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교복 디자인 개발 연구 : 여고생 추동용 교복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217515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1991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199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639

      • DDC

        746.92 판사항(19)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71장: 삽도,도판; 26cm

      • 소장기관
        • 가천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구가톨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순천제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청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886년 이래 지속되어온 우리나라 중고생의 교복 착용제도는 1983년 3월 문교부의 「교복 자율화」조치에 따라 전면 폐지되는 일대 변혁을 맞이하게 되었다. 그후 복장 자율화 조치는 학생들의 개성과 독창성을 길러주는 면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지만, 학생의식의 결여, 청소년 비행증가, 빈부간의 위화감 조성, 사치성 조장 등의 폐단이 지적되면서 사회적으로 많은 물의와 논란의 대상이 되어왔다. 이와 함께 교복 착용문제는 학교장 재량에 맡긴다는 「복장 자율화 보완 지침」에 따라 1986년 2학기 이후부터 일부 수정 보완의 과정을 거치게 되었고 근래 교복 착용 학교수는 더욱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어 교복에 대한 재고의 필요성은 매우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 할 수 있는 새로운 교복의 보급에 역점을 두어 여고생 추동용 교복 디자인 개발에 연구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첫째 문헌 자료를 통한 이론적 배경 연구로서 교복의 구성조건 및 기본요소를 고찰하였으며,
      둘째 실증적 연구로서는 새로운 디자인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90년 10월 현재 교복을 착용하고 있는 여자고등학교 6개교를 대상으로 교복 착용실태를 조사하여 형태, 색채, 소재에 관하여 참고하였고, 교복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위해 3개 여고의 2학년 학생 총 45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새로운 디자인 설정을 위한 디자인 선호도 조사를 위해 정신여고 1학년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디자인 제시의 기본으로 삼았다.
      본 연구의 교복 착용실태와 교복에 대한 만족도 및 선호도 조사 결과에 의한 여자고등학교 추동용 교복 디자인의 지향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심미성 ; 형태면에서는 쓰리피스(3-piece)의 同色 정장이나 異色 정장을 선호하고 색채면에서는 청색 계통이나 자주색 계통을 선호하였다.
      2. 상징성 ; 쟈켓의 일부에 학교를 상징하는 마크, 뱃지, 또는 단추를 부착하고 학교 상징의 색상을 교복의 일부나 전체에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3. 기능성 ; 신체의 성장과 활동성을 감안한 여유분을 고려해야 한다. 어깨넓이, 가슴둘레, 허리둘레, 엉덩이둘레의 매해 평균 증가량과 동작에 따라 변화하는 변화량을 여유분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4. 경제성 ; 적절한 가격 수준에, 세탁이 용이하고 염색 견뢰도와 내구성이 좋은 직물이 바람직하므로 폴리에스터와 양모의 혼방(T/W)인 원단이 적합하고 조직으로는 개버딘(Garberdine), 삭소니(Saxony), 바라샤(Barathea)가 적합하다.
      이와같은 결과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은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1. 쓰리피스의 同色 정장
      곤색 테일러드 수트(Tailored Suit)로서 더블(double) 여밈과 박스 실루엣(box silhoette)의 테일러드 쟈켓과 타이트(tight) 스커트에 활동성을 첨가하여 변형시킨 스커트로 구성되어 있다.
      2. 쓰리피스의 異色 정장
      자주색 자켓과 회색 스커트, 회색 조끼의 이색 배색 스타일로서 더블 여밈과 박스 실루엣, V-네크(Neck)의 쟈켓과 플레어(Flare) 스커트, 조끼로 구성되어 있다.

      번역하기

      1886년 이래 지속되어온 우리나라 중고생의 교복 착용제도는 1983년 3월 문교부의 「교복 자율화」조치에 따라 전면 폐지되는 일대 변혁을 맞이하게 되었다. 그후 복장 자율화 조치는 학생들...

