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solves the meaning of ‘movement-in-stillness 靜中動’, a characteristic of Korean traditional dance, based of Wang ‘Yangming’s 王陽明’ concept of ‘movement-stillness 動靜’, which opened the horizon of psychology. The or...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olves the meaning of ‘movement-in-stillness 靜中動’, a characteristic of Korean traditional dance, based of Wang ‘Yangming’s 王陽明’ concept of ‘movement-stillness 動靜’, which opened the horizon of psychology. The or...
This study solves the meaning of ‘movement-in-stillness 靜中動’, a characteristic of Korean traditional dance, based of Wang ‘Yangming’s 王陽明’ concept of ‘movement-stillness 動靜’, which opened the horizon of psychology. The origin of the word of ‘movement-in-stillness’ was searched, and the meaning was explored based on the concept of Yangming’s ‘movement-stillness’ and ‘Do, which does once yin and once yang [一陰一陽之謂道]’, which has same context with. As a result, the concept of ‘movement-in-stillness’ was summarized as the level of Vital Creating of tone and atmosphere that was ‘Coincidental Oppositorum 待 對的’ ‘complementarity 相反應合’.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tried to explain the meaning of ‘movement-in-stillness’ in Korean traditional dance based on ‘movement-stillness’ in Yangming philosophy. In particular, the meaning of ‘in 中’ from ‘movement-in-stillness’ was identified as ‘a concept that allows the balance to be maintained even if it is biased to one side’, and a different standpoint was presented in ‘movement-in-stillness’.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전통춤의 특징 중 하나로 강조되는 ‘정중동(靜中動)’을 마음학의 지평을 연 왕양명(王陽明)의 ‘동정(動靜)’ 개념을 바탕으로 탐구한 것이다. ‘정중동’이라는 개념의 기...
본 논문은 한국전통춤의 특징 중 하나로 강조되는 ‘정중동(靜中動)’을 마음학의 지평을 연 왕양명(王陽明)의 ‘동정(動靜)’ 개념을 바탕으로 탐구한 것이다. ‘정중동’이라는 개념의 기원을 찾아보고, ‘동정’ 개념과 그 맥을 같이하는 ‘일음일양지위도(一陰一陽之謂 道)’의 지평에서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대적(待對的) 상반응합(相反應合) 하며 기운생동(氣韻生動) 하는 경지로 ‘정중동’의 의미를 드러낼 수 있었다.
이글은 처음으로 한국전통춤의 ‘정중동’을 양명 철학에서의 ‘동정’ 개념을 바탕으로 설명하고자 했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특히 ‘정중동’에서 ‘중’을 ‘한쪽으로 치우치더라도 팽팽한 균형을 유지하도록 해주는 개념’으로 강조하며, 기존과는 다른 시각을 제시 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성기숙, "호남춤의 명인 이매방 연구" 한국무용연구학회 27 : 2009
2 백현순 ; 이예순 ; 김현남 ; 진주라, "한국춤의 정중동(靜中動)과 신명" 한국무용연구학회 28 (28): 41-60, 2010
3 김지원, "한국춤의 미와 의미에 관한 기호론적 고찰 - 그레마스 기호사각형을 중심으로 -" 우리춤연구소 16 (16): 35-56, 2020
4 정병호, "한국춤" 열화당 1985
5 성경린, "한국전통무용" 일지사 1979
6 고승희, "한국무용이 가진 ‘정중동의 미학’이 살아났다"
7 정병호, "한국무용의 미학" 집문당 2004
8 "한국고전종합DB"
9 신정근, "중용-극단의 시대를 넘어 균형의 시대로" 사계절 2010
10 장언원, "중국화론선집" 도서출판 미술문화 2002
1 성기숙, "호남춤의 명인 이매방 연구" 한국무용연구학회 27 : 2009
2 백현순 ; 이예순 ; 김현남 ; 진주라, "한국춤의 정중동(靜中動)과 신명" 한국무용연구학회 28 (28): 41-60, 2010
3 김지원, "한국춤의 미와 의미에 관한 기호론적 고찰 - 그레마스 기호사각형을 중심으로 -" 우리춤연구소 16 (16): 35-56, 2020
4 정병호, "한국춤" 열화당 1985
5 성경린, "한국전통무용" 일지사 1979
6 고승희, "한국무용이 가진 ‘정중동의 미학’이 살아났다"
7 정병호, "한국무용의 미학" 집문당 2004
8 "한국고전종합DB"
9 신정근, "중용-극단의 시대를 넘어 균형의 시대로" 사계절 2010
10 장언원, "중국화론선집" 도서출판 미술문화 2002
11 장 재, "정몽" 책세상 2019
12 왕양명, "전습록 1‧2" 청계 2007
13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정중동의 미학: 한국 현대 춤 그림 展> 개최"
14 최필우, "유력후보 롯데, PI 첨단소재 인수전 정중동 행보"
15 김미영, "왕양명의 ‘양지(良知)’와 길버트 라일의 ‘Intelligence’를 바탕으로 한 ‘마음이 고와야 춤이 곱다’라는 한국전통춤 테제 해석" 인문예술학회 (11) : 419-440, 2021
16 김미영, "예술가의 아틀리에" 문사철 2021
17 陳 來, "양명철학" 예문서원 2009
18 왕궈웨이, "세상의 노래비평" 소명출판 2004
19 정용욱, "서울 부동산 시장 ‘정중동’ … 3주 연속 보합 속 핵심지 상승 ‘지속"
20 우철희, "박범계 오늘은 침묵 지키겠다. 정중동 할 것"
21 심 괄, "몽계필담 상" 범우사 2003
22 다리아 할프린, "동작중심 표현예술치료-움직임, 은유 그리고 의미의 세계" 시그마프레스 2006
23 리빙하이, "동아시아 미학" 도서출판 동아시아 2010
24 김동엽, "남북관계의 정중동‧동중정"
25 임혜현, "금융규제 촉각 … 증권 정중동, 가상자산 봄바람"
26 김정규, "게슈탈트 심리치료" 학지사 2015
27 "通書"
28 "農巖集"
29 김미영, "王陽明의 心學 이론으로 본 한국전통춤의 私欲과 天理體認+" 무용역사기록학회 48 : 27-47, 2018
30 김윤경, "王陽明의 動靜觀 硏究" 한국양명학회 2009
31 한정길, "王陽明의 ‘未發’觀과 良知體用論" 한국양명학회 (23) : 5-40, 2009
32 "漢語大詞典"
33 권석환, "氣韻生動과 그 예술정신에 대한 고찰" 한국중문학회 15 : 1997
34 "大山集"
35 정연수, "動靜 問題에 관한 朱子의 思想的 特性" 동양철학연구회 (55) : 397-427, 2008
36 "全書"
37 박민경, "作法舞의 美的 分析" 한국불교학회 (59) : 323-361, 2011
38 溝口雄三, "中國思想文化事典" 민족문화문고 2003
독서 교육 현장에서 나혜석 소설 『경희』깊이 읽기: 나혜석의 ‘미술작품’ 활용과 ‘질문 만들기’ 활동을 중심으로
단재 신채호의 리더정신(leaderspirit) 연구 I: 셀프리더십을 중심으로
메타버스(Metaverse) 아바타(Avatar) 측면에서 본 『노자(老子)』의 양신(陽神)
『한정우기(閑情偶寄)』 중 조원(造園)공간의 생태미(生態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