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식 정보의 수집과 변용으로 본 『林下筆記』 탐구 = Research of the 'Imhapilgi' with a focus of collect and edit inform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295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to find how Lee You-won expressed and transformed his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Imhapilgi』 which he acquired through books. Joseon Dynasty is integrated and well-informed in Lee You-won’s 『Imhapilgi』. Lee You-won wrote 『Imhapilgi』 referring to books that were popular at that time, and tried to express his knowledge through the publication.
      Not only Lee You-won owns large collection of books, also exposes the contents of the books to the 『Imhapilgi』 based on his judgment.
      He collected knowledge and information from many books he possessed, and updated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refore, we can see how his knowledge is integrated and complied by considering the various books mentioned in the 『Imhapilgi』 While collecting information through books, Lee You-won developed a system of independent interpretation through historical research. He also processed and reorganized the knowledge using a format that was reorganized by reallocating it through summary or classification.
      Lee You-won’s writing not only shows creating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by processing and compiling exist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but also contains contemporary information and knowledge at that time.
      It is also a significant achievement for Lee You-won to present the information clearly by editing exist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Such applications would require systematic taxonomy and reorganization skill to gain a good deal of knowledge.
      Exceeding realignment of his exist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he also turned it into his own through various material and reference.
      Finally, the study will show how the books mentioned in 『Imhapilgi』’s Journal of Research affected Lee You-won’s style, and will also show the transforma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which is collected by Lee You-won.
      번역하기

      This research is to find how Lee You-won expressed and transformed his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Imhapilgi』 which he acquired through books. Joseon Dynasty is integrated and well-informed in Lee You-won’s 『Imhapilgi』. Lee You-won wrote ...

      This research is to find how Lee You-won expressed and transformed his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Imhapilgi』 which he acquired through books. Joseon Dynasty is integrated and well-informed in Lee You-won’s 『Imhapilgi』. Lee You-won wrote 『Imhapilgi』 referring to books that were popular at that time, and tried to express his knowledge through the publication.
      Not only Lee You-won owns large collection of books, also exposes the contents of the books to the 『Imhapilgi』 based on his judgment.
      He collected knowledge and information from many books he possessed, and updated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refore, we can see how his knowledge is integrated and complied by considering the various books mentioned in the 『Imhapilgi』 While collecting information through books, Lee You-won developed a system of independent interpretation through historical research. He also processed and reorganized the knowledge using a format that was reorganized by reallocating it through summary or classification.
      Lee You-won’s writing not only shows creating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by processing and compiling exist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but also contains contemporary information and knowledge at that time.
      It is also a significant achievement for Lee You-won to present the information clearly by editing exist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Such applications would require systematic taxonomy and reorganization skill to gain a good deal of knowledge.
      Exceeding realignment of his exist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he also turned it into his own through various material and reference.
      Finally, the study will show how the books mentioned in 『Imhapilgi』’s Journal of Research affected Lee You-won’s style, and will also show the transforma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which is collected by Lee You-w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이유원이 서적을 통해 습득한 지식과 정보를 『임하필기』에 표현하면서, 그 지식과 정보들이 이 안에서 어떤 방법으로 변하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유원의 『임하필기』는 조선 후기 지식을 집대성한 서적이자 박물학적 성격의 서적이다. 이유원은 당시 유행했던 서적들을 참고해 『임하필기』를 저술하면서 이를 통해 자신의 지식을 나타내고자 했던 인물이다.
      이유원은 많은 서적을 소유하고 있었을 뿐 아니라, 자신이 소장한 서적들을 『임하필기』에 노출시키고 있다. 또한 이 저술 안에서 자신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기록하고 있다. 그는 자신이 소유한 많은 서적들을 통해 지식과 정보를 수집하고, 이러한 지식과 정보를 새롭게 바꾸고자 했다. 그렇기에 『임하필기』에서 언급된 다양한 서적들을 고찰해 봄으로써 이유원이 어떤 기준과 방법으로 지식을 종합·편집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이유원은 서적들을 통해 지식을 집대성하면서 고증을 통해 독자적 해석체계를 구축하고, 요약이나 분류를 통해 재배치하는 형식을 사용하여 그 지식들을 가공하고 새롭게 정리하였다.
      곧 『임하필기』는 기존의 지식과 정보를 가공하고 재편집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생성하는 성과를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임하필기』 또한 당시의 다양하고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이다.
      이유원이 지식과 정보를 편집하여 일목요연하게 재배치하여 제시하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며, 새로운 지식·정보의 활용이라는 점에서 학술적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활용은 풍부한 독서와 지식을 장악하는 것으로 체계적 분류와 재배치의 안목이 있어야 가능한 것이었다. 더욱이 이유원은 기존의 지식과 정보들을 단순히 재배치만 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자료를 동원하여 자신만의 기준을 토대로 변용시키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를 통해 『임하필기』에 나타난 서적들이 이유원의 문인 학자적 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알 수 있을 것이며, 이유원이 수집한 지식과 정보를 주관적 판단에 따라 변용하는 양상 또한 확인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고는 이유원이 서적을 통해 습득한 지식과 정보를 『임하필기』에 표현하면서, 그 지식과 정보들이 이 안에서 어떤 방법으로 변하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유원의 『임하필기』는 ...

