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울시 소득계층별 주택유형과 점유형태 선택요인 분석 = An Analysis of Factor Influencing on the Choice of Housing Types and Tenure by Income Bracket in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596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서울시의 생활권별 주택스톡관리를 위하여 생활권별 가구특성(소득계층 등) 분포와 주택스톡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주택스톡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다음과 같...

      이 연구는 서울시의 생활권별 주택스톡관리를 위하여 생활권별 가구특성(소득계층 등) 분포와 주택스톡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주택스톡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서울시 생활권별 가구특성을 조사하여 소득계층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둘째, 서울시 생활권별 주택재고를 조사하여 생활권별 소득계층과 주택스톡간의 정합성을 분석하고, 확률선택모형을 활용하여 생활권별 주거선택 요인을 도출하였다. 가구특성 중에서 생활권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고, 주거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 요인을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소득계층별 주택스톡 교차 분석 결과 단독주택과 다가구 다세대주택 및 연립주택은 저소득층이 많이 거주하고, 아파트는 중소득층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양상은 생활권 별로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월세주택일수록 저소득층 비율이 높은 반면 고소득층 비율은 낮고, 주택규모가 클수록 저소득층 비율은 낮고 고소득층 비율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동남생활권 등에서는 소규모주택이라도 고소득층 비율이 다른 생활권보다 높은 특징이 있다.
      소득계층별로 주거선택요인을 도출한 결과는 서울시의 경우 자산, 배우자유무, 소득, 통근시간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수로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생활권별로 주거선택요인도 다름을 확인하였다. 이는 생활권별로 주택수요 특성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택은 특성상 한번 공급이 되면 장시간을 사용해야 하고 단시간 내에 대체되는 상품을 개발하기 어렵기 때문에 주택수요의 특성을 반영하지 않고 주택을 공급하면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로 주택 공급효과를 보기 어렵다. 따라서 주택종합계획과 같은 장기적인 주택공급 계획 시 각 생활권 별로 주택의 수요를 고려하여 그에 대응하여야 한다. 또한 가구의 경제적,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주택의 점유형태와 유형을 선택하는 요인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종합적이고 구체적인 주거실태의 파악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housing stock managed by life zones in Seoul and to isol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housing choice based on income bracket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c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housing stock managed by life zones in Seoul and to isol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housing choice based on income bracket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confirm the following details. First, the total number of households in Seoul is 350 million. Single or two-person families compose 46.7% while three or more families compose 53.3%. Second, the total number of houses in Seoul is 2.52 million, within that 160,000 are single-family homes and 700,000 are multi-family homes. The remaining 1.48 million consists of apartment housing. The data reveals that 42.5% of houses were owned, 32.9% were Zeonse, and 24.6% were rented households. Thir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based on income brackets suggest the following residential selection factors. House buyers are larger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selecting an apartment house charter. In addition, greater the income and asset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higher probability of selecting APT-zeonse. Furthermore, if a female was the head of a household with no spouse or alone, then in low income circumstances with the options of APT-rent, multi-housing rent or apartment-rent, the probability of selecting the rent was higher. Moreover, shorter commuting times between single-owner, single-rent, and multi-housing rent suggested that the probability was to choose r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검토
      • Ⅲ. 서울시 생활권별 가구 및 주택 분포 실태 분석
      • Ⅳ. 분석모형설정 및 실증분석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검토
      • Ⅲ. 서울시 생활권별 가구 및 주택 분포 실태 분석
      • Ⅳ. 분석모형설정 및 실증분석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성규, "주택정책론" 박영사 2006

      2 김영관, "주택재개발사업구역내 토지등소유자의 주택재개발사업에 대한 찬반 의사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동대문구 이문?휘경 뉴타운사업지구를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2 (42): 95-108, 2007

      3 남진, "주택재개발구역내에 세입자가구의 임대주택 입주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1 (41): 69-82, 2006

