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정례수술이 예정된 환자에서 microemulsion propofol의 유효성, 약동학 및 안전성 평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6139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safety and pharmacokinetics of Aquafol (Daewon Pharmaceutical Co., Ltd., Seoul, Korea).
      Methods: In total, 288 patients were randomized to receive 1% Aquafol or 1% Diprivan (AstraZeneca, London, United Kingdom). A total of 30 mg propofol was administered intravenously over 2 s. Injection pain of moderate to severe intensity was assessed using a visual analog scale (VAS > 30 mm). Subsequently, an intravenous bolus of propofol 2 mg/kg (minus 30 mg) was administered. Anesthesia was maintained with variable rate infusion of propofol and target effect-site concentration-controlled infusion of remifentanil. Times to loss of consciousness (LOC), recovery of consciousness (ROC) and orientation were recorded. Pharmacokinetic analyses were performed. Adverse events and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PONV) were evaluated.
      Results: Time to LOC with Aquafol was equivalent to that with Diprivan (median: 21 vs 18 s, 95% CI of difference: 0 - 6 s), whereas time to ROC with Aquafol was slightly prolonged but within clinically acceptable ranges (median: 12.3 vs. 10.8 min, respectively). Three-compartment models best described the pharmacokinetics of both formulations. Aquafol did not increase serum triglyceride level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cidence rates of adverse events including PONV between the two formulations. Aquafol (vs. Diprivan) caused more severe (median VAS for pain on injection: 72.0 vs. 11.5 mm) and frequent (81.9% vs. 29.2%) injection pain.
      Conclusions: Aquafol showed similar effectiveness, pharmacokinetics and safety compared to Diprivan , but caused more severe and frequent injection -associated pain.
      번역하기

      Background: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safety and pharmacokinetics of Aquafol (Daewon Pharmaceutical Co., Ltd., Seoul, Korea). Methods: In total, 288 patients were randomized to receive 1% Aquafol or 1% Diprivan (As...

      Background: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safety and pharmacokinetics of Aquafol (Daewon Pharmaceutical Co., Ltd., Seoul, Korea).
      Methods: In total, 288 patients were randomized to receive 1% Aquafol or 1% Diprivan (AstraZeneca, London, United Kingdom). A total of 30 mg propofol was administered intravenously over 2 s. Injection pain of moderate to severe intensity was assessed using a visual analog scale (VAS > 30 mm). Subsequently, an intravenous bolus of propofol 2 mg/kg (minus 30 mg) was administered. Anesthesia was maintained with variable rate infusion of propofol and target effect-site concentration-controlled infusion of remifentanil. Times to loss of consciousness (LOC), recovery of consciousness (ROC) and orientation were recorded. Pharmacokinetic analyses were performed. Adverse events and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PONV) were evaluated.
      Results: Time to LOC with Aquafol was equivalent to that with Diprivan (median: 21 vs 18 s, 95% CI of difference: 0 - 6 s), whereas time to ROC with Aquafol was slightly prolonged but within clinically acceptable ranges (median: 12.3 vs. 10.8 min, respectively). Three-compartment models best described the pharmacokinetics of both formulations. Aquafol did not increase serum triglyceride level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cidence rates of adverse events including PONV between the two formulations. Aquafol (vs. Diprivan) caused more severe (median VAS for pain on injection: 72.0 vs. 11.5 mm) and frequent (81.9% vs. 29.2%) injection pain.
      Conclusions: Aquafol showed similar effectiveness, pharmacokinetics and safety compared to Diprivan , but caused more severe and frequent injection -associated pai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 이 연구의 목적은 수술이 예정된 환자에서 Aquafol, microemulsion propofol의 유효성, 안전성 및 약동학을 평가하는 것이였다.
      연구방법 : 전체 288명의 환자가 무작위 배정에 의해 Aquafol 또는 Diprivan 투여받았다. propofol 30 mg을 2초에 걸쳐 정맥 투여한 후 시각통증척도로 중등도 이상의 통증을 평가하였다. 이후 propofol을 2 mg/kg으로 마취 유도 후 가변 속도로, remifentanil은 목표 효과처 농도 조절주입하였다.
      의식소실시간, 각성시간, 및 정위 시간을 기록하였고, 약동학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상 반응과 술 후 구역 및 구토 발생 (PONV)을 평가하였다.
      결과: Aquafol의 의식소실시간은 Diprivan 그것과 동등하였고(중간값: 21 vs. 18 s, 그룹 간 차이의 95% 신뢰구간: 0 - 6 s), Aquafol의 각성시간은 약간 연장되었으나 임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 있었다 (12.3 vs. 10.8 min). 두 제형의 약동학은 모두 3구획 모형으로 가장 잘 설명되었다. Aquafol 에서는 중성지방이 증가하지 않았다. 술 후 구역 및 구토를 포함한 이상 반응 발생 빈도는 제형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quafol에서 정주통이 더 심하고 발생 빈도 역시 높았다. (72.0 vs. 11.5 mm, 81.9% vs. 29.2%)
      결론: Aquafol은 유효성, 약동학, 및 안전성에 있어서 Diprivan 비교시 비슷하였으나 좀더 정주통은 더 심하고 높은 발생 빈도를 보였다.
      번역하기

