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춘천분지를 중심으로 북한강과 소양강 일원의 미사리유형 취락의 단계별 변천양상과이들의 입지 변화 원인을 검토하였다. 북한강유역에서 돌대문토기는 3단계의 변화를 보이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328429
202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33(3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춘천분지를 중심으로 북한강과 소양강 일원의 미사리유형 취락의 단계별 변천양상과이들의 입지 변화 원인을 검토하였다. 북한강유역에서 돌대문토기는 3단계의 변화를 보이고...
본고에서는 춘천분지를 중심으로 북한강과 소양강 일원의 미사리유형 취락의 단계별 변천양상과이들의 입지 변화 원인을 검토하였다. 북한강유역에서 돌대문토기는 3단계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약3,100 BP를 기점으로 등장과 발전, 쇠퇴의 시간적 변화를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변화의 모습은 입지에서도 확인된다.
북한강 유역 미사리유형 취락의 1단계에는 천전리 일원과 중도동 남서쪽에 미사리유형 주거가 처음으로 조성되는데, 중(대)형의 장방형 주거지와 소형 방형 주거지 등이 분산되어 분포하는 등 소규모취락의 형태로 나타난다. 2단계에는 1단계에 축조된 세대공동체의 공동주거형인 중(대)형의 장방형주거지와 소형 방형 주거지의 축조 숫자가 증가한다. 중도유적에서는 B1구역과 D1구역에 먼저 주거군이 형성되고, 점차적으로 동쪽(E1) 구역과 북쪽(D2ㆍ3구역)으로 확장되며, 기타 취락 등지에서도주거군의 밀집도가 넓게 분포하는 등, 여러 지역으로의 대규모 취락 형태로 조성된다. 3단계에 들어서면 취락의 규모가 축소되면서 중도지역에서는 남서쪽 일부지역으로 주거가 축조되고, 인접한 금산리ㆍ현암리나 근화동 지역으로 취락의 축조가 옮겨가는 현상이 확인된다.
이러한 돌대문토기 단계의 변화는 입지와 같이 하는데, 이의 구체적 원인은 기후 변화와 궤를 같이하고 있다. 즉 청동기시대 들어서 지역적 기후 변화가 진행되면서 춘천분지의 지형경관도 바뀌게 되었고, 이는 취락의 입지 변화와 같이 나타나게 되었다. 춘천분지라는 평탄한 대지에 축조된 미사리유형취락은 처음 등장한 1단계에는 하천의 접근에 용이한 지역, 특히 북한강과 소양강의 평형천 부근에 인접하여 주로 입지한다. 이후 기온 상승에 따른 하천유량의 증가로 인해 하천의 접근에 용이한 다양한지형으로 입지의 변화를 보이고, 3단계에 들어서면서 하강하는 기온으로 인해 미사리유형 취락은 북한강과 소양강의 평형천 근처 지형으로 다시 이동하게 되지만, 북한강 중상류지역의 좀 더 안정된 지형에 집중한다. 3단계 미사리유형 취락의 입지는 1단계의 지형입지로 경관과 유사해지면서 취락 또한 원장소를 점유하려 하지만, 이 시기에는 북한강 유역으로 역삼동유형 취락이 등장하게 되면서 우두동과천전리 일원의 단구지형과 중도동의 하중도 지형은 더이상 접근이 어려워지게 되었다. 이후 춘천 분지지역은 청동기시대 전기와 중기의 취락지로 새롭게 입지적 개편이 진행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권중, "嶺西地域 靑銅器時代 文化 硏究" 嶺南大學校 大學院 2020
2 이희진, "환경결정주의의 재고와 인간과 환경 간 복합적 상호관계의 이해" 한국고대학회 (45) : 151-175, 2015
3 한백문화재연구원, "화천 거례리 유적" 2013
4 박정재, "홀로세 단기 한랭화의 동인과 한반도 고대 사회에 미친 영향" 국토지리학회 53 (53): 407-414, 2019
5 이홍종, "행정중심복합도시 평야지역 내 고지형 및 유적분포 예측조사 보고서" 한국고고환경연구소 2006
6 이광률, "한국의 하안단구 연구" 한국지형학회 18 (18): 17-33, 2011
7 예맥문화재연구원, "춘천 현암리 유적" 2011
8 국토문화재연구원, "춘천 천전리 121-23번지 유적" 2019
