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공보육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Program of Public Educa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0430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A Study on the Improvement Program of Public Educare By Sun-Yae Kim Major in Educare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Human Life Science Sung Kyun Kwan University Directed Professor Lee Yang-hui The child weifare secures their liveh...

      ABSTRACT

      A Study on the Improvement Program of
      Public Educare





      By Sun-Yae Kim
      Major in Educare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Human Life Science
      Sung Kyun Kwan University
      Directed Professor Lee Yang-hui



      The child weifare secures their livehood during living in facilities. they inpened on their parents in every things.

      Modern nation devise a scheme for child welfare policy, that it turns its attention to Public- care and Educare. However the reality of our country's child care and educare is one by one are and educare.

      In conclusion, child is future of country. Therefore child care and Education must take charge of nation and the society and the family together. In Particular the nation must endeavor more positively in public-care and Public Educare magnification. Namely, the support which is security and reality of revenue source is pivotal point of care and Educare.
      Our country zero infant nurture policy low income layer or. The policy for the woman, or the policy for a family welfare will know and to lead the next generation it is a policy for the children who are a hero who will go it does not forget must roll up. The nurture for the Child Welfare realization which is ultimate objective of nurture policy must become accomplished, the protection where all zero infant of our country is stabilized, the education which is appropriate it leads and it will be display a potential energy in order, the nation or the society must have a responsibility cerenmony, quality it will be able to provide high nurture service to the zero infants in order. the individual or the society, it means the nation must endeavor togeth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의 내용 3
      • 3. 연구의 문제점 4
      • II. 영유아 공보육의 이론적 고찰 5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의 내용 3
      • 3. 연구의 문제점 4
      • II. 영유아 공보육의 이론적 고찰 5
      • 1. 공보육의 개념 5
      • 2. 공보육의 필요성 7
      • 3. 영유아 보육의 공공성 9
      • 4. 영유아보육정책의 필요배경 10
      • 1) 저출산율 10
      • 2) 취업모의 증가 및 여성가치관의 변화 11
      • 3) 가족구조 및 기능의 변화 13
      • 4) 가족형태의 다양화 13
      • 5) 복지사회실현 및 공보육에 대한 요구증가 14
      • 6) 아동의 보충적․지지적 서비스증가 15
      • 5. 동반자적 보육정책 15
      • 1) 동반자적 보육정책의 의의 15
      • 2) 공보육정책의 쟁점 17
      • 6. 공보육과 보육정책 18
      • III. 외국의 보육정책 19
      • 1. 외국의 공보육제도 및 관련법규 19
      • 1)영국 19
      • (1) 영국의 보육제도 19
      • (2) 영국의 공보육정책 21
      • 2) 프랑스 22
      • (1) 프랑스의 보육제도 22
      • (2) 프랑스의 공보육정책 25
      • 3) 독일 27
      • (1) 독일의 보육제도 27
      • (2) 독일의 공보육정책 28
      • 4) 일본 31
      • (1) 일본의 보육제도 31
      • (2) 일본의 공보육정책 34
      • 2. 외국의 보육정책과 시사점 37
      • Ⅳ. 우리나라의 공보육정책 39
      • 1. 공보육정책의 현황 39
      • 1) 영유아 공보육사업의 발전 현황 39
      • 2) 우리나라 보육현황 40
      • 3) 보육시설 유형별 현황 41
      • 4) 영유아 육아지원시설 이용율 현황 43
      • 5) 보육시설이용 희망선호도 44
      • 6) 공보육예산현황 45
      • 7) 장애아보육현황 및 특수보육현황 47
      • 8) 보육시설종사자 현황 48
      • 2. 참여정부의 공보육정책 추진과제와 문제점 50
      • 1) 우리나라 공보육실현을 위한 추진과제와 문제점 50
      • 2) 부모의 육아부담 경감 추진과제와 문제점 54
      • 3) 다양한보육서비스제공과 문제점 57
      • 4) 아동중심의 보육환경조성과 문제점 59
      • 5) 보육시설종사자의 열악한 처우와 신분 불안정문제 60
      • 6) 보육서비스관리 체계강화와 문제점 66
      • 7) 이원화된 유아교육정책과 문제점 68
      • V. 공보육확대를 위한 개선방안 71
      • 1. 출산․양육에 대한 친사회적환경 조성 71
      • 1) 출산․양육에 대한 사회적책임 전환 71
      • 2) 가족친화, 양성평등문화조성 72
      • 2. 현실에 맞는 육아지원 인프라확충 73
      • 1) 공보육시설의 확대 73
      • 2) 민간보육시설의 개선 75
      • 3) 보육시설의 지역격차 해소 76
      • 3. 공보육에 대한 지원정책 77
      • 1) 다양한 보육서비스의 제공 77
      • 2) 자녀양육 가정의 경제적 부담경감 78
      • 3) 보육아동 부모에 대한 서비스 79
      • 4) 공보육서비스의 개선 79
      • 4. 보육담당인력 개선 80
      • 1) 보육교사의 처우개선 80
      • 2) 공보육행정공무원의 지원과 확대 81
      • VI. 결론 및 제언 83
      • 참고문헌 87
      • ABSTRACT 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