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통합 상황의 소집단 사회성기술훈련 프로그램이 자폐성장애 유아의 사회성기술과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mall-group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on Social Skills and Peer Play Behavior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Inclusive Environ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30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통합 상황에서 적용한 사회성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자폐성장애 유아의 사회성기술과 또래놀이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통합 상황에서 적용한 사회성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자폐성장애 유아의 사회성기술과 또래놀이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두 명의 자폐성장애 유아와 두 명의 일반발달유아이다. 중재는 회기당 40분씩 주 1회, 총 11회기로 구성되었으며 센터내의 그룹치료실과 일상생활 장면인 실내․외놀이터에서 진행되었다.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중재 전과 후에 자폐성장애 유아의 사회성기술(K-SSRSP)검사와 또래놀이행동(PIPPS)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매회기 기록한 관찰일지를 분석하여 결과를 보완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K-SSRSP 사전․사후 검사 결과 자폐성장애 유아의 사회성기술과 하위 4개 영역에서 향상되었다. 둘째, PIPPS 검사에서는 놀이 상호작용은 향상되었고, 놀이 붕괴와 놀이 단절은 감소되었다. 결론: 통합 상황에서 소집단으로 이루어진 사회성 기술훈련 프로그램은 자폐성장애 유아의 사회성기술향상과 또래놀이행동의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applied in inclusive environment on social skills and peer play behavior of children with ASD. Metho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wo young chi...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applied in inclusive environment on social skills and peer play behavior of children with ASD. Metho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wo young children with ASD and two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The intervention was composed of 11 sessions, once a week and 40 minutes per session, and was conducted in a group therapy room in the center and an indoor / outdoor playground. To confirm the effects of intervention, sociability test (K-SSRSP) and peer play behavior test (PIPPS) of children with ASD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K - SSRSP pre - and post - test showed improvement in the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ASD and the four sub - areas. Second, play interactions were improved in PIPPS test, and play breaks and play breaks were reduced. Conclusion: In inclusive environment,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consisting of small group was effective in improving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ASD and positive changes in peer play behavio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수진, "활동-중심 자연적 중재 적용 훈련이 자유선택활동 일과에서의 교사의 교수 행동과 장애 유아의 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7 (27): 29-49, 2007

      2 황성자, "협동미술활동을 통한 또래중재가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 발화에 미치는 영향" 25 : 133-155, 2011

      3 윤치연, "한국 유아 사회성 기술검사 표준화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4 (24): 157-173, 2008

      4 김동일,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의 사회성 중재연구 동향 분석" 한국통합교육학회 10 (10): 141-166, 2015

      5 임미희, "학급수준의 상호칭찬활동이 통합된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과제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0 (10): 49-68, 2010

      6 김지현, "학급 차원의 짝 활동을 통한 또래교수가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2 (12): 129-146, 2012

      7 조광순, "특수유아를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접근방법의 최근 동향 및 향후 과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69-92, 2005

      8 이소현,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2011

      9 교육부, "특수교육연차보고서" 교육부 2018

      10 김경윤, "통합환경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이 교사와 발달지체유아 및 일반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2

      1 김수진, "활동-중심 자연적 중재 적용 훈련이 자유선택활동 일과에서의 교사의 교수 행동과 장애 유아의 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7 (27): 29-49, 2007

      2 황성자, "협동미술활동을 통한 또래중재가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 발화에 미치는 영향" 25 : 133-155, 2011

      3 윤치연, "한국 유아 사회성 기술검사 표준화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4 (24): 157-173, 2008

      4 김동일,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의 사회성 중재연구 동향 분석" 한국통합교육학회 10 (10): 141-166, 2015

      5 임미희, "학급수준의 상호칭찬활동이 통합된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과제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0 (10): 49-68, 2010

      6 김지현, "학급 차원의 짝 활동을 통한 또래교수가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2 (12): 129-146, 2012

      7 조광순, "특수유아를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접근방법의 최근 동향 및 향후 과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69-92, 2005

      8 이소현,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2011

      9 교육부, "특수교육연차보고서" 교육부 2018

      10 김경윤, "통합환경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이 교사와 발달지체유아 및 일반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2

      11 서은정, "통합학급에서 사회성 기술훈련프로그램이 자폐범주성장애아동의 감정 다루기 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8 (8): 21-49, 2015

      12 신수진, "통합유치원에서 실시한 학급 차원의 단짝친구 기술중재가 장애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4 (14): 221-241, 2014

      13 배성현, "통합된 소집단 협동놀이가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6 (6): 1-25, 2006

      14 이정남, "통합교육이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성기술 발달에 미치는 효과 -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의 발달을 중심으로 -" 한국발달장애학회 8 (8): 65-77, 2004

      15 박현옥, "통합교육 상황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과 비장애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달장애학회 21 (21): 19-46, 2017

      16 김기옥, "통합 상황에서 실시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Enhanced Milieu Teaching)가 자폐 유아의 자발화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연구소 6 (6): 97-121, 2007

      17 김우리,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사회성 중재 연구 동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25-55, 2013

      18 김유리, "지적장애 청소년의 성공적 전환을 위한 사회성 기술 중재 프로그램 고찰"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47-68, 2011

      19 정귀순, "중도 및 복합장애아동의 통합교육 효과에 대한 문헌분석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3 (3): 57-79, 2004

      20 ソ―シャルスキルマニュアル, "장애아동을 위한 사회성기술 지도 매뉴얼" 학지사 2015

      21 김미옥, "장애아동가족의 적응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 : 가족탄력성(Family Resilience)의 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22 강순원, "장애성인 평생교육: 배제에서 포용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9 (19): 55-84, 2013