      본고는 이유원이 서적을 통해 습득한 지식과 정보를 『임하필기』에 표현하면서, 그 지식과 정보들이 이 안에서 어떤 방법으로 변하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유원의 『임하필기』는 조선 후기 지식을 집대성한 서적이자 박물학적 성격의 서적이다. 이유원은 당시 유행했던 서적들을 참고해 『임하필기』를 저술하면서 이를 통해 자신의 지식을 나타내고자 했던 인물이다.
      이유원은 많은 서적을 소유하고 있었을 뿐 아니라, 자신이 소장한 서적들을 『임하필기』에 노출시키고 있다. 또한 이 저술 안에서 자신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기록하고 있다. 그는 자신이 소유한 많은 서적들을 통해 지식과 정보를 수집하고, 이러한 지식과 정보를 새롭게 바꾸고자 했다. 그렇기에 『임하필기』에서 언급된 다양한 서적들을 고찰해 봄으로써 이유원이 어떤 기준과 방법으로 지식을 종합·편집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이유원은 서적들을 통해 지식을 집대성하면서 고증을 통해 독자적 해석체계를 구축하고, 요약이나 분류를 통해 재배치하는 형식을 사용하여 그 지식들을 가공하고 새롭게 정리하였다.
      곧 『임하필기』는 기존의 지식과 정보를 가공하고 재편집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생성하는 성과를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임하필기』 또한 당시의 다양하고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이다.
      이유원이 지식과 정보를 편집하여 일목요연하게 재배치하여 제시하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며, 새로운 지식·정보의 활용이라는 점에서 학술적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활용은 풍부한 독서와 지식을 장악하는 것으로 체계적 분류와 재배치의 안목이 있어야 가능한 것이었다. 더욱이 이유원은 기존의 지식과 정보들을 단순히 재배치만 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자료를 동원하여 자신만의 기준을 토대로 변용시키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를 통해 『임하필기』에 나타난 서적들이 이유원의 문인 학자적 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알 수 있을 것이며, 이유원이 수집한 지식과 정보를 주관적 판단에 따라 변용하는 양상 또한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경현, "조선시대 『명유학안』 독해 양상과 그 성격" 한국양명학회 (46) : 205-248, 2017

      2 강명관, "조선 후기 서적의 수입・유통과 장서가의 출현" (9) : 1996

      3 "국역 임하필기" 민족문화추진회 2000

      4 허경진, "鄭元容 관련 저술 해제집" 보고사 2009

      5 김인규, "橘山 李裕元의 『林下筆記』 연구–지식․정보의 편집과 저술 방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2016

      6 "林下筆記" 成均館大學校 大東文化硏究院

      7 黃宗羲, "明儒學案(修訂本)" 中華書局 2008

      8 徐師曾, "文體明辯" 旿晟社 1984

      9 邱复興, "孫子兵學大典" 北京大學出版社 2004

      10 함영대, "「임하필기」 연구 : 문예의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1

      1 강경현, "조선시대 『명유학안』 독해 양상과 그 성격" 한국양명학회 (46) : 205-248, 2017

      2 강명관, "조선 후기 서적의 수입・유통과 장서가의 출현" (9) : 1996

      3 "국역 임하필기" 민족문화추진회 2000

      4 허경진, "鄭元容 관련 저술 해제집" 보고사 2009

      5 김인규, "橘山 李裕元의 『林下筆記』 연구–지식․정보의 편집과 저술 방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2016

      6 "林下筆記" 成均館大學校 大東文化硏究院

      7 黃宗羲, "明儒學案(修訂本)" 中華書局 2008

      8 徐師曾, "文體明辯" 旿晟社 1984

      9 邱复興, "孫子兵學大典" 北京大學出版社 2004

      10 함영대, "「임하필기」 연구 : 문예의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1

      11 함영대, "19세기 관료문인의 문헌 정리 작업과 그 문학적 형상–이유원의 「해동악부」와 봉래비서를 중심으로-" 43 :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6 0.74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