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상북도 전문계 고등학교 발전방안 =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 in Gyeongsangbuk-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1427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경상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전문계 고등학교가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서 수행되었다. 첫째, 전문계 고등학교 ...

      이 연구의 목적은 경상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전문계 고등학교가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서 수행되었다. 첫째, 전문계 고등학교 관련 정책, 전문계 고등학교의 교육여건, 지역 산업여건 및 전망, 전문계 고등학교 진단, 교육수요자들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하였다. 둘째, 경상북도 전문계 고등학교의 내적, 외적 사항을 고려하여 발전방향을 설정하였다. 셋째, 경상북도에 소재한 전문계 고등학교 발전을 위한 기본방향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추진과제를 제시하고, 단위학교별, 계열별, 권역별 발전 전략, 행·재정적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경상북도 전문계 고등학교 발전을 위한 5대 기본방향, 15대 추진과제, 45대 세부추진과제를 수립하였다. 둘째, 경상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각 전문계 고등학교별로 전문화 및 특성화 영역, 발전 기본방향, 발전방안, 우선 해결과제, 지원 요청 사항을 포함한 단위학교 발전방안을 수립하였다. 셋째, 경상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전문계 고등학교의 계열의 SWOT분석을 실시하고, 계열발전방향, 발전과제 및 전략을 포함한 계열별 발전방안을 수립하였다. 넷째, 경상북도를 4개의 권역으로 구분하고 각 권역별 인구추이, 학교수, 학생수, 중점사업 및 산업발전계획 내용을 기초로 하여 권역에 따른 계열별 발전방향 및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전체 발전방안, 단위학교, 계열, 권역별 발전 방안이 잘 수행될 수 있도록 행·재정적인 지원 전략을 수립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uggest directions to promote vocational high schools in Gyeongsangbuk-do by adapting actively to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changes, and correspon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industrial demands. The 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uggest directions to promote vocational high schools in Gyeongsangbuk-do by adapting actively to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changes, and correspon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industrial demands.
      The study was performed as follows: (1) analyzing the external and internal surroundings of vocational high schools in Gyeongsangbuk-do such as related educational policies, conditions and prospects of regional industry, community member's notices and needs, educational conditions and self development plan of vocational high schools, (2) establishing the strategic criteria selected for promoting the vocational high schools by the results of the first, (3) based on the strategic criteria, establishing the basic directions for promoting the vocational high schools in Gyeongsangbuk-do and development strategies by schools, fields, and regions.
      The following five find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1) S basic directions, 15 themes, and 45 sub-themes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development were established. (2) Promoting plans for all 72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provided in terms of basic directions, development strategies, and specialization. (3) Promoting plans for vocational high school fields such as agricultural high school, technical high school, commercial high school, and home economics high school were presented. (4) Based on the industrial strategies in Gyeongsangbuk-do, promoting plans for four provinces were presented. (5) Administrational and financial strategies were suggested in order to support for promoting vocational high schools in Gyeongsangbuk-do.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연흥, "현 단계 직업교육정책의 주요 방향" 2007

      2 이용환, "한국형 농촌 고교 모델로서의 양평고등학교 발전 방안 연구" 양평고등학교 2006

      3 김진수, "충청북도 직업교육중장기 발전방안" 충청북도 교육청 2005

      4 정철영, "충청남도 지역실정에 부합하는 전문계 고등학교 육성방안" 충청남도 교육청 2006

      5 이용환, "춘천농공고등학교 발전 방안" 춘천농공고등학교 2008

      6 정철영, "직업교육의 발전을 위한 종합적 탐색. 서울대학교 제1기 직업교육 ceo과정"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중등교원연수원 2005

      7 부산광역시 교육청, "직업교육 활성화를 위한 실업계 고등학교 발전 종합 대책" 부산광역시 교육청 2001

      8 정철영, "중등직업교육의 과제와 발전방향: 전문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23-59, 2007

      9 김기홍, "제주도 실업계고교 운영체제 개편 및 발전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10 경북전략산업기획단, "제2차 경북산업진흥계획" 경상북도 도청 2006