      23 김지연, "장애 유아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또래중재가 발달지체 유아와 일반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9 (9): 163-179, 2009

      24 박지윤, "자폐성장애 영유아 관련 실험연구 동향분석: 2007-2017년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연구소 34 (34): 1-33, 2018

      25 김귀연, "자폐 스펙트럼 장애학생의 사회성 기술 향상에 관한 단일대상 연구의 문헌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5 (15): 137-160, 2014

      26 심세화,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놀이 기술 교수 중재에 대한 고찰" 한국자폐학회 10 (10): 75-108, 2010

      27 이수정, "유치원 일과와 활동에 삽입된 『장애 이해 및 통합교육 활동』이 일반유아와 장애 유아의 사회적 수용도 및 사회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1 (11): 1-32, 2011

      28 이윤경, "유아의 사회극놀이 수준, 사회적 기술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교사개입의 장기적효과" 39 (39): 73-98, 2001

      29 정대현,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유아-교사관계·다중지능과 초등학교 적응간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30 이태영, "유아를 위한 사회적 유능감 증진 프로그램의 구성 및 효과 검증" 21 (21): 293-324, 2001

      31 허계형, "유아기 문제행동 중재전략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2 (12): 285-304, 2012

      32 이수정, "유아교육 환경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 연구 동향 및 지원 요소 분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8 (8): 161-187, 2008

      33 박진재, "아동의 또래관계 증진을 위한 사회성 기술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34 이진영, "생활동화를 활용한 역할극놀이가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0 (20): 135-163, 2013

      35 Begun, R.W., "사회적기술 향상프로그램" 시그마프레스 2015

      36 박혜정, "사회적 역할놀이 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행동 증진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7 노경란,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 친구야, 놀자" 학지사 2014

      38 장혜림, "사회성 기술훈련과 또래 주도전략 프로그램이 고립유아의 사회적 행동과 또래 수용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39 김향지, "사회성 기술검사(SSRS)의 타당화 연구" 17 (17): 121-135, 1996

      40 오자영, "사회성 기술 중재프로그램과 효과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분석"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4 (24): 227-255, 2008

      41 천승욱, "사회극놀이가 자폐성 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재활심리학회 19 (19): 423-444, 2012

      42 김지현, "사회-의사소통 촉진을 위한 활동-중심 삽입교수가 장애 유아의 언어 및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0 (10): 69-88, 2010

      43 민용아, "반응적 상호작용 중재가 자폐성장애 아동의 공동관심 기술과 상호작용 기술, 그리고 어머니의 상호작용 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4 (34): 93-114, 2018

      44 문혜련, "만 5세 남녀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 부모의 언어통제유형간 관계" 교육과학연구소 40 (40): 159-181, 2009

      45 임수량, "또래유아와의 협동공놀이가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27 : 69-94, 2013

      46 이미애, "기능평가를 통한 장애유아의 행동지원 실험 연구분석" 국립특수교육원 14 (14): 189-208, 2007

      47 이효신,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유아의 문제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8 (28): 63-90, 2012

      48 이은실, "그림책을 활용한 극놀이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9 박나래, "그림 동화를 이용한 역할놀이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0 신동준, "경도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사회성 기술 지도 평가 실패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9 (9): 93-121, 2010

      51 박지영, "갈등상황에 대한 극놀이가 유아의 자아개념과 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52 Liber, D. B., "Using Time-delay to Improve Social Play Skills with Peers for Children with Autism" 38 (38): 312-323, 2008

      53 Hughett, K., "The effects of a buddy skills package on preschool children’s social interactions and play" 32 : 246-254, 2013

      54 Westling, D. A., "Teaching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Merrill/Pearson Education 2009

      55 Ganz, J. B., "Supporting the play of preschoo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mplementation of visual scripts" 13 (13): 58-70, 2010

      56 Gresham, F. M., "Social skills rating system" American Guidance Service 1990

      57 Vaughn, S., "Social skills intervention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synthesis of group design studies" 24 (24): 2-15, 2003

      58 Gresham, F. M., "Social competence and students with behavior disorders: Where we’ve been, where we are, and where we should go" 20 : 223-249, 1997

      59 Leonardi, R., "Skillstreaming: A report to the vermont state department of education" U. S. Department of Education 459-553, 2001

      60 McGinnis, Ellen, "Skillstreaming in early childhood: A guide for teaching prosocial skills" Research Press 2012

      61 McGinnis, E., "Skillstreaming in early childhood : New strategies and perspective for teaching prosocial skill" Research Press 2003

      62 McGregor, G., "Inclusive schooling practices: Pedagogical and research foundations: A synthesis pf the literature that informs best practives about inclusive schooling" Allegheny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1998

      63 Jamison, K. R., "Encouraging social skill development through play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15 (15): 3-19, 2012

      64 Fantuzzo, J., "Contextually-relevant validation of peer play construct with African head start children: Penn Interactive Play Scale" 13 (13): 411-431, 1998

      65 Fantuzzo, J., "An examination of the contributions of interactive peer play to salient classroom competencies for urban Head Start children" 41 (41): 323-336, 2004

      66 Dobbins, N., "An analysis of social skills instruction provided in teacher education and in-service training programs for general and special educators" 31 (31): 358-367, 2010

      67 Kauffman, J. M., "Alternatives for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Love 35-54, 1975

      68 Simonsen, B., "Alternative setting-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36 (36): 213-224, 2011

      69 Reed, J. G., "A conceptual framework for choosing social skills programs"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