      4 이중희, "주택경제론" 박영사 1997

      5 성현곤, "주거입지선택에서의 대중교통 접근성과 직주균형의 구조적 관계가 가구수준의 통행행태에 미치는 영향"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7 (47): 265-282, 2012

      6 김준형, "주거이동가구의 주거소비행태 변화와 지역주택가격의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7 이주형, "주거선택 및 주거이동 결정이 학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4 (24): 157-174, 1989

      8 정의철,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장기주택수요 전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0 (40): 37-46, 2005

      9 정금호, "아파트 거주자의 주거선택 중요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8 (18): 21-28, 2002

      10 변창흠, "서울시 주택수요 및 공급능력 추정에 관한 기초연구" 서울연구원 2002

      1 하성규, "주택정책론" 박영사 2006

      2 김영관, "주택재개발사업구역내 토지등소유자의 주택재개발사업에 대한 찬반 의사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동대문구 이문?휘경 뉴타운사업지구를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2 (42): 95-108, 2007

      3 남진, "주택재개발구역내에 세입자가구의 임대주택 입주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1 (41): 69-82, 2006

      4 이중희, "주택경제론" 박영사 1997

      5 성현곤, "주거입지선택에서의 대중교통 접근성과 직주균형의 구조적 관계가 가구수준의 통행행태에 미치는 영향"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7 (47): 265-282, 2012

      6 김준형, "주거이동가구의 주거소비행태 변화와 지역주택가격의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7 이주형, "주거선택 및 주거이동 결정이 학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4 (24): 157-174, 1989

      8 정의철,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장기주택수요 전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0 (40): 37-46, 2005

      9 정금호, "아파트 거주자의 주거선택 중요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8 (18): 21-28, 2002

      10 변창흠, "서울시 주택수요 및 공급능력 추정에 관한 기초연구" 서울연구원 2002

      11 원은지, "서울시 소득계층별 주거선택행태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6

      12 남진, "서울시 뉴타운사업 등 도시재정비사업에 의한 주택가격 변화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4 (44): 125-145, 2009

      13 김용현, "서울시 거주자의 거주유형결정요인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0

      14 김현태, "서울시 가구특성에 따른 생활권별 주택 점유형태 및 유형 선택에 관한 연구" 서울연구원 13 (13): 155-173, 2012

      15 최유미, "서울시 가구특성별 주거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 1996년부터 2006년까지 변화특성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3 (43): 195-210, 2008

      16 이재수, "서울시 1・2인가구 유형별 특성에 따른 주택정책 방향" 서울연구원 2012

      17 지우석, "맞벌이 가구의 통행특성 및 주거입지 선택 분석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04

      18 김타열, "대구시 중심시가지 점이지대의 주거지 특성" 한국지역지리학회 17 (17): 710-725, 2011

      19 이학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8.0" 집현재 2009

      20 김정수, "가구특성에 따른 주택선택행태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9 (39): 191-204, 2004

      21 최막중, "가구특성에 따른 주거입지 및 주택유형 수요에 관한 실증분석" 36 (36): 69-81, 2001

      22 최신애, "住宅再開發 稅入者들의 移住決定行態 分析" 대한건축학회 21 (21): 235-242, 2005

      23 Yanni M. Ioannidesa, "Interactions, Neighborhood Selection and Housing Demand" 63 (63): 229-252, 2008

      24 Geoffrey Carliner, "Determinants of home Ownership" 1 (1): 109-119, 1974

      25 Karsten S, "Choosing Segregation or Integration? : The Extent and Effects of Ethnic Segregation in Dutch Cities" 38 (38): 228-247, 2006

      26 Ahmad, Nuzhat, "A Joint Model of Tenure Choice and Demand for Housing in the City of Karachi" Sheffield University 1994

      27 Boehm, Thomas, "A Hierarchical Model of Housing Choice" 19 (19): 17-31, 1982

      28 국토해양부, "2012년도 주거실태 조사 연구보고서"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도시행정학보 -> 도시행정학보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1.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3 1.292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