9 민족문화유산연구원, "춘천 천전리 121-17번지 단독주택 신축부지; 소규모 국비지원 정밀발굴조사 자문회의 자료"
10 한림대학교박물관, "춘천 천전리 121-16번지 유적" 2008
1 김권중, "嶺西地域 靑銅器時代 文化 硏究" 嶺南大學校 大學院 2020
2 이희진, "환경결정주의의 재고와 인간과 환경 간 복합적 상호관계의 이해" 한국고대학회 (45) : 151-175, 2015
3 한백문화재연구원, "화천 거례리 유적" 2013
4 박정재, "홀로세 단기 한랭화의 동인과 한반도 고대 사회에 미친 영향" 국토지리학회 53 (53): 407-414, 2019
5 이홍종, "행정중심복합도시 평야지역 내 고지형 및 유적분포 예측조사 보고서" 한국고고환경연구소 2006
6 이광률, "한국의 하안단구 연구" 한국지형학회 18 (18): 17-33, 2011
7 예맥문화재연구원, "춘천 현암리 유적" 2011
8 국토문화재연구원, "춘천 천전리 121-23번지 유적" 2019
9 민족문화유산연구원, "춘천 천전리 121-17번지 단독주택 신축부지; 소규모 국비지원 정밀발굴조사 자문회의 자료"
10 한림대학교박물관, "춘천 천전리 121-16번지 유적" 2008
11 강원문화재연구소, "춘천 중도동유적- 4대강 살리기사업 춘천 중도동 하중도 D-E지구 문화재 발굴조사보고서" 2013
12 김권중, "춘천 중도동유적 청동기시대 분묘" 2020
13 박영구, "춘천 중도동유적 돌대문토기 단계 주거와 취락양상" 호서고고학회 (51) : 68-94, 2022
14 국강고고학연구소, "춘천 신북읍 율문리(84-1번지) 군부대 계류장포장 및 정비고 신축공사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2021
15 예맥문화재연구원, "춘천 신매리유적Ⅲ" 2020
16 홍주희, "춘천 신매리 일원의 유적 집성" 중부고고학회 2021
17 한림대학교박물관, "춘천 북한강수계 기존제방 보강공사구간(신매제1제)내 유적 내 발굴조사 보고서" 2012
18 강원문화재연구소, "춘천 근화동 786-1번지 유적" 2017
19 이홍종 ; 김상훈,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주거유적의 유형과 지형환경" 한국신석기학회 (42) : 71-103, 2021
20 김경환, "영남지방을 중심으로 한 제4기의 기후변화가 지형발달에 끼친 영향" 기후연구소 5 (5): 78-90, 2010
21 김성중, "신생대 제4기 말기의 기후변동과 원인에 대한 고찰" 대한지질학회 44 (44): 63-80, 2008
22 정유진, "남한지역 돌대문토기의 전개과정" 충남대학교대학원 2021
23 김범철, "남한 신석기-청동기시대 이행에 대한 맥락적 이해" 한국신석기학회 (41) : 1-23, 2021
24 국토해양부, "기후변화와 물" IPCC 2009
25 배덕효, "기후변화가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과 과제" 국토연구원 328 : 2009
26 정일원 ; 장희준 ; 배덕효, "기후변동에 대한 한국 하천유량의 탄력성" 한국수자원학회 43 (43): 851-864, 2010
27 천선행, "고김해만을 둘러싼 해수면변동 재고" 부산고고학회 (6) : 25-54, 2010
28 김범철, "韓國 先史時代 生計(經濟)戰略의 時·空間的 變異와 氣候" 호서고고학회 (44) : 32-53, 2019
29 김재윤, "韓半島 刻目突帶文土器의 編年과 系譜" 한국상고사학회 46 (46): 31-70, 2004
30 예맥문화재연구원, "華川 居禮里遺蹟" 2013
31 강원고고문화연구원, "華川 居禮里 遺蹟" 2013
32 강원문화재연구소, "華川 居禮里 遺蹟" 2013
33 예맥문화재연구원, "華川 原川里遺蹟" 2013
34 박영구, "江原嶺西地域 靑銅器時代 聚落의 展開樣相" 숭실사학회 (36) : 49-86, 2016
35 강원문화재연구소, "春川 錦山里遺蹟" 2011
36 예맥문화재연구원, "春川 泉田里遺蹟Ⅰ" 2018
37 춘천 중도동유적 연합발굴조사단, "春川 中島洞遺蹟" 2020
漢江 下流域 청동기시대 전기 住居의 變異 이해 - 金浦ㆍ仁川지역 유적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