      1886년 이래 지속되어온 우리나라 중고생의 교복 착용제도는 1983년 3월 문교부의 「교복 자율화」조치에 따라 전면 폐지되는 일대 변혁을 맞이하게 되었다. 그후 복장 자율화 조치는 학생들의 개성과 독창성을 길러주는 면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지만, 학생의식의 결여, 청소년 비행증가, 빈부간의 위화감 조성, 사치성 조장 등의 폐단이 지적되면서 사회적으로 많은 물의와 논란의 대상이 되어왔다. 이와 함께 교복 착용문제는 학교장 재량에 맡긴다는 「복장 자율화 보완 지침」에 따라 1986년 2학기 이후부터 일부 수정 보완의 과정을 거치게 되었고 근래 교복 착용 학교수는 더욱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어 교복에 대한 재고의 필요성은 매우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 할 수 있는 새로운 교복의 보급에 역점을 두어 여고생 추동용 교복 디자인 개발에 연구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첫째 문헌 자료를 통한 이론적 배경 연구로서 교복의 구성조건 및 기본요소를 고찰하였으며,
      둘째 실증적 연구로서는 새로운 디자인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90년 10월 현재 교복을 착용하고 있는 여자고등학교 6개교를 대상으로 교복 착용실태를 조사하여 형태, 색채, 소재에 관하여 참고하였고, 교복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위해 3개 여고의 2학년 학생 총 45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새로운 디자인 설정을 위한 디자인 선호도 조사를 위해 정신여고 1학년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디자인 제시의 기본으로 삼았다.
      본 연구의 교복 착용실태와 교복에 대한 만족도 및 선호도 조사 결과에 의한 여자고등학교 추동용 교복 디자인의 지향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심미성 ; 형태면에서는 쓰리피스(3-piece)의 同色 정장이나 異色 정장을 선호하고 색채면에서는 청색 계통이나 자주색 계통을 선호하였다.
      2. 상징성 ; 쟈켓의 일부에 학교를 상징하는 마크, 뱃지, 또는 단추를 부착하고 학교 상징의 색상을 교복의 일부나 전체에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3. 기능성 ; 신체의 성장과 활동성을 감안한 여유분을 고려해야 한다. 어깨넓이, 가슴둘레, 허리둘레, 엉덩이둘레의 매해 평균 증가량과 동작에 따라 변화하는 변화량을 여유분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4. 경제성 ; 적절한 가격 수준에, 세탁이 용이하고 염색 견뢰도와 내구성이 좋은 직물이 바람직하므로 폴리에스터와 양모의 혼방(T/W)인 원단이 적합하고 조직으로는 개버딘(Garberdine), 삭소니(Saxony), 바라샤(Barathea)가 적합하다.
      이와같은 결과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은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1. 쓰리피스의 同色 정장
      곤색 테일러드 수트(Tailored Suit)로서 더블(double) 여밈과 박스 실루엣(box silhoette)의 테일러드 쟈켓과 타이트(tight) 스커트에 활동성을 첨가하여 변형시킨 스커트로 구성되어 있다.
      2. 쓰리피스의 異色 정장
      자주색 자켓과 회색 스커트, 회색 조끼의 이색 배색 스타일로서 더블 여밈과 박스 실루엣, V-네크(Neck)의 쟈켓과 플레어(Flare) 스커트, 조끼로 구성되어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chool uniform system of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begun in 1886 met a revolution of its total abolishment due to the 「liberalization of the school uniform」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March, 1983. Since then, the arrangement of the 「liberalization of the school uniform」 even though it was created to cultivate the students' personality and originality, has resulted in much public criticism and socially has become the object of discussion. Such evils as the lack of the students' consciousness the increase of juveniles' wrong behavior, the formation of the sense of incompatibility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nd the fostering of luxurious lifestyles, etc. have been pointed out.
      In the meantime, according to a guiding principle of the 「liberalization of the school uniform」 which was subject to the choice of the principal of each school, the process of adjustment and supplementation was initiated since the second semester of the 1986 school year. Recently the number of schools that practice the school uniform system appears to be gradually increasing, resulting in a serious problem which needs to be reconsidered.
      In that re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 of senior high girl-students' school uniforms for usage in the autumn and winter seasons with a special reference to supplying new styles of the school uniform.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1. For background data - to collect background and theoretical information on the basic elements of design and the basic conditions for school uniforms, much research was completed from book readings.
      2. For an empirical study - to collect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new designs, the realities of wearing the school uniform have been researched at six girls senior high schools which still practice the wearing of the school uniform (as of October 1990) with regard to its form, color and materials. In order to find out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wearing school uniforms, som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a total of 450 high school students at three girls senior high schools.
      Also, to find out the preference of designs, with an attempt to establish new design, som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400 sophomore students at ChungShin Girls Senior High School. This data has been a basic reference for suggesting new designs for school uniforms.
      The following are summarized, desirable orientations for designing the school uniform for usage in autumn and winter seasons in terms of the realities of wearing the school uniform, the students' satisfaction and their preferences which have been researched.
      1. Aesthetic Attributes - in the aspect of form, the girl students, in general, preferred the same colored full uniform composed of three pieces(jacket, vest and skirt) or the differently colored uniform and in the aspect of colors, preferred blue or purple colors.
      2. Symbolic Attributes - it appeared to be desirable that some kind of mark, badge or button which symbolizes the school should be fixed on any part of the jacket and some kind of color be used for any part or the whole uniform.
      3. Functional Attributes - the clothing should be comfortable and roomy taking into account of the growth of the body and physical activity. In consideration of the yearly average increase of the width of the shoulders, the circumference of the bosom, the waist, the hip and its variations changed by movement, the amount of cloth must be considered.
      4. Economical Efficiency - because of the desirablity of a moderate price level, easy cleaning and the durability of dye, the materials of mixed polyester and wool are most suitable. Garberdine, Saxony and Barathea are also suitable when tissue is considered.
      Based on the findings, some new designs are suggested as follows:
      1. Three-Piece Uniform of the Same color
      This uniform s a navy blue-colored tailored suit which consists of a double needle work, tailored box silhouettes and a tight skirt with some room for a variety of activities.
      2. Three-Piece Uniform of Different Matched Colors
      This uniform is a style of differently or matching colors which consist of a purple jacket of is double needle work, tailored box silhouettes, (V-shaped neck) a gray flare skirt and a gray vest.
      번역하기

      The School uniform system of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begun in 1886 met a revolution of its total abolishment due to the 「liberalization of the school uniform」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March, 1983. Since then, the arra...