      1 강연흥, "현 단계 직업교육정책의 주요 방향" 2007

      2 이용환, "한국형 농촌 고교 모델로서의 양평고등학교 발전 방안 연구" 양평고등학교 2006

      3 김진수, "충청북도 직업교육중장기 발전방안" 충청북도 교육청 2005

      4 정철영, "충청남도 지역실정에 부합하는 전문계 고등학교 육성방안" 충청남도 교육청 2006

      5 이용환, "춘천농공고등학교 발전 방안" 춘천농공고등학교 2008

      6 정철영, "직업교육의 발전을 위한 종합적 탐색. 서울대학교 제1기 직업교육 ceo과정"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중등교원연수원 2005

      7 부산광역시 교육청, "직업교육 활성화를 위한 실업계 고등학교 발전 종합 대책" 부산광역시 교육청 2001

      8 정철영, "중등직업교육의 과제와 발전방향: 전문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23-59, 2007

      9 김기홍, "제주도 실업계고교 운영체제 개편 및 발전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10 경북전략산업기획단, "제2차 경북산업진흥계획" 경상북도 도청 2006

      11 교육과학기술부 평생직업교육국, "전문계고 발전을 선도하는 한국형 마이스터고 육성계획(안)" 교육과학기술부 2008

      12 김기홍, "인천 실업계고교 직업교육 발전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13 울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울산광역시 실업계 고등학교 발전방안" 울산광역시 교육청 2002

      14 이용환, "여주자영농업고등학교 종합 진단 및 발전방안" 여주자영농업고등학교 2008

      15 신황호, "실업교육 발전을 위한 실천적 방안" 실업교육발전위원회 2001

      16 정철영, "실업계 고등학교의 성격 규정" 16 (16): 35-50, 1997

      17 강무섭, "실업계 고등학교 종합대책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0

      18 노상우, "실업계 고등학교 발전방안 연구-전라북도를 중심으로" 19 (19): 81-108, 2001

      19 옥준필, "실업계 고등학교 계열별 교육과정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20 경기도 교육청, "실업계 고등학교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기 직업교육 발전방안(안) (2006~2011)" 경기도교육청 2005

      21 서울특별시 교육청, "서울직업교육 발전 계획(안)" 서울특별시 교육청 2007

      22 이병욱, "산업 현장과 교육 현장 연계를 통한 교원 역량 강화 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23 김기홍, "부산광역시 실업계고교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24 이무근, "대구광역시 교육청 직업교육 종합발전방안(2007-2010)" 대구시 교육청 2007

      25 나승일, "광주광역시 전문계 고등학교 특성화 및 종합발전방안" 광주광역시 교육청 2007

      26 이용환, "고양고등학교 발전 방안" 고양고등학교 2007

      27 정철영, "경상북도 직업교육 종합발전방안(2008-2010)" 경상북도 교육청 2006

      28 경상북도, "경상북도 중장기 발전전략(초안)"

      29 정철영, "경상남도 직업교육 종합발전방안(2007-2009)" 경상남도 교육청 2006

      30 정철영, "강원도 실업계고교 종합발전방안(2006- 2008)" 강원도 교육청 2006

      31 Harkins, A.M., "The Future of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in a Continuous Innovation Society" National Dissemination Center for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2002

      32 최지희, "OECD 각국의 고교단계 직업교육 체제 혁신실태 비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

      33 Lynch, R.L., "New Directions for High School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ERIC Clearinghouse on Adult,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2000

      34 Castellano, M.,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reforms and comprehensive school reforms in high schools and community colleges: their impact on educational outcomes for at-risk youth" National Research Center for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2001

      35 전라남도교육청, "2007학년도 실업교육 추진 계획" 전라남도교육청 2007

      36 경상북도 교육청, "2007학년도 과학.산업교육 추진 계획" 경상북도 교육청 2007

      37 대전광역시 교육청, "2007년도 직업교육추진계획" 대전광역시 교육청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8-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05-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35 1.58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