      배경 : 이 연구의 목적은 수술이 예정된 환자에서 Aquafol, microemulsion propofol의 유효성, 안전성 및 약동학을 평가하는 것이였다. 연구방법 : 전체 288명의 환자가 무작위 배정에 의해 Aquafol 또는 ...

      배경 : 이 연구의 목적은 수술이 예정된 환자에서 Aquafol, microemulsion propofol의 유효성, 안전성 및 약동학을 평가하는 것이였다.
      연구방법 : 전체 288명의 환자가 무작위 배정에 의해 Aquafol 또는 Diprivan 투여받았다. propofol 30 mg을 2초에 걸쳐 정맥 투여한 후 시각통증척도로 중등도 이상의 통증을 평가하였다. 이후 propofol을 2 mg/kg으로 마취 유도 후 가변 속도로, remifentanil은 목표 효과처 농도 조절주입하였다.
      의식소실시간, 각성시간, 및 정위 시간을 기록하였고, 약동학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상 반응과 술 후 구역 및 구토 발생 (PONV)을 평가하였다.
      결과: Aquafol의 의식소실시간은 Diprivan 그것과 동등하였고(중간값: 21 vs. 18 s, 그룹 간 차이의 95% 신뢰구간: 0 - 6 s), Aquafol의 각성시간은 약간 연장되었으나 임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 있었다 (12.3 vs. 10.8 min). 두 제형의 약동학은 모두 3구획 모형으로 가장 잘 설명되었다. Aquafol 에서는 중성지방이 증가하지 않았다. 술 후 구역 및 구토를 포함한 이상 반응 발생 빈도는 제형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quafol에서 정주통이 더 심하고 발생 빈도 역시 높았다. (72.0 vs. 11.5 mm, 81.9% vs. 29.2%)
      결론: Aquafol은 유효성, 약동학, 및 안전성에 있어서 Diprivan 비교시 비슷하였으나 좀더 정주통은 더 심하고 높은 발생 빈도를 보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ntroduction = 1
      • Materials and Methods = 3
      • Study design = 3
      • Investigational drugs = 3
      • Patient population = 3
      • Introduction = 1
      • Materials and Methods = 3
      • Study design = 3
      • Investigational drugs = 3
      • Patient population = 3
      • Study endpoints = 4
      • Study procedure = 4
      • Postoperative nausea, vomiting (PONV) and pain = 5
      • Blood Sample acquisition and assay = 6
      • Pharmacokinetics = 7
      • Model diagnostics and validation = 8
      • Safety = 9
      • Statistics = 9
      • Result = 10
      • Patient population = 10
      • Effectiveness = 13
      • Propofol-induced pain = 16
      • Postoperative nausea, vomiting (PONV) and pain = 18
      • Pharmacokinetics = 20
      • Safety = 31
      • Discussion = 37
      • References = 40
      • Summary = 4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