      The School uniform system of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begun in 1886 met a revolution of its total abolishment due to the 「liberalization of the school uniform」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March, 1983. Since then, the arrangement of the 「liberalization of the school uniform」 even though it was created to cultivate the students' personality and originality, has resulted in much public criticism and socially has become the object of discussion. Such evils as the lack of the students' consciousness the increase of juveniles' wrong behavior, the formation of the sense of incompatibility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nd the fostering of luxurious lifestyles, etc. have been pointed out.
      In the meantime, according to a guiding principle of the 「liberalization of the school uniform」 which was subject to the choice of the principal of each school, the process of adjustment and supplementation was initiated since the second semester of the 1986 school year. Recently the number of schools that practice the school uniform system appears to be gradually increasing, resulting in a serious problem which needs to be reconsidered.
      In that re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 of senior high girl-students' school uniforms for usage in the autumn and winter seasons with a special reference to supplying new styles of the school uniform.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1. For background data - to collect background and theoretical information on the basic elements of design and the basic conditions for school uniforms, much research was completed from book readings.
      2. For an empirical study - to collect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new designs, the realities of wearing the school uniform have been researched at six girls senior high schools which still practice the wearing of the school uniform (as of October 1990) with regard to its form, color and materials. In order to find out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wearing school uniforms, som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a total of 450 high school students at three girls senior high schools.
      Also, to find out the preference of designs, with an attempt to establish new design, som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400 sophomore students at ChungShin Girls Senior High School. This data has been a basic reference for suggesting new designs for school uniforms.
      The following are summarized, desirable orientations for designing the school uniform for usage in autumn and winter seasons in terms of the realities of wearing the school uniform, the students' satisfaction and their preferences which have been researched.
      1. Aesthetic Attributes - in the aspect of form, the girl students, in general, preferred the same colored full uniform composed of three pieces(jacket, vest and skirt) or the differently colored uniform and in the aspect of colors, preferred blue or purple colors.
      2. Symbolic Attributes - it appeared to be desirable that some kind of mark, badge or button which symbolizes the school should be fixed on any part of the jacket and some kind of color be used for any part or the whole uniform.
      3. Functional Attributes - the clothing should be comfortable and roomy taking into account of the growth of the body and physical activity. In consideration of the yearly average increase of the width of the shoulders, the circumference of the bosom, the waist, the hip and its variations changed by movement, the amount of cloth must be considered.
      4. Economical Efficiency - because of the desirablity of a moderate price level, easy cleaning and the durability of dye, the materials of mixed polyester and wool are most suitable. Garberdine, Saxony and Barathea are also suitable when tissue is considered.
      Based on the findings, some new designs are suggested as follows:
      1. Three-Piece Uniform of the Same color
      This uniform s a navy blue-colored tailored suit which consists of a double needle work, tailored box silhouettes and a tight skirt with some room for a variety of activities.
      2. Three-Piece Uniform of Different Matched Colors
      This uniform is a style of differently or matching colors which consist of a purple jacket of is double needle work, tailored box silhouettes, (V-shaped neck) a gray flare skirt and a gray ves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논문개요
      • I. 서론 = 1
      • 1. 연구의 목적 = 1
      •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2
      • 목차
      • 논문개요
      • I. 서론 = 1
      • 1. 연구의 목적 = 1
      •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2
      • II. 이론적 배경 = 3
      • 1. 교복의 구성조건 = 3
      • 2. 교복의 기본요소 = 8
      • III. 실증적 연구 = 15
      • 1. 교복의 착용 실태조사 = 15
      • 2. 교복에 대한 만족도 조사 = 19
      • 3. 새로운 디지인 설정을 위한 디자인 선호도 조사 = 31
      • IV. 결과 및 논의 = 50
      • 1. 문제점 및 지향점 = 50
      • 2. 새로운 디자인 개발 = 51
      • 1) 디자인 I ; 쓰리피스의 同色정장 = 51
      • 2) 디자인 II ; 쓰리피스의 異色정장 = 61
      • V. 결론 및 제언 = 68
      • 1. 결론 = 68
      • 2. 제언 = 69
      • 참고문헌 = 70
      • 영문초록 = 72
      • 부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