여주었다. 둘째, 쉬폰을 이중으로 겹쳐 주름가공을 하면 투명과 불투명의 대조가 생겨서 플리츠의 형태를 더욱 드러나게 하였고, 또한 이것의 입체감과 부피감은 주름의 조형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주름의 독특한 조형감은 감성표현을 다양하게 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주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은 계속되어질 것이다. 그러므로 패션 디자이너들은 미래지향적인 첨단기술을 이용하여 새로운 소재나 가공 테크닉을 개발해야 하고 여러 종류의 플리츠를 만들어서 새로운 디자인 표현의 가능성을 확대시킬 필요성이 있다. 이것은 궁극적으로 디자인이 참신한 고부가 가치 제품 개발에 기여할 것이며 또한 인간의 미적 감각을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옷의 기능과 느낌 그리고 외관에 큰 변화를 주게 될 것을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1
      • 1.1 연구의 목적 = 1
      •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 2. 플리츠 가공의 발달 과정 = 4
      • 2.1 서양의 주름 = 4
      • 1. 서론 = 1
      • 1.1 연구의 목적 = 1
      •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 2. 플리츠 가공의 발달 과정 = 4
      • 2.1 서양의 주름 = 4
      • 2.2 동양의 주름 = 12
      • 3. 플리츠 가공 방법 = 19
      • 3.1 핸드 플리츠 가공 = 19
      • 3.2 머신 플리츠 가공 = 20
      • 4. 플리츠 가공 공정 = 22
      • 5. 플리츠 형태 = 23
      • 6. 현대 플리츠와 디자이너의 작품 = 26
      • 7. 플리츠의 조형성 = 34
      • 7.1 연속성 = 35
      • 7.2 움직임 = 35
      • 7.3 이중성 = 37
      • 7.4 형태감 = 38
      • 8. 작품 제작 = 46
      • 9. 결론 = 57
      • 참고문헌 = 59
      • ABSTRACT = 6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